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경기 북부지역 일개병원에서 중증환자의 진균 정착 또는 감염증의 역학적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이꽃실 | - |
dc.date.accessioned | 2015-11-21T07:03:56Z | - |
dc.date.available | 2015-11-21T07:03:56Z | - |
dc.date.issued | 2007 | - |
dc.identifier.uri |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524 | - |
dc.description | 의학과/석사 | - |
dc.description.abstract | [한글]칸디다 감염증은 유병율과 치명율이 높은 질환으로 최근 면역 억제 치료나 장기이식 환자의 증가, 중심 정맥 카테터 사용의 증가 등으로 발생 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1969년 칸디다 감염증의 중요성이 부각된 이후로 주 감염균은 C. albicans였으나, 근래에는 분리되는 균종의 분포와 역학에 대해 다양한 보고가 있다. 이에 따르면 병원, 지역 및 국가에 따라 균종의 분포와 임상적 양상이 다르다고 한다. 외국의 71개 병원을 대상으로 혈액에서 분리되는 균주에 대한 연구를 보면 전제적으로 C. albicans가 55%로 가장 많았다. 미국에서는 C. albicans를 제외하고 C. glabrata가 가장 흔히 분리된 반면, 라틴 아메리카, 캐나다 및 유럽에서는 C. parapsilosis가 가장 흔히 분리되었다. 아시아 지역의 연구에서는 C. tropicalis가 43%로 가장 많다는 보고도 있다. 이런 non-albicans의 증가는 칸디다 뇨증에서도 관찰된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경기 북부의 일개 병원에서 혈액 및 뇨 검체를 대상으로 보고되는 진균 감염증 및 정착화 된 균주에 대해 역학적 조사를 해 보고, 이를 통해 환자 치료 지침에 참고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대상 환자는 2005년 4월부터 2006년 3월까지 1년간 일개 병원에서 실시한 뇨 검체와 1회 이상의 혈액배양에서 칸디다가 분리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균주의 분리는 뇨검체에서 137예, 혈액에서 13예였으며, 환자의 연령은 18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연구 기간 동안 칸디다 혈증은 13예, 칸디다 뇨증은 137예였다. 이들의 평균 나이는 각각 69.0±19.4. 69.7±15.0세 였고, 질병의 중증도 측정을 위해서 사용된 APACHE III score는 각각 72.56±31.3, 57.78±25.63 이었다. 칸디다 혈증에 비해 칸디다 뇨증의 경우 질병의 중증도는 낮았다. 칸디다 뇨증은 137례 중 Candida albicans가 35%를 차지하였으며, non-albicans에 의한 뇨증이 65%를 차지하였다. Non-albicans 중에는 C. tropicalis와 C. glabrata가 주된 원인균이었다. 칸디다 혈증의 경우는 Candida albicans가 30.8%를 차지하였으며, non-albicans에 의한 혈증이 69.2%를 차지하였다. 칸디다 혈증 중 C. parapsilosis의 경우 최근 혈관 카테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주원인균이 되고 있다.2. 칸디다 뇨증 환자의 경우 137예 중 남자가 42예, 여자가 95예 였다. 대상 환자의 균주별 임상적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면 기저 질환은 위장관계 질환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심혈관계 질환, 뇌혈관 질환이었다. C. albicans가 자란 경우 다른 균종에 비해 심혈관 질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C. tropicalis의 경우 뇌혈관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발생하는 빈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 외 당뇨, 암, 신기능 부전, 만성 폐질환, 위장관계 질환 등은 균주에 따른 기저 질환의 차이는 없었다. 균주에 따른 유발인자의 차이를 보면 C. albicans의 경우 항생제의 사용, 수혈, 중심정맥 카테터의 사용이 다른 두 균주에 비해 통계적으로 낮았으며, C. tropicalis의 경우 중심정맥 카테터의 사용과 뇨관 삽입을 한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3. 칸디다 뇨증을 가진 137예 중에서 균주의 분리 후 30일 이내에 사망한 환자는 39예였다. 전체적으로 사망률은 28.5%였으며 성별이 여자인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사망률이 높았다. 기저 질환과 사망과의 관계를 보면 심혈관계 질환, 암, 신기능 부전, 위장관계 질환을 가진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당뇨, 뇌혈관 질환, 만성 폐질환을 가진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유발 인자에 관하여 살펴보면 항생제의 사용, 스테로이드의 사용, 전비경구적 영양요법, 수술, 수혈, 카테터의 사용, APACHE III 점수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균주에 따른 사망률의 차이를 보면 non-albicans이 자란 경우가 C. albicans이 자란 경우 보다 사망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이상의 결과로 칸디다 뇨증이나 혈증에서 C. albicans에 비해 non-albicans가 차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볼 수 있었고, 이는 본 병원이 주변 병원이나 요양 시설로부터 전원을 오는 환자가 상대적으로 많고 요로 카테터를 장착한 환자가 많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향후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다년간의 자료를 모아 경향을 분석하고, 이런 역학적 자료가 환자의 치료에 중요한 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Nosocomial fungal infections are an important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recent decades, the increase in the use of invasive procedures, immunosuppressive agents and organ transplants, among other factors, has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these infections. The invasive potential of Candida species was first documented by Krause and coworkers in 1969, and then these reports increased. Major infectious pathogen of Candida species were C. albicans. Recently, the study demonstrates the emergence of non-albicans species of Candida as major causes of candidemia. The rank order of non-albicans Candida species distribution varied according to the geographic region. Also, the isolation frequency of Candida species are influenced by patient type, nation and region, study period, and investigators, too. According to other study, organism isolated from blood demonstrated that C. glabrata was the second most common species observed in the United States; C. parapsilosis was the second most common species isolated in Canada and South America. C. tropicalis was the most common species isolated to 43% in Asia. Emergence of non-albicans species viewed in candiduria, too.We investigated epidemiology on fungal colonization and infections in critically ill patients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gido. And people might be used reference data to treat patients.We retrospectively reviewed 137 cases with candiduria and 13 cases with candidemia in Myungji hospital from April 2005 to March 2006.The results were as follows.1. There were 137 patients with positive candida urine cultures and 13 patients with candidemia.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ere 69.7±15.0 years in candiduria and 69.0±19.4 years in candidemia.. APACHE III score were 57.78±25.63 in candiduria and 72.56±31.3 in candidemia. Candiduria was lower than candidemia on disease severity.The etiologic agents for 137 cases of candiduria were C. albicans(n=48), C. tropicalis(n=44), C. glabrata(n=31), C. parapsilosis(n=5) and others(n=9). C. albicans was the species isolated for 35% from urine, with the other 65% of isolates being non-albicans species, the most prevalence of which was C. tropicalis and C. glabrata. C. albicans was isolated for 30.8% from blood and non-albicans was 69.2%. Especially, there is a strong association between C. parapsilosis candidemia and the presence of a central venous catheter as well as the administration of parenteral hyperalimentation.2. Of 137 cases with candiduria, 42 male and 95 femal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redisposing conditions of patients with candiduria, main underlying illness was gastrointestinal disease, cardiovascular disease, neurologic stroke. We demonstrated that C. albicans was more decreased on cardiovascular diseases than the other species. Significant predisposing factors associated with C. tropicalis were cantral venous catheter and urinary catheter.3. Of 137 cases with candiduria, 39 died within 30 days, which resulted in a 30-day crude mortality of 28.5% mainly female. Statistically significant underlying conditions associated with mortality among patients with candiduria were cardiovascular diseases, malignancy, renal insufficiency, and gastrointestinal diseases. Diabetes, neurologic stroke, COPD was not associated with increased mortality. Predisposing factors associated with mortality were antibiotics therapy, steroid, total parenteral nutrition, operation, transfusion, central venous catheter, APACHE III score, all. Mortality rates have been reported to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Candida spp. non-albicans decreased death.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non-albicans demonstrate highly incidence in urine and blood. It is due to refer from long term care facility and indwelling catheter. Further study are needed to better obtain data and to know secular trend.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open | - |
dc.publisher | 연세대학교 대학원 | - |
dc.rights | CC BY-NC-ND 2.0 KR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dc.title | 경기 북부지역 일개병원에서 중증환자의 진균 정착 또는 감염증의 역학적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Epidemiological study on fungal colonization and infections in critically ill patients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gido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Kkot Sil | - |
dc.type.local | Thesi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