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1 537

Cited 0 times in

웹 기반의 맞춤형 산후정보제공 프로그램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a web-based, tailored postpartum information program 
Authors
 박미정 
Issue Date
2007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산욕기 동안 산후간호관리에 대한 정확한 지식에 근거한 건강행위를 도모하고자 산후시기, 분만방법, 수유형태에 따른 산모와 신생아의 간호요구를 반영한 웹 기반의 맞춤형 산후정보제공 프로그램을 개발한 방법론적 연구이다.프로그램 개발과정은 '프로그램 내용 구성, 프로그램 내용 수정·보완, 자료수집 및 프로그램 운영방법 구체화, 프로그램 구현, 프로그램 가동성 검증, 프로그램 평가 그리고 프로그램 완성'의 단계를 거쳤다.본 연구의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프로그램 내용 구성 단계에서는 산욕기 산모의 생리적 특성과 사회·심리적 특성, 신생아의 생리적 특성, 사회·심리적 특성 그리고 발달적 특성에 따른 간호요구와 산후시기에 따른 간호요구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후 자가간호 및 신생아간호 요구를 간호요구영역과 간호요구내용으로 분류한 후, 산후시기별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였다.2. 프로그램 내용 수정·보완 단계에서는 출산경험이 있는 간호학 전공자 3인과의 면담과 산·소아과 관련 전문가 8인의 자문을 통해 산후시기를 '출산 ~ 산후 7일', '산후 8일 ~ 산후 14일', '산후 15일 ~ 산후 28일', '산후 29일 ~ 산후 42일'로, 분만방법을 '자연분만', '제왕절개분만'으로, 수유형태를 '모유수유', '인공수유'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분류에 따라 산모의 간호요구영역을 개인위생 및 환경, 영양, 수술부위 관리 및 오로, 수유 및 유방관리, 활동 및 운동, 정서변화 그리고 성생활로, 신생아의 간호요구영역을 제대관리, 목욕 및 마사지, 대소변, 울음, 수면, 예방접종, 정상발달로 구성하고 산모와 신생아의 시기별 요구에 맞춰 정보가 제공되도록 간호요구영역의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3. 자료수집 및 프로그램 운영방법 구체화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내 삽입될 멀티미디어 자료를 텍스트 이미지와 그래픽 이미지 형태로 수집하고, 사이트 맵과 스토리보드 작성을 통해 프로그램 운영계획을 구체화시켰다.4. 프로그램 구현 단계에서는 산모들이 쉽게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전문제작업체의 도움을 받아 http://www.postpartum.kr에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5. 프로그램 가동성 검증 단계에서는 산후시기, 분만방법, 수유형태를 고려한 가상의 산모 자료를 생성하여 프로그램 가동성을 확인하였으며 팝업창의 속도, 관련 사이트로의 링크에서 문제가 발견되어 수정하였다.6. 프로그램 평가 단계에서는 웹 전문가, 임상 전문가, 프로그램 대상자가 프로그램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웹 전문가의 경우 목적성이 가장 높고, 권위성이 가장 낮았으며, 임상전문가의 경우 시스템 효율성이 가장 높고, 시스템 편리성이 가장 낮았다. 그리고 프로그램 대상자의 경우 시스템 효율성이 가장 높고, 정보의 적합성이 가장 낮았으나, 이는 산후시기에 따라 달랐다.7. 프로그램 완성 단계에서는 평가 결과를 근거로 참고문헌 항목 삽입, 구체적인 정보의 제시, 잘못된 정보의 교정, 팝업창의 크기의 확대, 게시판 설치 등을 수정·보완하여 웹 기반의 맞춤형 산후정보제공 프로그램을 최종적으로 완성하였다.본 연구결과를 통해 산모의 산후시기, 분만방법, 수유형태에 따라 맞춤형 정보제공이 가능한 웹 기반의 맞춤형 산후정보제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추후 연구를 통해 본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정·보완된 프로그램을 임상 실무에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web-based, tailored postpartum information program to provide exact knowledge and promote postpartum self-care based on needs of the new mother and newborn during the puerperal period, and according to type of delivery and pattern of lactation. This study used a methodological design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nursing intervention.The development process consisted of the following stages; content construction, content validation and revision, multimedia data collection and operation planning, program implementation, program workability identification, program evaluation, and confirmation of the final program.The results of this study obtained in the development process are summarized as follow.1. For the stage of program content composition, analysis of the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needs of the new mothers and newborns was done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classification of postpartum care needs of new mothers and babies, and construction of program content according to time in the puerperal period2. The stage of content validation and revision; reflecting opinions of 3 nurses who experienced delivery and 8 experts in obstetric and pediatric care, the puerperal period was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 day of birth to 7 days after birth', '8 to 14 days after birth', '15 to 28 days after birth', and '29 to 42 days after birth'. The type of delivery was classified as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cesarean section delivery', and the lactation pattern as 'breast feeding' or 'artificial feeding'. Needs of the new mother and baby were prioritized in order to offer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ime in the puerperal period.3. The stage of multimedia data collection and operation planning included data collection of text images and graphic images, framing of site map and storyboard, and establishment of operation planning.4. The stage of program implementation; to embody the program on the web, a professional web designer produced the program in a user-friendly manner at http://www.postpartum.kr.5. The stage of program workability identification; to ensure a smooth running of the program formation of fake puerperal data, identification of program workability, and rectification of problem on pop-up menu velocity and a check of links to related sites were done.6. At the program evaluation stage, the program was evaluated and revised by web experts, clinical experts, and new mothers. The web experts gave the purpose of the program the highest scores and authoritativeness the lowest. The clinical experts scored the system efficiency the highest and system convenience the lowest. System efficiency was also scored the highest by the new mothers, but information relevance was scored the lowest. However, results differed according to time in the puerperal period.7. In the last stage, the final program was prepared after revision of problems such aspop-up menu zooming, false information, bulletin board access, reference content, and so on.As the result of this study, a web-based, tailored postpartum information program was developed to provide information reflecting the needs of new mothers and babies according to progression in the puerperal period, type of delivery and lactation pattern.For further studies, validation of the programs, and tests of its effect are needed.
Files in This Item:
T00988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69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