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70 576

Cited 0 times in

만성폐질환자의 수면양상과 인지기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leep pattern and cognitive function in people with chronic respiratory disease 
Authors
 이은실 
Issue Date
2007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만성폐질환자의 수면양상과 인지기능을 평가하고,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하여 만성폐질환자들의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다.연구기간은 2006년 10월 16일부터 12월 17일까지 이었으며, 연구대상은 경기도 A시에 소재하는 일 대학병원 호흡기 내과 외래와 입원병동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중 본 연구의 대상자 선정 기준에 적합한 만성폐질환자 85명이었다.측정도구는 수면양상은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를 이용하였고, 인지기능은 Mini-Mental State Examinatio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폐기능 수준은 1초간 노력성호기량의 예측치(FEV1 pred.)를 이용하였으며, 호흡기 증상 경험정도는 Kinsman(1983)이 개발한 기관지염-폐기종 증상 목록(Bronchial-Emphysema Symptom Checklist: BESC)중 신체적 증상 4영역(호흡곤란, 피로, 울혈, 말초감각 장애)과 심리적 증상(불안정감, 불안감, 무관심, 무력/절망감, 소외감) 5영역의 총 46개 문항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수집된 자료는 SPSS 10.0 Win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대상자의 폐기능 수준은 50.2±17.63으로써 중정도 이었다.대상자의 호흡기증상 경험정도 중 신체적 증상정도는 평균 2.7점으로 중정도의 증상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증상정도는 평균 2.5점으로 신체적 증상 경험수준과 비슷하였다.2) 대상자의 수면 양상 평균은 10.4점으로 poor sleeper가 전체대상자의 82.5%를 차지하였으며, 수면 유형 7개영역 중 장애 가 가장 높은 영역은 수면시간(2.1)이었으며, 다음으로 수면잠복기(1.8), 수면장애(1.7), 습관적 수면효율(1.5), 주관적 수면의 질(1.4), 주간기능장애(1.4), 수면제 사용(0.3)순이었다.3) 질병관련 특성 중 수면 양상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인 변수는 호흡기 증상의 신체적 증상(t=-4.97, p=.000)과 심리적 증상(t=-5.72, p=.000)이었다.진단명에 따라서는 수면잠복기(F=3.90, p=.012)가, 입원환자인 경우, 주관적 수면의 질(t=3.85, p=.000), 수면 잠복기(t=3.58, p=.001), 수면시간(t=2.56, p=.012), 습관적 수면효율(t=3.37, p=.001), 수면장애(t=2.55, p=.012)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재택산소요법과는 습관적 수면효율(t=2.19, p=.031)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폐기능이 저하될수록 수면시간이 적게 나타났다.(F=5.45, p=.006)4) 대상자의 인지기능 평균 점수는 24.0점으로 정상 수준 이었으나, 치매, 치매의심 자 비율은 38%로 나타났다.5) 질병관련 특성 중에서 인지기능은 신체적 증상(r=-.338, p=.002)과 심리적 증상(r=-.407, p=.000)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입원환자인 경우, 재택산소요법을 사용하는 경우 인지기능이 낮게 나타났고, 기관지확장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인지기능이 높게 나타났다.6) 수면양상과 인지기능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t=2.06, p=.042)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면장애가 있을수록 인지기능은 낮음을 알 수 있었다.이상의 결과를 볼 때 만성폐질환자의 수면양상과 인지기능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흡기증상 경험정도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이는 호흡기 질환자의 수면 및 인지기능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증상관리전략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Frequently patients with chronic respiratory disease have lowered arterial oxygen saturation in daytime. During sleep, these are apt to experience additional hypoxemia. Hypoxemia during sleep may also adversely affects daytime cognition and function.This descriptive-correlational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leep pattern and cognitive function, in people with chronic respiratory disease, to provide th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sleep, to provide the data for health promotion. 85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 who visited the pulmonary outpatient and inpatient department of university hospitals in Gyeongi provinc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erm of collecting data was from 16th October to 17th in December in 2006. The tool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IQ),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and Bronchitis-Emphysema Symptom Check list(BESC).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were mean,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test,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1. 82.5% of all participants have poor sleeper.Average figures of sleep pattern area are sleep duration(2.1), sleep latency(1.8), sleep disturbance(1.7).2.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leep pattern and the degree of physical(t=-4.97), psychological symptoms(t=-5.72).3. In case of hospitalization,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in subjective sleep quality(t=3.85), sleep latency(t=3.58), sleep duration(t=2.56), habitual sleep efficiency(t=3.37), sleep disturbances(t=2.55).4. Cognitive function of the Participants are less than 19 was dementia18(21.2%), between 20 and 23 was suspicious dementia 14(16.5%), more than 24 was normal 53(62.3%).5.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the degree of physical(r=-.338), psychological symptoms(r=-.407).6.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leep pattern and cognitive function(t=2.06, p=.042). Subjective sleep quality was mos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gnitive function(r=-.382, p=.000).In this study, among the various factors, admitted patients, psychological symptoms were identified as correlates of overall sleep pattern and cognitive function in people with chronic lung disease.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to develop specific nursing education program and nursing intervention to manage efficiently the sleep pattern and cognitive function. In case hospitalize, careful assessment and intervention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problem is needed.
Files in This Item:
T00973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53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