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030

Cited 0 times in

입원한 환아 어머니의 입원에 대한 반응

Other Titles
 Mothers reaction to hospitalization of children 
Authors
 조윤희 
Issue Date
1994
Description
간호학교육/석사
Abstract
[한글]

자녀의 입원은 부모에게 위기상황으로 인식되며 긴장감을 갖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환아의 어머니가 환아 곁에 상주하면서 입원 전 과정에 참여하므로서 자녀와 공통의 경험을 통해 공포와 좌절감, 무기력 등의 정서반응을 보이게 된다. 어머니의 정서는 자녀에게 전달된다. 어머니의 긍정적인 정서는 아동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적절한 적응과 질병치료, 회복을 도와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반면 부정적인 정서는 아동의 불안을 증가시키고 치료를 지연시키게 된다.

입원한 환아 어머니의 반응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불안반응에 관점을 두고 시행 되어져온 제한성을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입원한 아동의 적응과 질병치료에 주요한 영향을 주는 환아 어머니가 병원에 머물면서 경험하는 상황에 대한 전반적인 반응을 정확히 파악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연구 방법은 면접법을 사용한 면접 조사 연구로서 1994년 10월 20일부터 11월 5일 까지 총 15일간 서울시내 영동에 위치한 Y대 부속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아동의 어머니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입원하여 경험하게 되는 상황을 제시한 면접 지침 기록지를 이용하였으며 준 구조화된 면접법으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분석에 있어서 어머니 반응은 면담에서 얻어진 대상자의 표현을 유사한 내용을 분류하고 공통된 확인한 다음 분류된 개념을 빈도로 수량화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입원한 환아 어머니가 아이와 함계 병원에 머물면서 경험하게 되는 상황에 대한 반응은 부정적 반응과는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35개로 분류된 어휘중 가장 많은 빈도로 표현된 반응은 안스러움이며 이와 유사한 정서이나 다르게 표현된 걱정 비슷한 수준으로 표현되었고 그 다음으로 불만족과 괴로움, 안심과 만족, 담담함의 반응을 보였다.

질병에 대한 반응: 아이가 병으로 입원한 것을 생각할 때, 아이의 병의 경과와 예후를 생각하면서 걱정을 가장 많이 표현했으며 기대감, 불안, 담담함, 안심, 괴로움, 슬픔 등의 반응을 보였다.

정맥주사와 채혈검사에 대한 반응: 정맥주사를 맞아야 한다고 할 때, 정맥조사와 채혈검사의 처치를 하는 것을 볼 때, 정맥주사를 꽂고 있는 아이를 보면서 안스럽다고 표현한 어머니가 가장 많았으며 괴로움, 걱정, 담담함, 슬픔, 당연감 등의 반응을 나타내었다.

의료진과의 관계에 대한 반응: 의사와의 관계에 대하여 처치나 검사시 아이를 대하는 태도, 치료계획과 검사결과에 대한 설명 및 회진하는 의사를 보면서 어머니가 표현한 정서 반응으로는 안심이 가장 많았고 불만족과 만족함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신뢰감, 불안 등의 반응을 보였다. 또한 아이를 대하는 태도, 치료절차에 대하여 설명하는 간호사에 대하여 만족감을 가장 많이 나타냈고 불만족과 안심 등의 반응을 나타내었다.

가족관계에 대한 반응: 집에 있는 아이와 남편에 대하여 담담하고 안스러워하며 걱정하는 반응을 나타내었다.

병원 환경에 대한 반응: 낯선 병실 환경과 병원에서 아이와 함께 지내는 것, 옆의 다른 아이를 보면서 불만족과 안스러움을 많이 표현하였고 걱정과 불편함 등을 나타내었다.

기타상황에 대한 반응: 입원한 아동의 변화된 행동과 투약 및 입원비를 생각하면서 문제 안됨, 안스러움, 괴로움, 걱정 등의 반응을 나타내었다.





[영문]Hospitaliszation of the child becomes a crisis situation and heightens anxiety. In Korea, the mother always stays with her child in the hospital, being involved in all medical procedures. This caises a sense of fear, frustration and helplessness because the mother shares the same experience with her child. The emotion of mother is transferred to the child. The positive emotion of mother decreases the child's anziety, and helps the child being cured and recoverd. The negative emotion of mother increases the child's anxiety, and delays being cured.

The previous studies on the mother's reaction tended to focus on the anxiety reaction rather than to cover the total reaction of the mother. This study, therefore, attempts to exactly examine the reaction where the mother experiences with her child in the hospital.

This study used a interview method, interviewing to mothers whose children were hospitalized at the pediatric ward in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YondDong, Seoul. The interview was conducted from Oct. 20 to Nov. 5, 1994.

The data-collection instrument used a semi-structure interview technique. In anaysis of data, the researcher categoried the similar expression related to the mother's reaction, and quantified the categorized concepts in frequ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The reaction where the mother experiences with her child in the hospital was expressed positive reaction rather than negative emotional reaction. The mothers reaction to hospitalization of child appeared most in compassion and worry, followed by dissatisfaction, distress, relief, satisfaction and silence.

Reaction about illness: The response about the progress and prognisus of illness appreared in order of worry, expectiations, anxiety, silence, relief, distress and sorrow.

Reaction about intrevenous and blood test: Compassion appreared most in mother's reaction, followed by distress, worry, silence, sorrow and necessity not only when the mother watches that her child is having a IV but when the child is being blood-tested.

Reaction of relationship with the medical staff: As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doctor, the mother's reaction appreared most in relief, and similar in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in doctor's attitude towards the child like explaning the treatment plan and test-results as well as seeing the doctor make the rounding. So appreared trust and anxiety. In relatioship with the nurse, satisfaction and relief in nurse's response, followed by dissatisfaction and relief in nurse's attitude toward the child, explaning the treatment procedure to the mother.

Reaction towards the family relatioship: The mother's reaction towards the children and husband at home appreared in term of silence, compassion and worry.

Reaction toward hospital environment: While the mother was staying with the child as well as seeing other children in the unfamiliar hospital environment, the mother showed dissatisfaction, compassion, worry and uncomfortableness in response.

Reaction towards other situations: The mother showed count of nothing, compasstion, distress and worry in response while the mother observes the child's behavior change, and worries about medication and hospital fee.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61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