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4 1033

Cited 0 times in

장액성 난소암 환자에서 nm23, MMP-2와 MMP-9의 발현 및 예후인자로서의 역할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보성-
dc.date.accessioned2015-11-21T06:55:49Z-
dc.date.available2015-11-21T06:55:49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229-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상피성 난소암은 진행된 병기에서 발견이 되는 경우가 많아 예후가 매우 안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난소암의 생존율 및 재발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들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 왔고, 분자생물학적 인자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다. 암전이 억제 유전자로 알려진 nm23은 암의 종류에 따라 상반된 결과를 보여 nm23의 발현은 암이 발생하는 장기 특성을 갖는다고 하였다. 난소암 환자에서의 nm23의 기능도 명확히 규명된 상태가 아니며 예후인자로서의 역할도 불확실한 상태이다. 또한 주로 암전이와 연관이 있다고 알려진 metalloproteinases (MMPs)는 난소암에서 불량한 예후와 연관이 있으며, 특히 난소암의 암세포뿐만 아니라 기질 세포 (stromal cell)에서의 발현이 예후와 연관이 있다는 보고들이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 정립된 결과는 없다. 더 나아가 암전이와 연관된 nm23과 MMPs가 서로 상호작용을 갖는다는 보고들이 발표되면서 그 기전에 관한 관심이 증가되었지만, 아직 난소암 환자에서의 nm23과 MMPs의 관계를 보고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액성 상피성 난소암 환자에서 nm23 및 MMP-2, MMP-9의 발현여부와 양상 및 서로간의 상관성을 규명하고, nm23, MMP-2 및 MMP-9의 발현정도와 난소암 예후인자와의 연관성 및 생존율과 재발율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1990년부터 2003년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에서 장액성 상피성 난소암 (serous ovarian carcinoma)으로 진단 받은 환자 140명 중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이 가능한 환자 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환자들의 포르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 블록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block)을 찾아 조직배열 블록 (tissue microarray block)을 제작하고 nm23, MMP-2 및 MMP-9의 항체를 이용하여 각각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nm23의 발현은 중등발현 (moderate expression) 및 강발현 (strong expression)으로 구분하였고, MMP-2와 MMP-9의 발현은 난소암의 암세포 (tumor cell)와 기질세포 각각에서 발현되는 발현율에 따라 저발현 (low expression) 및 고발현 (high expression)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프로그램 (SPSS/12.0)을 이용하여 chi-square test 및 univariate,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regression, Kaplan-Meier method 및 log-rank 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nm23의 발현과 연관있는 난소암의 임상예후인자는 복막전이유무였으며 (p=0.009), nm23의 고발현이 많을수록 복막전이가 적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는 다르게 생존율의 비교에서는 nm23의 발현이 난소암의 불량한 예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4). 또한 nm23의 강발현은 다변량 분석에서 난소암의 짧은 무진행생존기간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연관이 있었다 (p=0.001). MMP-2 및 MMP-9의 발현에서 MMP-2의 암세포 발현은 조직학적 등급 (p=0.01)과 수술 전 혈청 CA125 수치 (p=0.03) 및 원격전이 (p=0.01)와 연관 있었으며, MMP-2의 기질세포의 발현은 환자의 나이 (p=0.01)와 난소암의 원격전이 (p=0.01)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연관이 있었다. 한편, MMP-9의 발현은 암세포 및 기질세포에서 모두 난소암의 원격전이 (p=0.006, p=0.03)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m23의 발현은 MMP-9의 암세포의 발현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p=0.03), nm23의 발현 증가시 MMP-9의 발현증가도 관찰되었다.nm23은 암전이 억제 유전자로 알려져 있고, 본 연구의 난소암 환자에서도 암의 진행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암의 복막전이 유무와 연관성이 있었으며, 이 결과는 nm23의 암전이 억제기능을 나타내주고 있지만, 생존기간 및 무진행생존기간의 분석에서는 반대되는 결과를보였다. 이는 nm23이 암전이 억제를 유도하는 물질과 연관이 있을 뿐만 아니라 nm23이 난소암의 생존과 연관된 인자들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고 있을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MMP-2과 MMP-9의 발현은 암의 원격전이와 밀접한 연관이 있었으며, nm23의 발현과 MMP-9의 암세포 발현이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nm23의 강발현은 난소암의 짧은 무진행생존기간 및 재발을 예측하는 인자로 유용하다고 할 수 있으며, nm23의 유전자 발현은 난소암의 불량한 예후와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The nm23 gene expression has been known for one of the metastasis suppressor gene. However, since the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 nm23 expression has the tissue-specificity, the role of the nm23 in human ovarian cancer is still controversial.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nm23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nm23, MMP-2 and MMP-9 expression in patients with serous ovarian carcinoma.140 patients who were diagnosed for serous ovarian carcinoma from Jan 1990 to Dec 2003 were enrolled. Among them, 73 cases were available for tissue microarray construction. For evaluation of nm23 and MMP-9,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specimen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chi-square test, univariate and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regression, Kaplan-Meier method and log-rank test using SPSS (version 12.0).The expression of nm23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peritoneal seeding (p=0.009). On the other hand, strong expression of nm23 was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mortality in patients with ovarian carcinoma in univariate analysis (p=0.04). Also, decreased progression free survival was correlated with strong expression of nm23 (p=0.03).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nm23 was the significant parameter affecting progression free survival in multivariate analysis (HR=1.66, p=0.001). The expression of MMP-2 was correlated with histologic grade inversely (p=0.01), and was associated with preoperative serum CA 125 level (p=0.03) and distant metastasis (p=0.01) positively. Also, MMP-9 expression was associated with distant metastasis (p=0.006). In analysis of immunohistochemical markers each other, the nm23 expression was correlated with expression of MMP-9 in tumor cell.In conclusion, strong expression of nm23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shorter progression free survival and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ortality and decreased overall survival in patients with ovarian carcinoma. And nm23 expression is correlated with MMP-9 expression showing the distant metastasi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m23 gene expression may have biologic function affecting poor outcome in ovarian carcinoma.-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장액성 난소암 환자에서 nm23, MMP-2와 MMP-9의 발현 및 예후인자로서의 역할-
dc.title.alternativeExpression and prognostic value of nm23, MMP-2 and MMP-9 in serous ovarian carcinoma-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산부인과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2554-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oon, Bo Sung-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윤보성-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산부인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