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9 470

Cited 0 times in

골반 장기 탈출증 여성에서의 fibulin-5와 lysyl oxidase-like protein 1의 발현도 차이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현주-
dc.date.accessioned2015-11-21T07:05:27Z-
dc.date.available2015-11-21T07:05:27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578-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인간의 수명 연장으로 인해 골반 장기 탈출증으로 미국에서 일생 동안 수술을 경험하는 여성은 11%에 달하고, 국내에서도 그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그에 따른 사회적 비용 또한 증가하고 있다. 그간 골반 장기 탈출증의 병인론을 분자생물학적으로 밝히기 위해 골반저의 결체 조직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고, 최근에는 콜라겐에 이어 탄력 섬유가 그 대상이 되고 있다. 실제로 골반 장기 탈출증 환자에서 탄력 섬유가 감소되어 있다는 보고들은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골반 장기 탈출증 환자와 정상 대조군의 자궁 천골 인대 조직에서 탄력 섬유의 형성 관련 인자인 fibulin-5와 lysyl oxidase-like protein 1의 발현 양상을 정량적으로 측정 한 후, 이들과 골반 장기 탈출증과의 상관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2006년 5월부터 2006년 9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세브란스 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중증 골반 장기 탈출증으로 자궁 적출술을 시행 받은 환자 15명과 골반 탈출증 이외의 다른 양성 질환으로 자궁 적출술을 받는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두 군간의 연령, 폐경 상태, 체질량 지수를 matching하였고, 내외과적 과거력, 흡연력 등의 골반 장기 탈출증의 위험 인자들도 두 군간에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자궁 천골 인대 조직을 채취하여 quantitative real time RT PCR을 이용하여 fibulin-5와 lysyl oxidase-like protein 1의 mRNA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고 골반 장기 탈출증 환자의 중증도에 따른 fibulin-5와 lysyl oxidase-like protein 1의 mRNA 발현도를 비교 분석하였다.실험 결과, 골반 장기 탈출증 환자의 자궁 천골 인대 조직에서 fibulin-5의 mRNA의 발현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어 있었고, lysyl oxidase-like protein 1의 mRNA의 발현은 대조군에 비해 다소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43, 0.079). 골반 장기 탈출증의 중등도에 따른 fibulin-5와 lysyl oxidase-like protein 1의 mRNA는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156, 0.697).본 연구를 통하여, fibulin-5는 골반 장기 탈출증에 있어서 이미 밝혀진 위험 인자에 독립적 인자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골반 장기 탈출증 환자에서는 감소되어 있다는 사실을 밝혀 내었다. 이는 탄력 섬유의 형성 과정 중 tropoelastin과 microfibril의 결합에 결함이 있어 탄력 섬유의 형성에 장애가 발생함이 골반 장기 탈출증의 한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영문]Objective: The fibuln-5 and lysyl oxidase-like protein 1 were essential proteins for elastic fiber developm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ression levels of mRNA of fibulin-5 and lysyl oxidase-like protein 1 in pelvic organ prolapse.Materials and methods: Fifteen patients diagnosed with severe pelvic organ prolapse who visited the division of Urogynecology,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between May 2006 and September 2006 and fifteen patients without pelvic organ prolpase were enrolled in this prospective study. A quantative real-time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used to analyze the expression levels of mRNA of fibulin-5 and lysyl oxidase-like protein 1.Results: There wrere no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age, menopause status, parity, BMI (Body mass index), history of the pelvic surgery and the medico-surgical illness between the two groups. The mRNA expression of fibulin-5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pelvic organ prolapse group(ratio of mRNA expression: 0.705 vs. 1.215, p = 0.043).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RNA expression of lysyl oxidase-like protein(ratio of mRNA expression: 3.759 vs. 2.435, p = 0.079). There were no difference in mRNA expression of fibulin-5 and lysyl oxidase-like protein 1 in proportion to the severity of pelvic organ prolpase( p =0.156, 0.697).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that the mRNA expression of fibulin-5 was independently lower in pelvic organ prolapse group than in those of control group. This suggests that failure to the binding of tropoelastin to microfibrils in elastic fiber development could be one possible cause of pelvic organ prolpase.-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골반 장기 탈출증 여성에서의 fibulin-5와 lysyl oxidase-like protein 1의 발현도 차이-
dc.title.alternativeExpression of fibulin-5 and lysyl oxidase-like protein 1 in pelvic organ prolapse-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ung, Hyun Joo-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산부인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