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7 883

Cited 0 times in

아래턱 턱뼈가지의 수술적 접근을 위한 안쪽날개근의 국소해부

Other Titles
 Topography of the medial pterygoid muscle for the surgical approach of the mandibular ramus 
Authors
 양승준 
Issue Date
2007
Description
치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안쪽날개근은 턱뼈가지의 안쪽면에 위치하며, 날개돌기 가쪽판의 안쪽면에서 일어나 턱목뿔근고랑과 턱뼈각 사이 거친면으로 닿는 근육으로 강하게 아래턱뼈를 올리며 아래턱을 내미는 작용을 담당한다. 임상적으로 안쪽날개근은 턱관절 운동과 관련된 기능 뿐만 아니라, 이 근육에서 유래한 근육다발이 완전틀니 안정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안쪽날개근의 동맥분포는 매우 다양하며, 턱뼈가지 주위의 수술시 예기치 않은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근육의 국소해부학적 관계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 근육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이 기능적 특징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을 뿐 근육의 부착부위와 이 근육에 분포하는 신경 및 동맥과 관련된 임상해부학적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이에 저자는 안쪽날개근의 부착 부위와 이 근육의 형태학적 특징 및 국소해부학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국인 시신 51쪽의 맨눈해부와 미세해부를 시행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안쪽날개근은 중간부분이 59.4±7.1mm로, 근육의 중간부분이 가장 길었으며 근육 전체길이의 위쪽 1/3부분이 힘줄로 이루어져 있었다.2. 턱뼈각 부위에서 안쪽날개근과 깨물근의 닿는곳 형태를 비교하였을 때, 턱뼈각점에서 턱뼈가지 위쪽으로 닿는 부분까지의 길이는 두 근육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턱뼈각점에서 앞쪽으로 닿는 부분까지의 길이는 깨물근이 안쪽날개근보다 2배 이상 길었다.3. 안쪽날개근 닿는곳은 닿는곳의 형태와 턱목뿔근신경고랑을 기준으로 6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중 안쪽날개근 닿는곳의 일부 섬유가 따로 떨어져서 턱목뿔근신경고랑을 침범하지 않는 V유형이 26.6%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4. 날개돌기 가쪽판의 뒷모서리와 나비뼈가시를 연결하는 덧안쪽날개근(날개가시근)은 31쪽 중 4쪽에서 확인되었다.5. 안쪽날개근에 분포하는 아래턱신경의 날개근가지는 대부분 근육의 뒤쪽 1/3이나 뒤모서리부분으로 들어가 근육에 분포하였으며, 날개갈고리부터 안쪽날개근신경이 근육으로 들어가는 부위까지의 수직높이는 평균 10.1mm였다.6. 안쪽날개근에는 일반적으로 교과서에 기술된 것과는 달리 위턱동맥의 날개근가지 (100%), 얼굴동맥의 근육가지 (20%), 오름입천장동맥 (100%), 얼굴동맥의 앞근육가지 (90%), 바깥목동맥에서 직접 일어나는 가지 (80%) 등 다양한 동맥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이중 오름입천장동맥이 주된 동맥인 경우가 80%, 얼굴동맥의 앞근육가지가 주된 동맥인 경우가 20%로 나타났다.종합하면 이 연구를 통해 연구자들은 지금까지 기술되지 않았던 안쪽날개근에 분포하는 신경과 혈관들의 국소해부학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연구를 통해 밝힌 안쪽날개근과 주위 구조들간의 해부학적 관계는 이 부위의 임상적 적용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Situated on the internal surface of the mandibular ramus, the medial pterygoid muscle, which is originated from the medial surface of the lateral pterygoid plate and inserts to the rough surface between mylohyoid groove and the mandibular angle, is responsible for elevating and protruding the mandible. Clinically, it has been known that the medial pterygoid muscle influences the mandibular functions related to mandibular movements. In addition, the muscle bundle of the medial pterygoid muscle influences the stability of a complete denture. The arteries of the medial pterygoid muscle show various distributions, which may lead to unpredictable bleeding during surgeries of the mandibular ramus region. Therefore, the topography of this muscle is clinically important.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on the medial pterygoid muscle focused on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while researches on the clinical anatomy related to the insertion area, innervation, and blood supply of this muscle were rare.Therefore, the author investigated the morphological and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medial pterygoid muscle by gross and micro dissection of 51 Korean cadaver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1. The middle portion of the medial pterygoid muscle was the longest with the length of 59.4±7.1mm, and upper one third of the total length of the muscle was composed of tendon.2. When comparing the morphology of the insertion area of the medial pterygoid muscle and the masseter muscle in the mandibular angle region,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length of the insertion from the gonion to the superior margin of the insertion on the ramus. However, the length from gonion to the anterior margin of the insertion on the ramus in the masseter case was twice as long as the medial pterygoid muscle case.3. Insertion of the medial pterygoid was morphologically classified into six groups based on the insertion pattern and the mylohyoid groove. Type V, which the muscle fibers in the insertion of the medial pterygoid muscle were divided and did not invade the mylohyoid groove, were found the most (26.6%).4. The accessary medial pterygoid muscle (pterygospinous muscle), which connects the posterior margin of the lateral pterygoid plate and sphenoidal spine, was found in 4 cases.5. Most of pterygoid branch of trigeminal nerve entered the medial pterygoid muscle through the posterior one third area or the posterior marginal area. The average length between hamulus and the region where the pterygoid branch of mandibular nerve entered the medial pterygoid muscle was 10.1mm.6. Different from the description in the textbook, many arteries such as the pterygoid branch of the maxillary artery (100%), direct muscular branch of the facial artery(20%), ascending palatine artery (100%), anterior muscular branch of the facial artery (90%), and muscular branch directly arising from the external carotid artery (80%) distributed the medial pterygoid muscle. Among these arteries, the main artery was the ascending palatine artery in 80%, and the facial artery in 20 %.In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s the topography of the nerves and blood vessels distributing the medial pterygoid muscle that has not ever been described before. In addition, the anatom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l pterygoid muscle and the surrounding structures will be able to provide useful data for clinical applications.
Files in This Item:
T00993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74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