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5 603

Cited 0 times in

안면 비대칭 환자의 악교정 수술 후 전두면 상 안모 연조직 변화

Other Titles
 Evaluation of the facial soft tissue in the frontal view after surgical correction facial asymmetry 
Authors
 박정신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안면 비대칭 환자에서 악골의 분석을 통한 비대칭의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이 중요하지만 악골을 둘러싸고 있으며 골격의 비대칭이 반영되는 연조직에 대한 평가 역시 필수적이다. 안면 비대칭의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 정확한 정면 연조직의 변화 예측은 경조직의 예측과 더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본 연구의 목적은 안면 비대칭을 가진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수술 전 후 경조직과 연조직을 평가하여 수술에 의한 전두면 상 경조직과 연조직 변화의 상관성과 비례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에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상악에 LeFort I골절단술과 하악에 IVRO를 받은 환자 중 수술 전(T1), 수술 1개월 후(T2), 수술 6개월 후(T3)에 정모두부 방사선사진과 정면 얼굴사진이 촬영된 62명을 정모두부 방사선사진에서 이부의 편위가 3mm이하인 대칭 그룹(S group)과 3mm이상인 비대칭 그룹(AS group)으로 분류하고, 수평 기준선과 수직 기준선에 대한 계측점의 좌우 수직 높이 차이, 수평거리, 구조물 사이의 경사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1.수술 전 비대칭 그룹에서 zygoma와 비공을 포함하는 중안면 부위는 대칭 그룹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 0.05).2.수술 전 비대칭 그룹의 양측 구조물의 좌우 수직 높이 차이는 상악 기저골, 교합면, 하악으로 내려올수록 증가했고 수술에 의한 변화량도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3.T3에서 비대칭 그룹의 교합평면 높이 차이와 경사도가 대칭그룹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4.T3에서 비대칭 그룹의 경조직 Me의 수평 거리와 하악 좌우 높이 차이는 대칭그룹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05).5.입술의 좌우 높이 차이 변화는 상악 좌우 높이 차이(JRv-JLv, r=0.44)변화 및 교합평면 높이 차이(OCRv-OCLv, r=0.48)변화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P < 0.01).6.입술 경사도 변화는 상악 좌우 높이 차이(JRv-JLv, r=0.41)변화 및 교합평면 높이 차이(OCRv-OCLv, r=0.45)변화와 유의한 연관성을 가졌다 (P < 0.01).7.연조직 Me`수평 거리 변화는 경조직 Me의 수평 거리 변화(VRL-Me, r=0.51) (P < 0.001) 및 하악 좌우 높이 차이(AgRv-AgLv, r=0.46)변화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P < 0.01).8.연조직 Sn-Me`경사도 변화는 하악 경사도(∠AgR-AgL, r=0.45)변화 및 상하악 중절치 중심 사이 연결축 경사도(∠MUI-MLI, r=0.53)변화, ∠ANS-Me(r=0.51)변화와 유의한 연관성을 가졌다 (P < 0.01).안면 비대칭 환자의 상 하악 수술 후 정모두부 방사선사진과 정면 얼굴사진 상의 수직 높이 변화와 경사도 변화를 비교해 보았을 때 중안면 이상에서는 대칭 그룹과 뚜렷한 차이가 없었고 입술의 경사도 변화는 상악 기저골, 교합평면 경사도 변화와 연관되어 있으며 연조직Me`의 변화는 하악의 경사도 변화, 경조직 Me의 변화와 큰 상관성을 가졌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symmetric proportions in the maxillofacial hard and soft tissue between asymmetry (AS) and symmetry group (S) at T1 and T3, and to assess the relationship of the soft tissue change to hard tissue change after the orthognathic surgery. PA cephalograms and frontofacial photographs of 62 adults(19 symmetry, 43 asymmtery) who had skeletal class III and had undergone maxillary LeFort I and mandibular IVRO were taken preoperatively(T1), 1 month postoperatively(T2), and 6 months postoperatively(T3). Measurement categories were established and the changes of vertical height difference, horizontal distance and degree were researched at T2-T1, T3-T2 and T3-T1 on PA cephalograms and frontofacial photographs respectively.1.Measurements of the zygomatic arches and nose apertures of midface on PA cephalograms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S group and S group at T1 (P > 0.05).2. The vertical height differences of both side landmarks increased from Maxilla, occlusal surface to Mandible. The changes by surgery also increased in same manner.3.The AS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S group in the vertical height difference and the cant of occlusal plane at T3 (P > 0.05).4.The AS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S group in the horizontal distance of Me and height differences of antegonial notch (P < 0.01).5.CRv-CLv change was related with the JRv-JLv change(r=0.44) and the OCRv-OCLv change(r=0.48) at T3-T1 (P < 0.01).6.Lip cant change was related with the JRv-JLv change(r=0.41) and the OCRv-OCLv change(r=0.45) at T3-T1 (P < 0.01).7.The horizontal distance change of soft tissue Me` had relation with horizontal distance changes of hard tissue Me(VRL-Me, r=0.51) (P < 0.001) and the AgRv-AgLv change(r=0.46, P < 0.01) at T3-T1.8.The degree change of soft tissue Sn-Me` had relation with the ∠AgR-AgL change(r=0.45), ∠MUI-MLI change(r=0.53), and ∠ANS-Me change (r=0.51) (P < 0.01) at T3-T1.Comparing the changes of the vertical height differences, the horizontal distance and the degree of AS group with that of S group on the PA cephalometric radiograph and frontofacial photogrgaph, upper 1/2 fac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Lip cant change was related with the change of maxilla and occlusal plane. Soft tissue Me` change had the relationship with ∠AgR-AgL and hard tissue Me` changes.
Files in This Item:
T01016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97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