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3 604

Cited 0 times in

An anatomic and histologic study of the facial nerve for nerve graft

Other Titles
 자가신경이식술을 위한 얼굴신경의 해부학적 연구 
Authors
 곽현호 
Issue Date
2007
Description
Dept. of Dentistry/박사
Abstract
[한글]일곱째뇌신경인 얼굴신경 (facial n.)은 붓꼭지구멍 (stylomastoid foramen)을 통하여 머리속공간을 빠져나온 후 바로 뒤귓바퀴신경 (posterior auricular n.)을 내어 뒤귓바퀴근과 머리덮개근의 뒤통수힘살에 분포하고, 줄기는 계속되어 귀밑샘 (parotid gland)속에서 아래 앞쪽으로 달리며 바깥목동맥과 아래턱뒤정맥의 바깥쪽을 가로지른다. 턱뼈목의 모서리 뒤에서 두 개의 주된 가지인 관자얼굴가지 (temporofacial branch)와 목얼굴가지 (cervicofacial branch)로 나뉘며, 귀밑샘 속에서 복잡한 귀밑샘신경얼기를 이룬다. 이 부위는 머리뼈 바닥에 도달하기 위해 귀밑샘 속으로 꼭지돌기에 접근하는 시술에 있어서 얼굴신경을 손상시킬 위험이 크므로 임상적으로 중요한 부위이다. 또한 귀밑샘 속에서 복잡한 양상을 취하는 얼굴신경가지들 또한 귀밑샘절제술 시에 손상되기 쉽다. 얼굴신경의 손상은 기능적인 장애뿐 아니라 심미적, 정신적으로도 심한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얼굴신경의 결손 치료를 위한 다양한 자가신경의 이식술 (autonerve graft)이 시행되고 있다. 자가신경이식의 성공을 위해서는 신경의 절단면적, 신경다발의 개수 등 얼굴신경의 미세해부학적 구조에 대하여 명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한국인의 얼굴신경에 대한 미세해부학적 연구가 없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얼굴신경줄기 및 가지들이 나뉘는 양상을 밝히고, 각 부위에 대한 얼굴신경가지들의 미세해부학적 구조를 확인하는데 있다.한국인 시신이 머리 40쪽을 대상으로 미세해부와 얼굴신경의 조직염색을 시행하였다. 얼굴신경을 노출시키고, 피부에서 붓꼭지구멍까지의 깊이 (21.0 ± 3.1 mm), 붓꼭지구멍부터 얼굴신경줄기가 위가지인 관자얼굴가지와 아래가지인 목얼굴가지로 나뉘는 곳까지의 거리 (13.0 ± 2.8 mm)를 계측하였다. 대부분의 얼굴신경줄기는 두 개의 가지로 나뉘고 있었으며, 세 개의 가지로 나뉘는 경우도 있었다 (13.3%). 볼가지 (buccal branch)가 일어나는 양상에 따라 얼굴신경이 나뉘는 양상을 1) 볼가지가 위가지와 아래가지에서 함께 일어나는 경우 (type I, 13.8%), 2) 볼가지가 두 개의 주된 위 및 아래가지와 광대가지 (zygomatic branch)에서 일어나는 경우 (type II, 44.8%), 3) 볼가지가 두 개의 주된 가지 및 턱모서리가지 (marginal mandibular branch)에서 일어나는 경우 (type III, 17.3%), 4) 볼가지가 두 개의 주된 가지와 광대가지 및 턱모서리가지에서 일어나는 경우 (type IV, 24.1%)의 네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대부분에서 귓바퀴관자신경과 얼굴신경의 연결 관계가 관찰되었으며 (93.3%), 얼굴신경과 연결되는 귓바퀴관자신경가지의 수는 두 개 (37%), 세 개 (44%), 네 개 (11%) 등으로 다양하였다. 얼굴신경가지의 개수는 볼가지가 평균 3.47개로 가장 많았으며, 관자가지 2.67개, 광대가지 2.03개, 턱모서리가지 1.57개, 목가지 1.27개였다. 얼굴신경가지의 평균직경은 광대가지가 0.9 mm로 가장 두꺼웠으며, 관자가지가 0.8 mm로 가장 얇았다. 얼굴신경줄기, 관자얼굴가지, 목얼굴가지의 신경다발 수, 신경다발의 평균직경, 평균단면적, 총단면적을 계측하였으며, 관자가지, 광대가지, 볼가지, 턱모서리가지, 목가지가 귀밑샘을 빠져나오는 부위에서도 동일한 항목을 계측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얼굴신경의 결손 치료를 위한 자가신경이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This study examined the anatomical relationships along with the variability of the facial nerve trunk and its branches with an emphasis on the intraparotid connections between the divisions. And histomorphometric observations of the facial nerve branches and fascicles were performed. Micro-dissections were performed on 40 Korean half-heads, and the facial nerve trunk and its branches were exposed. The average depth of the stylomastoid foramen from the skin surface was 21.0±3.1 m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tylomastoid foramen and the bifurcation spot of the temporofacial (upper) and cervicofacial (lower) division was 13.0±2.8 mm. In 35 out of 40 dissections (87.5%), the facial nerve trunk was bifurcated into two main divisions, the nerve trunk was divided into a trifurcation pattern in the other five cases (12.5%). According to the origin of the buccal branch, the branching patterns of the facial nerve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In type 1 (17.5% of cases), the buccal branch arose from the two main divisions of the trunk, but not from other branches of the facial nerve. In type II (18 cases, 45%), the buccal branch arose from the two main divisions, and was interconnected with the zygomatic branch. In type III (12.5% of cases), the marginal mandibular branch sent nerve twigs to the buccal branch, which originated from the upper and lower divisions. In type IV (25% of cases), the nerve twigs from the zygomatic and the marginal mandibular branches merged to the buccal branch arising from the two main divisions. Communications between the facial and the auriculotemporal nerve branches, which are known as the ‘communicating auriculotemporal nerves’, were observed in 37 out of 40 cases (92.5%). In the histological observation, the buccal branch had the greatest number of branches (3.47), however the zygomatic branch had the largest diameters (0.93 m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acial nerve anatomy and histological observation in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surgical procedures such as a tumor resection, a facial nerve reconstruction, autonerve graft, and a facelift.
Files in This Item:
T00957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38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