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7 823

Cited 0 times in

암 전문코디네이터의 직무 중요도와 수행도에 관한 조사연구

Other Titles
 (The) role of cancer care coordinators : importance of tasks and performance 
Authors
 김미숙 
Issue Date
2007
Description
보건정책 및 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연구된 종양전문 간호사 역할 표준의 요소들을 기초로 일 대학병원의 암 전문코디네이터, 암 전문 클리닉의 임상의사, 암 전문코디네이터의 서비스를 경험한 암 환자의 3그룹에서 인지하는 역할표준의 요소별 중요도를 파악하여 암 전문코디네이터의 역할정립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암 환자가 인지하는 역할표준의 요소별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본 연구에서는 2007년 4월 31일부터 6월 8일까지 일 대학병원 암 전문코디네이터 9인, 암 전문클리닉 임상의사 9인, 암 환자 1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14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암 전문코디네이터, 암 전문클리닉 임상의사, 암 환자들의 3그룹에서의 역할요소별 중요도 평균은 46가지 항목 모두에서 3점 이상(‘보통이다’, ‘중요하다’, ‘매우 중요하다’)으로 나타났다. 실무 전문가로서의 직무 영역에 있어서 암 전문코디네이터 중 50% 이상에서 시행되고 있는 항목은 20항목 중 16항목으로 환자의 일반적 정보 및 환자의 병력·의식 수준 조사, 검사 결과 확인 및 해석, 필요시 검사 및 약물 처방, 수술환자 및 방사선요법 환자·항암요법 환자의 치료계획 참여 및 정보 제공, 표준요법 치료 및 수술환자·항암요법 환자의 부작용 및 합병증 관리, 응급 상황 중재 및 보고, 암 환자의 상태에 따른 치료계획 조정, 암 환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의 의뢰계획수립, 암 전문클리닉 회의 및 회진 참여 항목으로 나타났다. 교육자로서의 직무 영역에 있어서 암 전문코디네이터 중 50% 이상에서 시행되고 있는 항목은 6항목 중 4항목으로 암 환자 및 가족·관련부서 직원의 교육적 요구를 파악하고, 암 환자에게 항암요법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교육책자 및 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환자가 교육에 계속 참여하도록 관리하는 항목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로서의 직무 영역에 있어서 암 전문코디네이터 중 50% 이상에서 시행되고 있는 항목은 4항목 중 2항목으로 연구 결과를 임상에 적용하고, 다 학제간 연구과정에 참여하는 항목으로 나타났다. 자문 및 협진자로서의 직무 영역에 있어서 암 전문코디네이터 중 50% 이상에서 시행되고 있는 항목은 3항목전체로서 암 환자 및 가족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암 환자 관련 그룹 및 부서와 관련된 자문에 응하고 암 환자 생활관리를 위한 협진업무를 시행하는 항목으로 나타났다. 행정 및 변화촉진자로서의 직무 영역에 있어서 암 전문코디네이터 중 50% 이상에서 시행되고 있는 항목은 13항목 중 5항목으로 암 환자가 이용할 수 있는 자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암 전문코디네이터 역할을 개발하고, 업무보고서를 작성하고, 암 환자 및 가족 대상 건강강좌를 기획하고, 관련학회의 회원으로 활동하는 항목으로 나타났다.암 환자의 역할요소별 중요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암 전문코디네이터 서비스 경험유무, 연령, 학력, 진단 분류 등으로 나타났다. 암 전문코디네이터 서비스 경험유무와 관련되어 역할요소별 중요도 인식에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일반적 정보 및 의식수준을 조사하고, 필요시 검사 및 약물을 처방하고, 표준요법 치료 및 수술·항암요법의 부작용 및 합병증을 관리하고, 수술환자 및 항암요법 환자의 치료계획 참여 및 정보를 제공하고, 암 환자 및 가족의 사회적·심리적·영적요구를 파악하고, 암 환자의 통증관리를 위한 간호중재를 적용하고, 교육을 어렵게 하는 요소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전략을 개발하고, 암 환자 생활관리를 위한 협진업무를 수행하는 항목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암 전문코디네이터 서비스 경험유무와 관련되어 역할요소별 중요도 인식에 차이를 보이는 모든 항목에 있어서 서비스 경험을 한 암 환자의 중요도 평균점수가 서비스 경험을 하지 않은 암 환자의 중요도 평균점수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있어서는 40세 미만의 환자군에 비해 60세 이상의 환자군에서 연구자로서의 직무영역에 대한 중요도 평균점수가 0.52점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에 있어서 중졸 이하의 환자군에 비해 대졸 환자군에서 연구자로서의 직무영역에 대한 중요도 평균점수가 0.40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단 분류에 있어서 간암 환자군에 비해 위암 환자군에서 연구자로서의 직무영역에 대한 중요도 평균점수가 1.34점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간암 환자군에 비해 폐암 환자군에서 연구자로서의 직무영역에 대한 중요도 평균점수가 0.88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를 위해 수정된 연구도구의 5가지 직무별 46가지 하부 항목 전체를 암 전문코디네이터의 역할표준으로 제시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암 전문코디네이터의 실행도가 50% 미만인 항목에 대해서는 업무 수행을 어렵게 하는 요인을 파악하는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실행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This study, based on the standards of Cancer Care Coordinator roles suggested by studies conducted inside and outside Korea, attempts to identify importance of factors of standards of coordinator roles perceived by coordinators, Oncologists, and three groups of patients who received Cancer Care Coordinator service, to offer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role of the coordinator, and to understand factors affecting the role.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31, 2007 to June 8, 2007,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conducted at a hospital on total 140 participants; nine Cancer Care Coordinators; nine Oncologists; and 122 cancer patients.The average scores of importance (important, very important, and extremely important) of role factors were over three points in all forty-six areas in all three groups.In the category of Practice Specialist, the tasks which were currently performed by more than fifty percent of the coordinator group were: collecting general information and history of patients, evaluating the level of consciousness, checking and informing laboratory results, prescribing tests and medicine as needed, participating in treatment planning for surgical,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patients, managing side effects and complications of standard therapies, operations, and chemotherapies, reporting and mediating in an emergency, adjusting treatment plans, planning for cancer patient consultation, and participating in Oncology meetings and administered routes.In the domain of an educator's role, the following tasks were practiced by more than fifty percent of the coordinators: identifying educational needs of cancer patients, families and staff; educating cancer patients regarding chemotherapy,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s, and encouraging patients to participate in patient education programs.As a researcher, more than fifty percent of the coordinators practiced the following tasks: applying research results in clinical practice and participating in multi-disciplinary research programs.As a consultant, more than fifty percent of coordinators practiced these tasks: providing various counseling services for cancer patients and families, communicating with cancer patient-related groups and departments, and collaborating in managing the cancer patient's activities of daily living.In the category of the role as an administrator and promoter, more than fifty percent of the coordinators practiced tasks such as providing patients with information on usable resources, developing the role of Cancer Care Coordinator, preparing progress reports, planning education on health management of patients and families, and participating in activities of academic organizations in related areas.The factors affecting patients' perception of importance were the patient's former experience with a Cancer Care Coordinator, patient's age, education, and diagnostic classification.The patients' perception of importance of the role factors, based on the existence of experience with a Cancer Care Coordinator was affected by the tasks such as: gathering general information, evaluating consciousness level, prescribing laboratory tests and medicine as needed, managing side effects and complications of surgery and chemotherapy, participating in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reatment planning for surgical and chemotherapy patients, identifying psychosocial and spiritual needs of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providing nursing intervention in pain control, identifying problems in education, and developing relevant strategies, and collaborating in managing the cancer patient's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se areas, the average scores of the patients with former experience with services provided by a Cancer Care Coordinator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patients with no previous experience. The average scores of cancer patients with experienc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patients with no experience.In the category of age, the average scores of the patient group who were forty years old or older were higher by 0.52 than those of the patients who were over sixty. The patients with post secondary education or higher showed the average scores higher by 0.40 than patients with secondary education or lower. In diagnostic classification, liver cancer patient group showed average scores lower by 1.34 than those of stomach cancer patient group. Lung cancer group showed average scores lower by 0.88 than those of liver cancer group.Based on the results above, the five, revised categories of roles and forty-six tasks, developed for this study, can be proposed as new role standards of the Cancer Care Coordinator.However, regarding tasks practiced less than fifty percent, it is recommended that plans for improving performance be developed through in-depth research to identify factors causing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tasks.
Files in This Item:
T00983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64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