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9 532

Cited 0 times in

Xive implant식립시 환자 유형 및 식립부 분포와 생존율에 대한 후향적 연구

Other Titles
 (A) retrospective study of the type of patients, the distribution of implant and the survival rate of Xive implant 
Authors
 명우천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치과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의 수복에 있어서 일반적인 치료 방법으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골밀도가 낮은 수술 부위에도 tapered implant를 사용함으로써 식립시 internal condensation 효과에 의해 골밀도가 개선됨을 확인 할 수 있다.또한, machined surface를 가진 임플란트에 비해 표면의 거칠기를 증가시 켜 표면적을 넓힌 임플란트가 골질이 낮은 부위에서 더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이 보고 되었다.Xive? implant는 tapered형태와 표면 거칠기를 증가시킨 임플란트로 초기 고정이 우수하고 따라서 즉시 부하가 가능하여 즉시 부하 임플란트로도 이용되고 있다.이 연구의 목적은 Xive? implant의 임상적 적용에 있어서 환자 유형 및 식립부 분포와 임플란트 생존율을 임상적으로 평가하고 임플란트 실패에 따른 후향적 분석을 통해 실패 원인을 알아보고 이를 개선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3년 2월부터 2006년 4월 사이에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치주과와 ㅈ치과에서 Xive? implant를 이용하여 시술받은 140명의 환자에게 이식된 324개의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환자기록부를 이용한 후향적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1. 환자의 유형에서 남녀 차이는 없으며, 30~50대에서 환자 수로는 80%, 임플란트 수는 82%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환자 1인당 평균 임플란트 개수가 증가 하였다.2. 상악에서 37%, 하악에서 63%의 임플란트가 시술되었고, 하악구치부에 57%, 상악구치부에 29%, 상악전치부에 8%, 하악전치부에 6% 순으로 임플란트가 시술되었다.3. 전체의 96%인 182개의 보철물이 부분무치악에서 단일치 브릿지형태의 보철물로 제작되었고 이 중 단일치수복의 경우가 전체의 38%였다.4. 치아상실의 원인으로는 치주염, 충치, 외상, 선천적 결손의 순으로 나타났다.5. 골질은 상악에서 Type Ⅲ (54.2%), Ⅱ (30.8%), Ⅳ (15%),Ⅰ (0%) 순이었고, 하악의 경우 Type Ⅱ (63%), Ⅲ (34%),Ⅰ (2.5%), Ⅳ (0.5%) 순의 분포를 나타내었다.6. 골양은 상악의 경우 Type C (55%), B (35%), D (8%), A (2%)순이었고, 하악의 경우에는 Type B (60%), C (32%), A (7%), D (%)의 빈도를 나타내었다.7. 식립 된 임플란트 길이는 11mm (42%), 13mm (36%), 9.5mm (17%)순으로 빈도를 보였으며, 폭경은 4.5mm (51%)와 3.8mm (31%)가 주로 사용되었다.8. 전체 식립된 Xive? implant의 생존율은 98%였다.상악에서는 97%의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식립된 120개의 임플란트 중 4개 제거), 하악에서는 99%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식립된 204개의 임플란트 중 2개 제거).9. 골질에 따라서 TypeⅠ에서 83%, Type Ⅱ에서 99%, Type Ⅲ에서 97%, Type Ⅳ에서 100%의 생존율을 보였고, 골양에 따라서는 Type A에서 100%, Type B에서 99%, Type C에서 96%, Type D에서 10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이상의 결과를 통해 xive? implant는 다른 임플란트시스템과 비교하여서도 안정적인 implant로 선택 사유 되어 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골양과 골질이 제한이 있는 부위에서는 보다 신중한 접근을 고려하여야 하겠다.





[영문]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ypes of patients and distribution of implant site and survival rate of Xive? implant.The following results on patient type, implant distribution and survival rate were compiled from 324 implant cases of 140 patients treated at the periodontal dept. of Yonsei University Hospital and G dental clinic between February 2003 and April 2006.1. There are no dissimilarities between men and women, with patients in their 30, 40, 50s accounting for 80% of patients and accounted for 82% of implant treatments; the largest share of patients and implant treatments.2. Mn. posterior area accounted for 57% of implant treatments followed by Mx. posterior area (29%), Mx. anterior area (8%) and Mn. anterior area (6%).3. Partial edentulous patients treated by single crown and bridge-type prosthesis accounted for 96% and fully edentulous patient accounted for the remaining 4%.4. The major cause of tooth loss is periodontal disease, followed by dental caries, trauma and congenital missing.5. The distribution of bone quality for maxillae was 54.2% for type III, followed by 30.8% for type II, 15% for type IV and 0% for type I. As for mandible, the distribution was 63% for type II, followed by 34% for type III, 2.5% for type I and 0.5% for type IV.6. The distribution of bone quantity for maxillae was 55% for type C, followed by 35% for type B, 8% for type D and 2% for type A. As for mandible, the distribution was 60% for type B, followed by 32% for type C, 7% for type A and 0% for type D.7. The majority of implants were those of 9.5-13 mm in length (95%) and regular diameter in width (82%).8. The total survival rate was 98%.The survival rate was 97% in the maxillae region and 99% in the mandible region.9. The survival rate in type I was 83%, in type II was 99%, in type III was 97% and in type IV was 100%. As for the bone quantity, the survival rate in type A and D (100%) was most, followed by type B (99%) and type C (96%).The results showed that Xive? implant could be used satisfactorily compare for the other implant system. But we most to approach carefully in certain extreme condition especially with poor bone quality and quantity.
Files in This Item:
T01014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95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