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2 653

Cited 0 times in

SLA 표면 처리와 미세나사선을 가진 내측 연결형의 국산 임플란트에 대한 후향적 연구

Other Titles
 Retrospective study of the implantium implant with a SLA surface and internal connection with microthreads 
Authors
 도레미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골유착이라는 개념이 도입된 후, 임플란트의 등장은 치과계에 많은 변화를 일으키게 되었다. 임플란트를 이용한 상실치아의 수복은 안정된 시술 방법으로 시행되어져 왔으며 그 적용 범위가 확대되었고 사용 빈도도 급격히 증가해왔다. 이에 따라 국산 임플란트의 사용 빈도도 높아지고 그 종류 또한 증가하였으나 장기간의 임상적, 객관적인 자료를 가진 국산 임플란트의 수는 많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SLA 표면 처리 및 미세나사선을 가진 내측 연결형의 Implantium?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치료받은 38명의 환자에게 식립된 106개의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6개월에서 30개월까지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진료기록부를 통해 성별, 연령, 식립 위치, 식립 부위의 골 상태, 식립된 임플란트의 직경 및 길이, 2차 수술 및 골 이식 여부, 후방 자연치 존재 여부, 대합치의 유형, 임상적 합병증의 유형 및 빈도 등을 조사하여 그에 따른 분포 및 생존율의 차이와 함께 이들 항목이 변연골 흡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사선 사진 분석으로 임플란트 식립시, 보철물 장착 후 첫 6개월 내지 1년 간, 그 이후 연간 변연골 흡수량을 측정하였고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총 38명에게 식립된 106개의 임플란트 중 1개가 실패하여 누적 생존율은 99.1%로 나타났다.

2. 보철물 장착 후 최소 6개월 이상 정기검진이 가능했던 96개의 임플란트에서 상악에서의 생존율이 97.0%, 하악에서의 생존율은 100%였고, 구치부에서의 생존율은 98.9%였으며 전치부에서의 생존율은 100%였다.

3. 보철물 장착 후 첫 1년간의 변연골 흡수량은 평균 0.17 mm 이었으며, 1년 이후의 연간 변연골 흡수량은 평균 0.04 mm로 통계학적으로 유의차 있게 적은 골소실량을 나타내었다(p<0.05).

4. 보철물 장착 후 첫 1년간 연령에 따른 변연골 흡수량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p>0.05), 1년 이후의 정기 검진 기간에서 50세 이상의 환자에서 50세 미만의 환자보다 큰 연간 변연골 흡수량을 보였다(p<0.05).

5. 성별 간, 악궁 간, 전치부와 구치부위 간, 2차 수술 및 골 이식 여부, 후방 자연치 존재 여부, 보철물의 유형, 대합치의 유형에 따른 변연골 흡수량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변연골 흡수량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연령을 들 수 있었으며 성별, 악궁 간, 악궁 내 위치, 2차 수술 및 골 이식 여부, 후방 자연치 존재 여부, 보철물의 유형, 대합치의 유형에 따른 변연골 흡수량의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 최대 30개월까지의 기간 동안 SLA 표면 처리 및 미세나사선을 가진 내측 연결형의 국산 임플란트의 임상적인 성공률은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으며 변연골 흡수량도 임플란트 성공 기준에 부합하였으나, 향후 더 장기적인 평가 및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영문]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osseointegration in dental implants, high long-term success rates have been achieved. Though the use of dental implants have increased dramatically, there are few studies on domestic implants with clinical and objective long-term data.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provide long-term data on the Implantium? implant, which features a sandblasted and acid-etched surface and internal connection with microthreads, through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during a 6 to 30 month period. 106 Implantiumⓡ implants placed in 38 patients at Yonsei University Hospital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various factors on implant success and marginal bone los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from this study.

1. Out of a total of 106 implants placed in 38 patients, one fixture was lost, resulting in a 99.1% cumulative survival rate.

2. Among the 96 implants which were observed throughout the study period, the survival rates were 97.0% in the maxilla and 100% in the mandible. The survival rate in the posterior regions was 98.9% and 100% in the anterior regions.

3. The mean bone loss during the first year after prosthesis placement was 0.17 mm, while the mean annual bone loss after the first year was 0.04 mm, which was statistically less than during the first year(p<0.05).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ginal bone loss according to age during the first year(p>0.05), but after the first year, the mean annual bone loss in patients above 50 years was significantly greater(p<0.05) compared with patients under 50 years.

5.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ginal bone loss was foun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actors: gender, jaw, location in the arch, type of implant(submerged or non-submerged), presence of bone grafts, type of prostheses, and type of opposing dentition (p<0.05).

Based on these results, the sole factor influencing marginal bone loss was age, while factors such as gender, jaw, location in the arch, type of implant, presence of bone grafts, type of prostheses and type of opposing denti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bone loss.

In the present study, the success rate of the Implantiumⓡ implant with a SLA surface and internal connection with microthreads was satisfactory up to a maximum 30 month period, and the marginal bone loss was in accord with the success criteria of dental implants. Further long-term investigations for this type of implant system are required in future studies.
Files in This Item:
T01038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19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