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4 796

Cited 0 times in

그레이브스병 환자에서 갑상선 기능 회복이 혈청 아디포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functional recovery of thyroid function on serum adipocytokines in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Authors
 정한영 
Issue Date
2007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목적: 지방조직은 렙틴, 아디포넥틴, 레지스틴 및 RBP-4(retinol-binding protein-4) 등과 같은 아디포사이토카인을 분비하는 대사 조절 조직이며, 그레이브스병 환자에서 갑상선 호르몬 수치에 따른 대사 및 신체계측지수의 변화는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디포사이토카인이 그레이브스병과 같은 대사 항진 및 체중 감소의 상태에서 항갑상선 약물을 투여하여 정상 기능으로 회복되었을 때 아디포사이토카인 및 각종 대사 지표를 비교함으로써 기초대사량과 아디포사이토카인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들사이의 인과관계를 밝혀, 비만 및 대사증후군, 당뇨병과 같은 질환에서의 비만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20명의 그레이브스병 환자를 대상으로 진단 당시 와 치료후 갑상선 기능이 정상화된 상태에서 신체계측지수(키, 체중, 체질량지수, 허리둘레)의 변화 및 생화학적 지표(포도당, 콜레스테롤, 인슐린 저항성(HOMA-IR index)) 및 아디포사이토카인의 변화를 관찰하였다.결과: 그레이브스병 진단 당시와 갑상선 기능이 회복된 상태를 비교한 결과, 신체계측지수, 총콜레스테롤, 고밀도 및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인슐린 저항성은 진단 당시 높은 수치였다가 갑상선 기능 회복시 감소하였고, 아디포사이토카인의 수치 중 렙틴, 레지스틴, RBP-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가져왔다. 아디포사이토카인의 증가 또는 감소 비율에 대한 연관성을 관찰한 결과,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과 렙틴의 증가 비율만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신체계측지수, 인슐린 저항성, 갑상선호르몬 수치, 생화학적 지표와의 연관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성별차이에서는 렙틴만 여성이 남성에 비해 2배 높게 측정되었으며, 약제에 따른 아디포사이토카인의 변화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결론: 갑상선 기능이 회복되면서, 신체계측지수 및 생화학적 지표의 유의한 변화 및 렙틴, 레지스틴, RBP-4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각각의 변수와의 연관성이 없어 아디포사이토카인은 갑상선 기능 이상에서 대사지표의 변화에 있어 그 역할의 연관성이 떨어지며 인슐린 저항성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영문]

Objective: Adipose tissue is a hormonally active system that produces and releases different bioactive substances. Leptin, adiponectin, resistin and RBP-4 are some of the recently discovered adipocytokines that participate in the regulation of intermediate metabolism.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irculating levels of leptin, adiponectin, resistin and RBP-4 and basal metabolism data(body mass index, weight change, glucose, cholesterol and HOMA-IR for insulin resistance in patients with thyroid dysfunction before and after normalization of thyroid function with appropriate therapy.Method: We studied 20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Patients were evaluated at the time of diagnosis and again after normalization of thyroid function with appropriate therapy. Serum concentrations of free T4, total T3, TSH, insulin, glucose, lipid panel(total cholesterol, LDL-C, HDL-C, TG), adiponectin, leptin, resistin and RBP-4 were measured in all subjects.Results: Graves’ disease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lipid panel, BMI, waist circumference and increased HOMA-IR, leptin, resistin and RBP-4 in comparison with normalization of thyroid function.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diponectin and no direct correlation between total percentage change in adiponectin and variables.Conclusion: Inadequate secretion of adiponectin seems to have no role in metabolic changes associated with thyroid dysfunction.
Files in This Item:
T01002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83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