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49 864

Cited 0 times in

유방암 환자에서 p53 유전자 돌연변이의 임상 및 병리학적 특징과의 연관성 및 예후 인자로서의 가치

Other Titles
 Correlation between p53 gene mutation and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s a prognostic factor in p 
Authors
 김승기 
Issue Date
2007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배경 :유방암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여성의 악성 암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는 악성종양으로 그 빈도가 점차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최근에는 유방암의 발생 및 경과에 관련된 종양 유전자와 종양 억제유전자에 대해 예후 인자로서의 유용성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연구가 활발히 행하여지고 있다. 유방암에서 p53의 변이는 약 20-40%로서 보고 되고 있으며 정상적인 p53의 기능이 소실되면 환자의 예후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대상 및 방법 : 본 연구에서는 2003년 6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영동세브란스 병원에서 침윤성 유방암으로 진단된 188명의 환자, 192예의 신선조직 및 파라핀 포매조직을 채취하여 기존의 면역조직화학 염색법과 Single 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SSCP) 방법과 비교하여 민감도와 특이도가 96%에서 100%로 더욱 높고 시간 및 경제적으로 절약되는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Denatur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DHPLC)-염기서열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exon 5에서 9까지의 p53 유전자 변이 양상을 확인하고 변이에 따른 유방암 환자의 임상 및 병리학적 특징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조직학적 예후 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비교하고 변이군과 대조군과의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여 예후 인자로서의 가치를 연구하였다.결과 :총 192예 중 40예(20.8%)에서 p53 유전자 exon 5에서 exon 9 범위 내에서 변이가 일어났고, exon 5 변이가 16예(40.0%)로 가장 많았다. 서구인에서 주로 codon 248, 273에서 많은 변이 빈도를 보였던 것과는 다르게 codon 175(4예)에서 가장 많은 변이가 나타났으며 과오돌연변이(missense mutation)가 25예(62.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DHPLC법에 의한 p53 돌연변이는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에 의한 변이 양성율(37.0%)보다 낮고 두 결과의 상호간의 일치도는 높지 않았다(kappa 일치도, 0.32). p53 유전자 변이와 조직병리학적 예후 인자와의 비교에서는 조직학적 등급과 핵 등급,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c-erbB-2, Ki-67 등의 인자들과 연관이 있었다. 대상 환자 188명 중에서 재발한 환자는 12명(6.4%)으로 최초 재발 부위는 뼈 5예, 흉벽 3예, 폐 2예, 뇌 및 반대측 유방 각 1예의 순이었다. 무병 생존율의 비교에서는 DHPLC 방법과 면역조직화학 염색법 모두에서 p53 변이군과 대조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의의는 없었다.결론:본 연구에서 DHPLC 방법을 통한 p53 유전자 변이는 20.8%에서 나타났으며 codon 175에서 가장 많은 변이 양상을 보였다. 조직학적 등급과 핵 등급, 에스트로겐 및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c-erbB-2, Ki-67 등 기존의 예후 인자들과는 관련이 있었지만 생존율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보다 많은 대상 수와 장기적인 추적 관찰을 통하여 p53 유전자 변이가 독립적인 예후 인자로서의 가치를 가질 것인지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PURPOSES:p53 gene muta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several cancers and are present in 20-40 % of all breast cancers, contributing to increased genomic instability. Recently,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p53 gene mutation is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in breast cancer and a majority of them have relied on immunohistochemical (IHC) stain to assess p53 alteration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lucidate the clinical value of p53 gene mutation as a prognostic factor in breast cancer patients by comparing with known clinicopathologic prognostic factors.METHODS:Mutations in exon 5 to 9 of p53 were analyzed from 192 tissue blocks of 188 primary invasive breast cancer patients in Yongdong Severance Hospital from June 2003 to March 2006 by a newly developed technique calle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denatur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DHPLC)- sequence analysis.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other clinical and pathologic parameters currently in use for primary breast cancer prognosis. Disease free survival rate was also examin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value of p53 gene mutation as a prognostic factor.RESULTS:Mutations in exon 5 to 9 of p53 were detected by DHPLC in 40 cases(20.8%) among 188 patients, which rate was less than 37.0% of immunohistochemical stain method. Codon 175 was a hot spot codon comparing with codon 248, 273 for the other western studies. Missense mutations were the most frequent ones (25 cases, 62.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53 gene mutation and histologic grade, nuclear grade, estrogen & progesterone receptor, c-erbB-2 and Ki-67. Twelve recurred cases(6.4%) were including 3 local and 9 systemic recurrences. Neither p53 gene mutation by the DHPLC method nor p53 protein expression by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 method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disease free survival rate.CONCLUSIONS:This study showed the 20.8% mutation rate of p53 gene by DHPLC method and the most frequent mutation site was codon 175. This method could be used as a prognostic indicator in the management of breast cancer. But the impact of p53 gene mutation on overall survival and disease free survival rates should be evaluated further with more patients accrual and long term follow up.
Files in This Item:
T00984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65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