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0 751

Cited 0 times in

위험음주와 선호주종 관련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ssociation of risky drinking with type of alcoholic beverage preference : compared with alcohol use disorder and high risk drinking for acute problem 
Authors
 김은경 
Issue Date
2008
Description
국제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과도음주가 다양한 주종별 알코올 함량에 따라 여러 형태의 서로 다른 알코올 관련 위해를 일으킨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각 인구에 있어서 전체 소비 주종의 결정 요인은 결과적으로 알코올 관련 건강이득과 건강위험의 결정 요인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위험음주로 인한 알코올 관련 위해는 주종과 함께 평가해야 할 것이다.이 연구에서는 위험음주와 선호주종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제3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05)자료, 3,344명을 분석하였다. 위험음주의 확인은 WHO의 알코올 사용 장애와 급성 위해 유발 음주 위험을 근거로 하여 알코올 사용 장애는 일반음주군 및 알코올 사용 장애 음주군으로, 급성 위해 유발 음주 위험은 고위험군 및 저위험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선호주종은 음주일 당 순수 알코올 섭취량이 가장 높은 주종으로 선별한 후, 소주, 맥주, 막걸리, 기타주종의 4범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선호주종 및 인구사회학적, 생체지표적, 보건의식행태적 특성에 따른 알코올 사용 장애와 급성 위해 유발 음주 위험을 카이검정으로 비교하였으며, 모든 특성에 따른 요인 간 영향을 배제한 상태에서 선호주종에 따른 위험음주의 통계적 유의성을 알아보고자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연구 결과, 알코올 사용 장애 음주에 대한 단변량 분석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 수준, 직업, 결혼상태, BMI, 중성지방, HDL-C, 혈압, 혈당, 흡연, 함께 술 마시는 대상, 일상생활 활동종류, 선호주종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로지스틱 분석 결과, 알코올 사용 장애 음주는 맥주에 비해 소주가 2.53배 막걸리가 1.8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성이 여성보다, 연령별로는 20대에서 가장 높고 50대 이상에서는 낮아졌으며, 대도시에 사는 사람이 농어촌에 사는 사람보다 높았고, 행정사무직과 판매서비스직이 높았다. 또한, 고중성지방혈증, 고혈압, 고혈당인 사람이 높았으며, 저HDL-C혈증에 비해 정상HDL-C혈증인 사람이 알코올 사용 장애가 유의하게 높았고 비흡연인 사람에 비해 과거흡연자와 현재흡연자가 높았고, 스트레스를 거의 안 느끼는 사람과 자살사고의향이 있었던 사람이 알코올 사용 장애가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급성 위해를 일으키는 음주 위험도에 대한 단변량 분석에 있어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표준화 가구소득, 거주지, 직업, 가구원수, 결혼상태, BMI, 중성지방, HDL-C, 혈압, 흡연, 함께 술 마시는 대상, 일상생활 활동종류, 선호주종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모든 특성들을 통제한 로지스틱 분석 결과에서는 급성 위해 유발 음주 수준이 고위험인 경우가 맥주에 비해 소주가 2.79배 기타주종(포도주, 과실주, 약주, 양주 등 포함)이 1.53배로 높았고,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고, 연령별로는 20대가 가장 높고, 40대 이상부터 연령이 증가 할수록 점차 낮아졌으며, 대도시에 사는 사람이 농어촌에 사는 사람에 비해 높았고, 행정사무직, 가구원수가 1명인 경우가 가장 높고, 5명 이상에서 낮게 나타났다. 또한, 비만(BMI>25), 고중성지방혈증, 고혈압인 사람이 높았으며, 저HDL-C혈증에 비해 정상HDL-C혈증인 사람이 높았고, 비흡연인 사람에 비해 과거흡연자와 현재 흡연자가 급성 위해 유발 음주 수준이 고위험으로 유의하게 높았다.위와 같이 분석된 알코올 사용 장애 및 급성 위해 유발 음주 위험과 선호주종의 관련성은 우리나라에서 위험음주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소주의 소비를 감소시키거나 주종 간의 유해위험도의 차이를 고려하여 저도주의 알코올을 개발하거나 소비하도록 하는 정책적 결정에의 근거를 제공하며, 위험음주가 비만, 고혈압, 고혈당, 고중성지방혈증 등과의 상승된 교차비를 나타내는 것은 기존의 대사증후군과 음주와의 관련 가설을 지지하는 이차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할 것이다. 또한, 위험음주와 관련있는 요인으로 확인된 20대, 행정사무직과 판매서비스직, 대도시 거주자, 흡연층을 대상으로 절제 음주교육 및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It is well known that excessive drinking regarding typical beverage strength can cause different types of alcohol-related risk or harm to individual. For the purposes of making more accurate estimates of risky alcohol consumption, the variation of beverage type is critical to determin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alcoholic beverage preference with risky drinking: alcohol use disorder(AUD) and high risk drinking for acute problems.This study is based on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n 2005 were used.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3,344 adults over the age of 19yrs. AUD was defined by Alcohol Use Identification Test with 8 point as cut-off. And, 2 levels of high risk drinking were categorized to the gui-deline from WHO(2000). Data were analysed the factors affecting the AUD and high risk drinking for acute harm using x2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overall prevalence of AUD among drinkers were 41.5% and of high risk drinking for acute problems were 40.0%.Second, the significant variables of the associations between AUD were : gender, ages, level of education, type of occupation, state of marriage, smoking, BMI, triglyceride, HDL-C, blood pressure, blood glucose, partners in drinking, stress, levels of action. And also, gender, ages, level of education, type of occupation, the standardized household income, residential areas, size of family, BMI, triglyceride, HDL-C, blood pressure, partners in drinking, smoking, levels of action were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high risk drinking for acute harmThird, soju drinkers had an odds ratio(OR) of 2.53[95%CI 2.00-3.22] compared with beer drinkers and makkolli drinkers had adjusted OR of 1.81[95%CI =1.22-2.68] for AUD. Also, using beer drinkers as the reference soju drinkers showed an OR of 2.79[95%CI=2.21-3.51] and the rest(wine, spirits, fruit wine etc.) drinkers had an OR of 1.53[95%CI=1.04-2.24] for high risk for alcohol-related problems. This study shows that alcoholic beverage preference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characterization of risky drinking.
Files in This Item:
T01012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93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