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2 558

Cited 0 times in

일 간호조직의 코칭에 대한 인식

Other Titles
 Nurses' awareness on coaching in a hospital 
Authors
 김홍미 
Issue Date
2008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코칭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과 이해의 정도 및 코칭 프로그램 구성요인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현재의 코칭 행동수준을 파악하여, 향후 간호조직에 필요한 코칭 프로그램 개발과 코치 양성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Descriptive survey)이다.

자료 수집은 2008년 4월 25일부터 5월 20일까지 서울 소재 2000병상 규모의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1년 이상의 경력간호사 및 간호 관리자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3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코칭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문헌연구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구성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행동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Wittenberg와 Reis(1988)의 대인관계 능력검사를 바탕으로 김봉호(2008)가 코칭 하위요인에 따라 수정하여 제작한 총 20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이용하였으며, 코칭 프로그램 구성요인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김봉호(2008)가 문헌연구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참고하여 총 18문항으로 구성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9.1 version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코칭에 대한 인식 및 행동수준은 실수와 백분율 또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구하였다. 코칭 훈련의 필요성에 대한 간호사의 자기평가는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고, 직위에 따른 일반적인 특성 및 코칭 인식정도와 코칭 행동수준은 chi-square test와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34.9세로 나타났으며 근무경력은 평균 136.1개월로 6년 이상 근무한 간호사가 193명(64.8%)이었다. 학력은 대학교 졸업이상이 231명(75.3%)이었고, 파트장 73명(24.5%), 프리셉터 경력을 가진 간호사 136명(45.6%), 일반간호사 89명(29.9%)이었다.

2. 간호사들이 코칭을 알게 된 경로는 워크샵이나 세미나를 통해 알게 되었다는 응답이 97명(62.2%)으로 가장 많았으며, 간호조직에 코칭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간호사가 279명(93.6%)으로 대부분의 간호사가 간호조직에 코칭 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코칭 훈련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간호사는 88.9%인 반면, 실제 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하겠다는 응답은 일반간호사 72%, 프리셉터 75.7%에 그쳐, 업무 외 시간에 대한 부담감(84.2%)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코칭 프로그램 구성요인 분석결과 Likert식 4점 척도의 평균점이 3.41을 넘는 요인은 대인관계능력 3.61(±0.52), 의사소통능력 3.60(±0.54), 의사결정능력 3.47(±0.53), 동기부여능력 3.45(±0.54), 문제해결능력 3.43(±0.05), 타인이해능력 3.41(±0.55)등 6가지였다.

5. 코칭에 대한 지식은 100점 만점에 평균 58.83(±13.12)점이었고, 직위, 학력,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6. 코칭 행동수준은 100점 만점에 평균70.11(±8.91)점이었고, 파트장이 평균 74.67(±7.8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직위와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간호사들은 코칭 프로그램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93.6%가 긍정적인 답변을 한 반면, 코칭 프로그램 참여의도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80.9%의 간호사만 참여의도를 보여 낮게 나타났다. 프로그램 도입반대 및 불참의 가장 큰 이유는 업무외의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부담감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인적자원관리 차원에서 간호사 지원을 위한 체계적인 코칭 프로그램이 개발 운영되어야 하며, 업무 외 시간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지 않고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영문]

This research draws on the constructs of coaching from a descriptive survey to investigate how the extent of nurses' awareness on coaching in a hospital, the demands for the coaching programs and the current practices of coaching contribute to nurses' coaching development in the hospital.

The survey was conducted in a 2000-bed general hospital to 300 nurses who had been working for more than a year as registered nurses and nurse managers.

The research methods used are as follows;

1. The extent of coaching awareness: the researcher used her own research tool based on various awareness study experts' and professionals' works

2. The influencing factors on coaching programs' constituents: 20 quantitative questions formulated by Kim (2008) based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ptitude Test (Wittenberg & Reis:1988).

3. The level of coaching practice: 18-queststion test formulated by Kim (2008) based on various related fields' works.

The perceptual scores of the extent of coaching awareness and influencing factors on coaching programs' constituents were examined in a mixed design analysis of variance using SAS 9.1. The level of coaching practice and nurses' self-assessment were examined using Fisher's exact test while general attributes, extent of coaching awareness and influencing factors on coaching programs' constituents were examined based on ‘chi-square test'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coaching awareness was more conceived through workshops and seminars than any other means 193 nurses consisting 62.2%

2. The necessity of coaching program implementation in a nurse organization was perceived by 279 nurses (93.6%)

3. The data revealed that 88.9% nurses saw the need for having the coaching training while only 72% of general nurses and 75.7% preceptor nurses would participate in the training. The result showed that the biggest factor that causes them to be apprehensive in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to be 'the burden of having the training after-hours (84.2%)'.

4. According to the Likert's 4-scale analysis for the 'influencing factors on coaching programs' constituents', it has been shown tha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pability[3.61(±.52)], communication capability [3.60(±.54)], decision making capability [3.47(±.53)], motivation endowment capability [3.45(±.54)], problem-solving capability 3.43(±.05), and capability of understanding others [3.41(±.55)]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5. The knowledge on coaching was shown to be an mean of 58.83(±13.12) out of 100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shown for the ranks, educational level, and level of nursing experiences.

6. The mean of 70.11(±8.91) out of 100 was shown for the level of coaching practice with the nurse managers having the highest score [74.67(±7.85)]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hown for the ranks and educational level.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research support positive responses to all three of the research questions posed. The most significant outcome is that although the nurses perceive the necessity of coaching program implementation in a nurse organization to be imperative, they are somewhat unwilling to participate in it due to the burden of needing to participate outside of their working hours. The findings in this research strongly suggest that there is an inevitable need for a systematic supports from the institution in order for the nurses to be able to participate in the coaching practice without having the burden of spending extra hours outside of their work.
Files in This Item:
T01037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18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