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5 630

Cited 0 times in

탈락된 브라켓의 재접착시 치아면과 브라켓 접착면 처리에 따른 재접착 전단강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shear bond strength under various treatment methods for tooth surface and bracket base in re-bond 
Authors
 오수환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교정치료시 브라켓의 탈락은 임상에서 흔히 발생되는 일로 이런 경우 치료시간의 단축과 비용 절감을 위해 브라켓의 재생을 고려하게 된다. 이 때 주된 관심은 재생된 브라켓의 기능적 역할에 있는데 특히, 치면에 대하여 적절한 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탈락된 브라켓 접착면 처리에 대해서는 선학들에 의해 연구되었으나 브라켓 재생시 치아면 처리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본 연구는 탈락된 브라켓의 재생 시 치아면과 브라켓 접착면 처리 방식에 따라 전단접착강도와 탈락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비교하여 임상에서 탈락된 브라켓의 재접착 시 효과적인 지침을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소의 온전한 하악 절치 100개를 대상으로 하악 전치부 스탠다드 금속브라켓을 접착한 후, 10개는 대조군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90개는 실험군으로 설정하였다. 실험군에서 debonding을 시행하고 치아면 처리 방식과 탈락된 브라켓 접착면 처리 방식을 달리하여 9개의 군(각 군당 10개의 치아를 할당함)으로 나누어 브라켓을 재접착 후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SPSS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분산검정(oneway ANOVA)과 Tukey's HSD test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1. 브라켓 접착면만 마이크로에칭(microetching, 이하 ‘마이크로에칭’이라 함) 처리한다면 치아면 처리 방식에 상관없이 대조군보다 더 많이 증가된 전단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었다 (p<0.05, Tukey's HSD test).2. 치면은 마이크로에칭 처리되고 탈락된 브라켓은 새로운 브라켓으로 교체되거나 그린스톤으로 접착면이 연마되어 처리된 경우도 대조군보다 높은 전단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었으나 브라켓 접착면을 마이크로에칭 처리한 경우의 전단접착강도보다는 낮았다 (p<0.05, Tukey's HSD test).3. 치면도 마이크로에칭 처리하지 않고 브라켓 접착면도 마이크로에칭 처리하지 않은 경우는 전단접착강도가 대조군과 비슷하거나 유의성있게 낮았다 (p<0.05, Tukey's HSD test).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ous treatment methods for tooth surface and bracket base on shear bond strength in rebonding procedure with debonded brackets and to make a clinically useful guide for rebonding procedure. 100 bovine teeth were used as samples and bonded with standard metal brackets. Then 10 teeth were setted as control group and the other 90 teeth were stressed to bond failure with manual debonding appliance and subdevided into 9 experimental groups under treatment methods for tooth surface and debonded bracket base(each experimental group contains 10 bovine teeth). After rebonding procedure, shear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with Instron machine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ANOVA and Tukey's HSD test.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1. Higher shear bond strength occurred than control group only if bracket bases were treated with microetching (p<0.05, Tukey's HSD test).2. Higher shear bond strength also occurred than control group when tooth surfaces were treated with microetching but bracket bases were not treated with microetching (p<0.05, Tukey's HSD test).3. Similar or lower shear bond strength occurred than control group when tooth surfaces and bracket bases were not treated with microetching (p<0.05, Tukey's HSD test).The data suggest that rebonding with microetching treatment for tooth surface and bracket base is viable option when a bracket has been debonded.
Files in This Item:
T01018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99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