2049 542

Cited 0 times in

환경 관련 활동가들의 건강증진행위 및 건강습관 관련요인

Other Titles
 (A) study for variance influencing of health promotive behavior and habits of environmental activists 
Authors
 박선주 
Issue Date
2008
Description
건강증진교육학과/석사
Abstract
[한글]이 연구는 Pender(1996)의 수정된 건강증진모형을 기초로 환경 관련 단체 활동가들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습관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여, 이들의 건강과 관련된 정책제안과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된 연구이다. 2008년 4월 중순부터 5월 초까지 서울,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환경 관련 단체에서 근무하고 있는 활동가들로부터 취합한 118부 중 결측치가 많은 5부를 제외한 총 113부를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일반적 특성(15문항), 자기 효능감(17문항), 지각된 장애성(10문항), 지각된 유익성(11문항), 직무스트레스(21문항), 사회적지지(18문항), 건강증진행위(22문항), 건강습관(18문항), 질병(15문항) 포함한 147문항을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SAS 9.1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특성은 여성이 63.7%이고, 20~30대 젊은 층이 87%이였으며 미혼이 61.1%, 대졸이상이 85.8%의 분포를 보였다. 월평균수입은 150만원 미만이 71.7%였다. 현 직장 근무경력은 5년 미만이 75.2%, 다른 NGO 근무경력은 5년 미만이 92%로, 장기근속 비율이 낮고 이직률이 높았다. 평균근무시간은 주당 근무시간 40시간이하가 15.9%에 불과했고 시간외 근무가 잦은 근무형태가 77%에 달했다. BMI(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는 남성은 58.6%가 과체중 및 비만에 관한 관리가 필요한 반면에, 여성은 11.1%가 저체중에 관한 관리가 필요하였다. 지각된 현재 본인의 건강상태는 ‘나쁨’이라고 인식하는 비율이 28.3%였고, 지각된 같은 나이의 다른 사람과 비교 시 본인의 건강상태도 ‘나쁨’이라고 인식하는 비율도 30.1%나 되었다.

대상자의 인지지각요인은 이들 측정 변수들을 0~100점으로 표준화 했을 때 지각된 유익성이 77.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지각된 장애성은 41.3점으로 가장 낮았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는 이들 측정 변수들을 0~100점으로 표준화 했을 때 영양이 50.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건강책임 34.9점, 신체활동 27.6점 순이었으며, 건강증진행위의 총평균은 37.7점이었다. 건강습관을 보면 흡연은 비흡연이 64.6%로 가장 높았고 흡연이 24.8%, 과거흡연은 10.6%였다. 음주는 현재음주가 78.8%로 가장 높았고 하였으며 비음주는 15.9%이고 과거음주는 5.3%였다. 규칙적인 운동은 69%가 안 한다고 했으며 30.1%만이 한다고 했다. 성별에 따라 남성의 경우 43.9%가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고 한 반면 여성의 경우 22.2%만이 한다고 하였다.

인지지각요인을 보면 지각된 장애성은 종교와 교육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종교에 대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각된 유익성은 BMI에 의해서만, 지각된 현재 본인의 건강상태는 사회적 지지에 의해서만, 지각된 같은 나이 타인과 비교 시 본인의 건강상태는 직무스트레스에 의해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과 영역별 건강증진행위를 살펴보면 여성이 남성에 비해 영양에 대한 건강증진행위가 높았으며, 종교에 관해서는 기독교가 건강책임이 39.2점으로 가장 높았고 종교 없음이 32.9점, 북교가 30.8점, 천주교가 25.3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건강증진행위와 인지지각요인과의 상관관계는 자기효능감은 신체활동에 대해서만, 지각된 장애성에 대해서는 건강책임에 대해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지각된 유익성에 대해서는 건강책임, 영양에 대해서, 사회적 지지에 대해서는 건강책임에 대해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건강증진행위에 관해서 남자보다 여자인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지각된 유익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건강책임에 대한 건강증진행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BMI가 높을수록, 신체활동이 높았고, 같은 나이 타인과 비교 시 지각된 본인의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신체활동이 낮았다. 지각된 유익성이 높을수록 영양에 대한 건증진행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환경관련 활동가들의 특성을 고려한 세부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바람직한 건강증진행위 및 건강습관이 형성 될 수 있도록 교육, 홍보해야 할 것이다.



[영문]Based on the HPM (Health Promotion Model),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HPLP) and Health Habit of Environmental Activists in order to improve their health status. Survey data were obtained from 113 adults living in Seoul city and Gyong-gi Province from April 15 to May 15 2008 by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147 items covering 9 categories. The data was analyzed with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mong the study subjects, 63.7% were women; 87% were in 20s to 30s; 61.1% were not married; 85.8% has college education; 71.7% had an income less than 1.5 million won; and 75.2% had less than 5 years of NGO experience. Percentage of working hour less than 40 hours per week was only 15.9%, and 77% of them worked overtime. 58.6% of men were overweight, 11.1% of women were underweight. 28.3% of them perceived their health status as unhealthy and 30.1% of them felt that they were unhealthier than others in the same age.

Among the factors for the recognized perception, perceived benefit score was the highest (77.5) and the perceived barrier score was the lowest (41.3). On the other hand, among the factors for the HPLP, nutrition score was the highest (50.7), followed by health responsibility (34.9), and physical activity (27.6). With regards to health habits, 64.6% were non-smokers, 24.8% were smokers, 10.6% were ex-smokers. 78.8% consumed alcohol,15.9% did not consume alcohol and 5.3% were former alcohol drinkers. 43.9% did not exercise regularly while 43.9% and 22.2% of men and women, respectively, exercised regularly. These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regards to the recognized perception, perceived barrier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religion and education.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health status. BMI was also related to the perceived benefit and social support was related to the perceived health status. With regard to the factors influencing HPLP, religion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for health responsibility and gender wa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for nutrition. Women had higher HPLP nutrition score than men. Christian had the highest health responsibility score (39.2), followed by no religion (32.9), buddhist (30.8), and catholic (25.3).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HPLP and the recognized perception factors showed that self-efficacy was correlated with physical activity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greater than 0.2); health responsibilit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ceived rarrier; health responsibility and nutrition were correlated with the perceived benefit; and health responsibilit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ocial support.

HPLP score for health responsibility were higher for women, higher for older people, higher for those who had the perceived benefit, higher for those who felt social support. HPLP for physical activity was higher for those who with high BMI, higher with the perceived unhealthy than same ages. HPLP for nutrition was higher among the higher perceived benefits.

In conclusion,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environmental activists should focus on changing their health habit and lifestyle in order to improve their health status.
Files in This Item:
T01039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20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