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7 1009

Cited 0 times in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와 심혈관질환의 연관성

Other Titles
 (The) association of the triglyceride to high-density cholesterol ratio with cardiovascular disease 
Authors
 권길영 
Issue Date
2008
Description
국제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심혈관질환은 관상동맥질환, 뇌졸중, 고혈압, 심부전 등의 심장질환을 포함하는 질환으로 전세계적인 사망의 주요 원인이다. 심혈관질환의 위험 요인은 연령, 남성, 흡연, 당뇨, 가족력, 비만, 운동부족,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등이 그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 최근 콜레스테롤 농도비가 각각의 콜레스테롤보다 심혈관질환의 위험 인자인 인슐린저항성이나 허혈성심질환에 대한 관련성이 더 우수하다고 보고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인 성인에서 죽상경화증과 인슐린 저항성과 강한 연관성을 보이는 단순지표인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와 심혈관 질환과의 연관성을 보고자 한다.

단면 연구로 2005년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령인 만 19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였고 검진조사와 보건의식행태조사가 완료되고 신체검진 및 혈액검사 항목에 누락이 없는 20세 이상의 성인 50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수 및 생활습관 변수는 건강면접조사와 보건의식행태조사 항목에 포함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심혈관질환에 대한 변수 정의는 WHO의 기준에 따른 심혈관질환으로 하였다. 따라서 본 자료에서는 의사 진단에 의한 협심증, 심근경색증, 고혈압, 뇌졸중, 협심증 및 심근경색증을 변수로 정하였다. 심혈관 질환의 위험 증가에 대한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의 기준을 정하기 위해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를 이용하여 민감도와 특이도를 모두 만족시키는 임계치(혹은 기준점, Cutoff point)을 구하였다. 또한 개개인에서 있어서 심혈관질환에 대한 예측력을 가장 잘 나타내는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대사지표를 찾기 위해 ROC curve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총 5028 명으로 남성이 2075 명, 여성이 2953 명이었다. 남성에서 심혈관 질환에 대한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의 예측 기준치는 3 으로 민감도 61.4%, 특이도 56.2% 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심혈관 질환에 대한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의 예측 기준치는 2.2 로 민감도 69.4%, 특이도 63.7%로 나타났다. 여성을 폐경 전후로 분류하여 측정하였을 때 폐경 전 여성에서는 심혈관 질환에 대한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가 1.9로 낮아졌으며 폐경 후 여성에서는 2,7로 상승되었다. 남성에서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 기준치인 3으로 두 군을 분류했을 때 3 이상인 군에서 3 이하인 군에 비해 심혈관 질환에 대한 비차비가 1.57 배 높았다. 여성에서는 2.2 이상인 군이 2.2 미만인 군에 비해 심혈관 질환의 비차비가 1.90 배 높았다. 남성의 경우 당뇨유무와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의 구분에 따른 위험비를 보면 TG/HDL ratio가 3 미만이고 당뇨가 없는 군에 비해 TG/HDL ratio가 3 이상이고 당뇨가 있는 군에서는 비차비가 3.28배 증가하였고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95% CI : 2.09-5.12). 폐경 전 여성에서는 당뇨유무와 TG/HDL ratio의 구분에 따른 위험비를 보면 TG/HDL ratio가 1.9 미만이고 당뇨가 없는 군에 비해 TG/HDL ratio가 1.9 이상이고 당뇨가 있는 군에서는 3.69 배 증가하였고 폐경 후 여성에서는 4 배 증가하였다. 심혈관질환을 예측할 수 있는 지질 지표들을 평가하기 위해 본 ROC curve 에서 남성, 여성 모두에서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와 중성지방 곡선은 다른 두 지질비에 비해 진단적 유용성이 크게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폐경 전 여성에서는 남성과 같이 중성지방 단독이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에 비해 약간 높은 면적을 보였으나 폐경 후 여성에서는 거의 비슷한 정도이긴 하지만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가 중성지방에 비해 더 높은 수치의 면적을 보여 좀 더 좋은 표지자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는 심혈관질환에 대한 유의한 연관성을 보인다. 또한 예측력이 좋은 표지자를 보면 심혈관질환에 대한 예측력이 좋은 표지자는 남성과 폐경 후 여성에게서는 중성지방과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로, 폐경 전 여성에서는 중성지방/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비, 중성지방으로 나왔다. 지질비와 심혈관질환과의 더 정확한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추후 인슐린저항성과 지질비간의 관련성을 보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A combination of high fasting plasma triglyceride (TG) concentration and a low high-density cholesterol (HDL-C) is associated with a high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CVD). Moreover, the TG/HDL-C ratio is considered as a relevant CVD risk facto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if TG/HDL-C level predicted CVD and to assess cutoff point of predictive value in Korean adults.

This data was based o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n 2005 carried by Korean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in 2075 men and 2953 women without missing data. Cardiovascular disease was defined as hypertension, stroke, angina or myocardiac infarction which were had ever diagnosed from doctor.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was used to identify the best variables that predicted CVD.

Adjusting of age, body mass index, smoking, alcohol, physical activity and regression, TG/HDL ratio had a positive linear association with CVD. Fasting plasma triglyceride, TG/HDL ratio were the most useful varialbes for predicting CVD. The optimal cut-off point of TG/HDL ratio were 3.0 for men, 1.9 for premenopausal women, 2. 7 in postmenopausal women.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cut-off point of TG/HDL ratio were 61%, 56% in men and 68%, 59% in premenopausal women and 58%, 63% in postmenopausal women. For men, under the receiver-operative characteristic curve of TG/HDL ratio for predicting CVD was 0.613 which is slightly lower than TG.

In conclusion, this study supports TG/HDL ratio is associated with CVD and may be a applicated simple. Therefore TG/HDL ratio might be a the best factor to predicting CVD. Further prospective study is needed to identify if TG/HDL ratio may be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Files in This Item:
T01032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13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