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1129

Cited 0 times in

수면교육이 입원노인환자의 수면 개선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leep education on sleep improvement in hospitalized elderly 
Authors
 남민경 
Issue Date
2008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수면교육을 통해 입원노인환자의 수면의 질과 수면의 양을 증진시키기 위한 유사실험연구로서 비동등성 전후 설계이다.연구기간은 2007년 10월 20일부터 12월 5일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1개의 대학병원에 입원한 65세 이상의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 20명, 대조군 20명을 편의 추 출하였다. 실험의 확산을 막기 위해 2007년 10월 20일부터 11월 10일까지 대조군에 대한 자료수집을 먼저 시행한 후 2007년 11월 11일부터 12월 5일까지 실험군에 자료수집 및 실험처치을 실행하였다.연구도구는 대상자의 수면의 질은 오진주, 송미순, 김신미(1999)가 개발한 수면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입원당일과 입원 3일째 날에 설문조사하였다. 수면의 양은 야간수면시간, 야간수면붕괴횟수, 낮잠시간을 입원당일과 입원 3일째 되는 날에 설문조사하였다.실험군에게 행한 실험처치는 입원노인환자를 위한 수면교육으로 개발된 수면교육자료를 이용하여 입원당일 오후 5시에서 7시 사이에 개별교육을 10분간 제공하였다. 또한 부가적인 자료로 안대, 수면을 위한 음악이 녹음된 mp3 재생장치, 귀마개를 준비하여 제공하였으며 환자가 필요시에만 사용하도록 설명하고 시범을 보였다.자료분석은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 집단간의 동질성 검사는 Chi-square test와 t-test를 이용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면교육으로 인한 수면의 질과 양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가설검증은 paired t-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또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로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1. 인구사회학적, 질병적, 환경적인 특성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은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고, 수면의 질과 수면의 양에서도 실험 처치전 두 그룹은 동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2. 제 1가설인 “수면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수면의 질이 높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는 실험처치 전후 수면의 질 차이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아 가설 1은 기각되었다(t=-1.249, p=0.294).3. 제 2가설은 “수면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수면의 양이 많을 것이다.”를 부가설을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1) 부가설 2-1인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야간수면시간이 많을 것이다.”는 실험처치 전후 야간수면시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아 부가설 2-1은 기각되었다(t=-0.040, p=0.750).2) 부가설 2-2인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야간수면붕괴횟수가 적을 것이다.”는 실험처치 전후 야간수면붕괴횟수 차이를 비교한 결과 통계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부가설 2-2는 기각되었다(t=0.386, p=0.072).3) 부가설 2-3인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낮잠시간이 적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낮잠시간이 유의하게 적어서 부가설 2-3은 채택되었다(t=0.563, p=0.005).결론적으로 수면교육이 수면 개선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상 유의하지는 않지만 수면의 질과 양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수면교육은 수면을 돕기 위한 기본적인 수면중재이며 새로운 자극이나 환경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노인의 특성을 고려할 때 수면 개선을 위한 중재는 새로운 것을 실행하려고 노력하기보다는 일반적인 수면교육을 통하여 기존에 알고 있는 수면에 대한 바른 인식을 다시 강화시켜주는 수면교육을 실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dentified the effects of sleep education on quality and quantity of sleep in hospitalized elderly. The study was perform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questionnaires and the measured value from 20 October to 5 December, 2007. Elderly were sampled conveniently from the H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A total 40 subjects were selected : 20 in experimental group and 20 in control group.Sleep scale A developed by Jin Joo Oh, Mi Soon Song, Sin Mi Kim(1999) was used to determine quality of sleep in admitted day and three days later from admitted day. quantity of sleep was measured the hour of nocturnal sleep, the hour of nap, frequency of awakening during nocturnal sleep on same daysPersonal sleep education for experimental group ware implemented through explanation with a sleep management guide leaflet for ten minutes at 5pm-7pm in admitted day ; the guide included noise, light, feeling hungry, nap, sleep schedule, attitude, eating caffeine, smoking, relaxation therapy on effect of sleep. added materials such as a eye shield, earplugs and mp3 player were provided for good . If elderly patients wanted added material, they could use them.SPSS 12.0 window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general features demonstrated by the frequency number and percentage. A Chi-square test and t-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and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sleep and the quantity of sleep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t-test. Reliability of tool was analyzed by Chonbach's alpha.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1. As for socio-demographic, medi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homogeneity in pretest. as for quality of sleep and quantity of sleep,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homogeneity in pretest.2. The first hypothesis“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a higher degree of sleep quality score than the control" was rejected(t=-1.249, p=0.294).3. The second hypothesis“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a better quantity of sleep than the control." ; this hypothesis is verified by following 3 hypothesis.1) Hypothesis 2-1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a longer of the hour of nocturnal sleep than the control" was rejected(t=-0.040, p=0.750).2) Hypothesis 2-2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a smaller of frequency of awakening during nocturnal sleep than the control" was rejected(t=0.386, p=0.072).3) Hypothesis 2-3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a shorter of the hour of nap than the control" was supported(t=0.563, p=0.005).In conclusion,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quality and quantity of sleep in statistics. in spite of sleep education has positive effect to improve quality and quantity of sleep. Therefore, to consider elderly's characteristics which tend to dislike the new stimulus as well as to don't adapt to new environmental, generalized sleep education to reinforce good sleep habit is worth hospitalized elderly's use on nursing intervention for sleep improvement rather than try to new implementation for sleep improvement.
Files in This Item:
T01014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95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