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733

Cited 0 times in

입원한 노인환자의 가족지지, 자아존중감, 무력감과의 관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relatioship among family support, self-esteem, and powerlessness of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Authors
 김인영 
Issue Date
1991
Description
간호학교육/석사
Abstract
[한글]

현대의학의 발달과 사회의 변화 및 경제수준의 향상으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연장되어 인구의 노령화 현상이 초래되고 노인인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노년기는 노화에 따른 기능저하로 질병에 이환되기 쉽고 노인으로 하여금 활동 조절능력을 저하시키서 무력감이 유발되고 자아존중감에 손상을 주게 되며 이는 결국 질병의 회복과 질적인 삶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입원한 노인환자의 가족지지, 자아존중감, 무력감,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노인환자의 질적 삶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1991년 10월 22일부터 11월13일까지 총 23일간 서울시 소재 1개 대학부속병원에서 65세 이상되고 입원한 지 24시간이 경과한 남녀 노인환자를 모집단으로 하여 대상자 선정 기준에 의해 유의표출한 8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면담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가족지지 측정을 위하여 강현숙이 개발한 가족지지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아존중감 측정을 위하여 Rosenberg의 Self-Esteen Scale을 사용하였고, 무력감 측정을 위하여 Roy, Callista가 개발한 Health-Illness (Powerlessness)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 PC*에 의해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일반적 특성과 제변수와의 유의성 검증은 t-test와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제변수들간의 관계는 피어슨 적율상관계수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가족지지 정도는 총평균 50점에 대하여 최저 25점에서 최고 50점의 범위이며 평균 41.06점으로 입원한 노인환자에 대한 가족지지 정도가 높았다.

2)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정도는 총평균 50점에 대하여 최저 25점에서 최고 50점의 범위이며 평균은 41.06점으로 입원한 노인환자에 대한 가족지지 정도가 높았다.

3) 대상자의 무력감 정도는 총평균 40점에 대하여 최저 12점에서 최고 23점의 범위이며 평균은 18.22점으로 입원한 노인환자의 무력감 정도가 중간 정도였다.

4) 가설검증을 위하여 입원한 노인환자의 가족지지, 자아존중감, 무력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족지지와 무력감과의 관계에서만 유의한 수준에서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r=-0.3551, p<0.001). 즉 '가족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무력감 정도는 낮아진다'의 가설이 지지되었고, '가족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정도가 높을 것이다'의 가설과 '자아존중감 정도가 높을수록 무력감 정도가 낮을 것이다.'의 가설을 기각되었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가족지지와의 관계에 대한 유의성 검정 결과 배우자의 생존 여부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t=1.12, p<0.01), 배우자가 생존해 있는 경우 더 많은 가족지지를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 대한 유의성 검정 결과 배우자의 교육정도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t=1.17, p<0.05), 배우자가 생존해 있는 경우 더 많은 가족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무력감의 관계에 대한 유의성 검정 결과, 성별(t=1.24, p<0.05), 종교의 유뮤에 대하여 (t=2.32, p<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여자가 남자보다, 종교가 없는 사람이 종교가 있는 사람보다 더 많은 무력감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입원한 노인환자의 무력감 수준을 낮추려면 가족지지가 필요하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심리적 의존상태에 있는 노인환자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무력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족지지를 통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영문]With the recent medical development, the change of society, and improvement of economic level, the average sapn of human life has been lengthened, this phenomenon is resulted in increased atten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Especially, elderly stage is taken easily ill because of decreased fundtion by aging, is occured powerlessness, and demaged on self estee,.

This study 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tried to test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upport, self-esteem, plwerlessness, in the hospitalized elderly patient to develop basic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s in order to maintain quality of life.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82 patients over the age of 65, and who admitted date is after over 24 hours to one general hospital in Seoul form october 22 to November 13, 1991.

The study tool for measuring family support was developed by H.S. Kang, and the other for measuring self-esteen was a self esteem scale developed by Rosenberg, and another tool for measuring powerlessness was a Health-Illness (Powerlessness) Questionnaire develped by Roy, Callista.

Anaysis was done by the SPSS/PC+ using percentil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t-test, ANOVA and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inimum score of family support for the subjects was 25, the maximum score of 23, the mean score was 41.06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5.69.

2) The minimum score of self esteem for the subjects was 25, the maximum score was 50, the mean score was 33.05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3.00.

3) The minimum score of powerlessness support for the subjects was 12, the maximum score of 23, the mean score was 18.22,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2.5.

4) The relationship of among family support, self esteem, and powerlessness of the hospitalized elderly patient was analized to test hypothesis, the only one hypothesis was supporte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nd powerlessness (r=-0.3551, p<0.001).

5) The analysis of the degree of family support according esteem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ot the presence of sexual partner (t=1.12, p<0.01).

Subjects who had a sexual partner had a high level of family support.

6) The analysis of the degree of self-esteem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education (F=1.07, p<0.05).

Subjects who had a higher education and a lower educations had a higher level of self esteem.

7) The analysis of the degree of powerlessnes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teriscitc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ex (t=1.24, p<.05) and religion (t=2.32, p<.01).

Subjects who had no religion had higher level of powerlessness, and the woman had felt higher level of powerlessness than ma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61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