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3 443

Cited 0 times in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에 첨가된 나노 크기 베타 트리칼슘 포스페이트의 재광화에 대한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nano-sized β-tricalcium phosphate on demineralization in glass ionomer dental luting cement 
Authors
 홍영우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에서는 실험용 nano-β-tricalcium phpsphate를 함유한 치과 접착용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항우식성 그리고 재광화를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β-tricalcium phosphate는 법랑질과 골형성물에 존재하는 인회석이다. Nano-β-tricalcium phosphate는 칼슘과 인산염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사람과 동물에서 법랑질 표면에 병소가 생기는 경우 재광화를 촉진할 수 있다. 이번 실험에 사용된 치과 합착용 시맨트는 RelyXTM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3M/ESPE,USA.)이다.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 단독, 그리고 15% nano-β-tricalcium phosphate함유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피막도, 경화시간, 그리고 압축강도를 측정했다. 사람 구치에 상자형태의 와동을 만들고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만 그리고 15% nano-β-tricalcium phosphate가 함유된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를 충전했다. 각 치아는 4일간 37도에 맞추어진 25ml pH 5.0 버퍼용액에 저장하였다. 4일 후 각 수복물 중앙에서 100μm의 시편을 만들었다. 각 시편은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SEM)와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CLSM)을 이용해서 법랑질 표면에서 나타난 변화를 분석했다. CLSM 상에서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군과 nano-β-tricalcium phosphate 글라스아이오노머 시멘트군 사이의 명확한 차이가 나타났다. CLSM은 약 100μm 크기에서 건강한 법랑질 표면의 탈회된 면을 보였다.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 군에서는 비교적 두꺼운 형광층이 나타났다. 이에 반해서 nano-β-tricalcium phosphate군에서는 형광층이 얇았다. SEM으로 미세한 표면을 관찰한 결과 nano-β-tricalcium phosphate함유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군이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군에 비해 덜 거친 표면을 관찰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nano-β-tricalcium phosphate는 법랑질 표면을 산으로 인한 탈회에서 보호하고 재광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영문]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nticariogenic and remineralization effects of the glass ionomer dental luting cement containing nano-β-TCP in vitro. The β-Tricalcium Phosphate (β-TCP) is the components of dental enamel and bone mineral as biological apatites. In addition, β-TCP contains a significant amount of calcium and phosphate, which can promote remineralization of enamel subsurface lesions in animal and human. RelyXTM glass ionomer cement(3M/ESPE, USA) was used as dental luting cement. Film thickness, setting time, and compressive strength was measured for each group of pure glass GIC, 15% nano-β-TCP GIC. Human molars were prepared in box-shaped cavities that were filled with the GIC with and without the 15% nano-β-TCP were placed in 25ml of pH 5.0 acid buffer for 4 days at 37℃. After 4 days, longitudinal sections (100?m) were obtained through the center of each restoration. The sections were analyzed using a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 (SEM) and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CLSM) to identify the change in the enamel surfac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LSM images between pure GIC and nano-β-TCP-GIC. CLSM allows the demineralized surface layers of sound enamel to be visualized down to approximately 100 ?m. The pure GIC specimens had a relatively thick fluorescent layer. On the other hand, the fluorescent layer of the nano-β-TCP-GIC specimens were thinner. The SEM images of micro surfaces demonstrate that nano-β-TCP-GIC is less rough than pure GIC. Therefore, the addition of nano-β-TCP enhanced protection against acid demineralization and promoted remineralization of enamel surface.
Files in This Item:
T01030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11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