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3 788

Cited 0 times in

제 2형 당뇨환자의 지각된 스트레스, 영적안녕, 자기간호행위와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stress, spiritual well-being and self-care behavior in patient with Type 2 diabetes 
Authors
 이연희 
Issue Date
2007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제 2형 당뇨환자를 대상으로 지각된 스트레스, 영적안녕, 자기간호행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07년 4월 30일부터 5월 30일까지 이루어졌다. 서울소재 이개 병원에 입원한 환자와 외래 통원 치료중인 제 2형 당뇨환자 120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질병 관련 특성, 지각된 스트레스, 영적안녕, 자기간호행위를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측정도구는 Cohen 등(1983)의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erceived Stress Scale:PSS), 최상순(1990)이 번안한 영적안녕 척도(Spiritual Well-being Scale), 김영옥(1996)이 개발한 자기간호행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5.0 program을 이용하여 전산 통계 처리 하였고, 서술통계, t-test, ANOVA, ANCOVA, Pearson Correlation, Partial 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연구 대상자의 지각된 스트레스 평균은 1.84±0.46점이었고, 영적안녕 평균은 2.54±0.66점이었으며, 자기간호행위 평균은 3.19±0.61점이었다.2.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정도 차이는 무교인 사람이 기타 종교나 불교인 사람보다 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7.50, p <.001).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정도 차이는 합병증이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지각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2.45, p=.01).3.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종교적 안녕의 정도 차이는 남자보다 여자가 (t=3.88, p <.001), 60세 이하 보다 61세 이상이(t=2.68, p <.001), 가정주부인 군이(F=7.15, p <.001), 음주를 하는 군보다 음주를 하지 않는 군이(F=13.82, p <.001), 흡연하는 군 보다 흡연 하지 않는 군이(t=3.86, p <.001), 종교가 없는 군보다 있는 군이(F=26.12, p <.001), 종교 행사에 참석하는 군이(t=7.54, p <.001), 종교행위를 하는 군이(t=7.32, p <.001) 종교적 안녕의 정도가 높았다.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실존적 안녕 정도의 차이는 60세 이하 보다 61세 이상이(t=1.94, p <.001), 음주하는 군 보다 음주 하지 않는 군이(F=4.82, p=.01), 흡연하는 군 보다 흡연하지 않는 군이(t=2.18, p=.01), 종교가 있는 군이(F=7.99, p <.001), 종교행사에 참석하는 군이(t=2.77, p <.001), 종교행위를 하는 군이 (t=2.98, p <.001) 실존적 안녕의 정도가 높았다.4.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자기간호행위 정도의 차이는 동거가족이 없는 군 보다 있는 군이(t=2.19, p=.03), 101만원 이상의 수입을 갖고 있는 군이(F=3.02, p=.05), 당뇨 이환기간이 10년 이하인 군 보다 11년 이상인 군이(t=2.45, p=.01), 당뇨약을 복용 하는 군이(t=2.39, p=.01), 당뇨교육을 받은 군이(t=4.66, p <.001) 자기간호행위의 정도가 높았다.5.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기간호행위, 지각된 스트레스와 영적안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영적안녕과 자기간호행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성별, 연령, 당뇨이환기간, 당뇨약 복용 유무, 종교 유무, 동거가족 유무를 통제한 후 편상관관계로 분석한 결과 지각된 스트레스와 영적안녕, 지각된 스트레스와 종교적 안녕, 종교적 안녕과 자기간호행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결과적으로, 지각된 스트레스와 실존적 안녕,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기간호행위는 역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며, 영적안녕과 자기간호행위는 순의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당뇨환자의 지각된 스트레스 자체를 감소시키거나, 영적안녕감을 높여서 스트레스를 감소시킴으로 자기간호행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spiritual well-being and self-care behavior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his was cross sectional correlational design with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the participants were 120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in 2 hospitals in Seoul from April 30th, 2007 to May 30th, 2007. The questionaires were socio-demographic factors,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perceived stress scale, spiritual well-being scale, self-care behavior scale.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5.0 version, an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were used.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1.Mean values of perceived stress, spiritual well-being and self-care behaviors were 1.84±0.46, 2.54±0.66 and 3.19±0.61 respectively.2. The perceived stre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ligion(F=7.50, p <.001), and whether or not having complication(t=2.45, p=.01).3. The religious well-be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gender(t=3.88, p <.001), age(t=2.68, p <.001), job(F=7.15, p <.001), drinking (F=13.82, p <.001), smoking(t=3.86, p <.001), religion(F=26.12, p <.001), attendance of religious event(t=7.54, p <.001), religious behavior(t=7.32, p <.001).The existential well-being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age(t=1.94, p <.001), drinking(F=4.82, p=.01), smoking(t=2.18, p=.01), religion(F=7.99, p <.001), attendance of religious event(t=2.77, p <.001), religious behavior(t=2.98, p <.001).4. The self-care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average monthly income(F=3.02, p=.05), duration of diabetes(t=2.45, p=.01), taking antidiabetic medication(t=2.39, p=.01), experience of diabetic education(t=4.66, p <.001).5. The negative relationship of perceived stress and existential well-being, and positive relationship of perceived stress and self-care behavior presen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some covariables. The spiritual well-being and self-care behavi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In conclusion, perceived stress, spiritual well-being and self-care behavior had shown a significant correlation. Thus,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is necessary to decrease perceived stress and to increase spiritual well-being for self-care behavior of patients with diabetes.
Files in This Item:
T00997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78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