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4 670

Cited 0 times in

화훼식물에 따른 이산화질소(NO2) 농도의 변화

Other Titles
 Alteration of the NO2 concentration of indoor plant 
Authors
 최길용 
Issue Date
2006
Description
환경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최근 실내공기 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실내공기 정화 기술을 접목한 시공 및 제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현실에서, 자연친화적인 실내공기 질의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때이다.따라서, 본 연구는 공기 정화능 기능이 검증된 공기 정화 식물을 각 가정을 대상으로 식물적용여부에 따른 적용 효과를 분석하며, 대상물질은 가정에서의 가연성 연소 생성물인 이산화질소(Nitrogen dioxide : NO2)이다.이에 본 연구는 2006년 4월~7월까지 서울, 경기 및 인천지역 거주하는 가정주부를 대상으로 실내 1차·2차 NO₂농도를 측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한 건강 자각 증상, SCL-90-R과 폐기능 검사를 실시하여 실내식물의 영향의 관련성을 보고자 하였다.실내 생활환경 특성에 따른 설문조사가 실내 NO2 농도에 영향이 미치는 것들(연령, 가구소득, 질병의 유무, 교육수준, 흡연경험, 실내에서 보내는 시간)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실내의 환경적 특성으로는 자연환기 여부, 공기청정기 사용여부, 방향제의 사용여부, 후드사용, 가정 내의 흡연자 여부, 주택의 평수, 층수에 대해 조사하였다. NO2 농도는 filter badge type의 passive sampler를 사용하여 시료를 채취하였고 건강 영향 지표로는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와 폐활량 측정법(Spirometry)을 이용하여 폐기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AS 8.0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등을 실시하였다.응답자들의 나이는 28∼58세로 참여자의 연령 분포는 다양하며, 그 중 39세 이하가 70%를 차지했다. 또한 78%가 하루 평균 12시간 이하의 시간을 실외에서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된 NO2의 평균 농도의 1차 값은 40.01±13.92ppb이며, 2차 값은 33.87±10.85ppb로 모두 국내 지하공기질의 기준치(환경부,1996년) 80ppb이하의 수준이었다.폐기능에 사용된 지표는 FEV1, VC, FVC, FEV1/FVC의 4가지며 각각의 지표는 연령과 성별 및 신장을 고려하여 나타나는 예측치의 백분율 값을 사용하였다. FEV1, FVC의 예측방정식에 대한 상관계수는 1차 NO2농도 2.56, 2차 NO2농도 2.69이며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이 둘의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본 연구에서의 결과 실내식물의 공기정화능을 연구하고 이를 실생활에 보다 용이하게 적용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그러므로 환경기준치 이하의 저농도 노출집단을 대상으로 오염도와 간이정신진담검사를 평가할 때에는 주관적인 건강영향 지표보다는 폐기능 검사와 같은 객관적인 건강 영향 지표를 사용하는 것이 잠재적인 건강 영향을 밝히는데 보다 일관되고 식물로 인하여 환자의 심리적인 변화 및 가정의 NO2 농도를 규명하는데 명확한 관련성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영문]This study indoor pollution is becoming more serious problem, as we build more of highly insulated building and use materials that emit toxic chemicals into the air. Plants can be an "eco-friendly" solution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with low cost of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health outcomes, indoor and personal NO2 concentration for 37 housewives in Seoul, Inch'on and Kyonggi-Do during From April June in 2003. The participants answered a detailed questionnaire about sociodemographic variables, lifestyle,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NO2 exposure. The NO2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with filter badge type passive sampler of filter badge type for the first NO2 concentration and second NO2, respectively.NO2 was measured with a small passive sampler containing triethanolamine and analysed using UV spectrometer. The samplers were set for 24 hours in the kitchen. Subjective symptoms scores were generated by using Symptom Check List-90-Revision(SCL-90-R), pulmonary function tests were conducted with spirometry. SAS(ver. 8.1) was used to analyzed the t-test such as ANOVA,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average age of subjects is 39 years(range:28∼58years), 78% of subjects were spending in indoor over 12hours. The average the first NO2 concentration was measured 40.01±13.92ppb, second NO2 was measured 33.87±10.85ppb, both of them were under guideline level at 80ppb. For the SCL-90-R, the 9 symptom scales and 3 global indices were clinically within normal range in the both groups. However, the scores on the symptom scales of 'somatization', 'hostilty' and ' phobic anxiety', and those on the global indices of 'global severity index' and 'positive symptom tota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osed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the neuropsychological fun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FEV1, VC, FVC, FEV1/FVC indicators were used as a pulmonary function values adjusted for age, sex, height. Respectively, and the means of each measurement of housewife increased along with increase in height as a whole.Comparing the results in FEV1, FVC, Correlation coefficients of prediction equations in the first NO2 median from 2.56; those in the second NO2 from 2.69.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udy has confirmed the purification capability of plants for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and has selected plants with high efficiency. Therefore, assessing the health effects from pollution under low level, it can be suggested that using objective health outcome such as pulmonary function test rather than SCL-90-R score show more conclusive and clearer relationship.
Files in This Item:
T00952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33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