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16 2144

Cited 0 times in

방광암 재발 예측에 대한 NMP22의 유용성 평가 및 적정치 설정

Other Titles
 (The) clinical utility and determination of cut-off value of the NMP22 velocity in the prediction of the recurrent bladder cancer 
Authors
 변상권 
Issue Date
2006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방광암은 우리나라 비뇨생식기암 중에서 가장 발생 빈도가 높으며, 대부분인 70%에서는 표재성 방광암으로 재발을 잘하고 침윤성 방광암으로 진행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 후에 철저한 추적 관찰은 아주 중요하다. 현재 진단과 추적 검사는 방광경 검사와 이와 더불어 통상적으로 시행되는 요세포 검사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방광경 검사는 검사 자체가 환자들에게 상당한 고통과 불편감을 줄 뿐만 아니라 드물지만 방광경으로 인한 감염이나 상처로 추가적인 치료를 받아야 할 수도 있다. 또한 같이 시행되는 요세포 검사는 세포병리학자에 따라 판독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분화도가 좋고 낮은 병기의 방광암에서는 민감도가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시도 되고 있는 여러 가지 검사 중에 Nuclear matrix protein22 (NMP22)검사는 소변내의 nuclear matrix의 구성 성분인 NuMA (nuclear mitotic apparatus protein)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방광암의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요세포 검사와 같이 방광암 환자의 진단과 추적 관찰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서 혈뇨를 가진 방광암 환자의 선별검사로 인정된 유일한 검사 방법이다. 하지만 요세포 검사보다는 높은 민감도를 가지지만 높은 위양성율로 인해 아직까지는 방광암의 진단 및 추적 관찰에 있어 방광경검사와 요세포 검사를 완전히 대체하지 못하고 보조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광암의 진단과 방광암 환자의 추적 관찰에 있어 요세포검사의 낮은 민감도 및 NMP22 검사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아직까지는 방광암 환자에서 소변 내 NMP22 농도만을 진단과 추적관찰에 이용하였으나 농도 뿐만 아니라 시간에 따른 NMP22 농도 변화량을 조사하여 추적 관찰 중에 재발 유무의 예측에 유용한 가 하는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표재성 방광암으로 경요도적 방광종양 절제술을 시행 받고 통상적인 추적관찰에 따라 NMP22 검사를 3개월 별로 지속적으로 시행한 48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재발한 군과 비 재발군으로 나누어 각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요세포 검사와 NMP22 농도값을 비교하였다. 결과는 아래와 같다.1. 환자의 성별, 나이, 병기, 조직 분화도, 최초 측정된 NMP22의 농도값 사이에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으나 마지막으로 측정한 NMP22 의 농도 값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01).2. 첫 번째 추적 관찰시 측정한 NMP22 농도값 (first NMP22)과 마지막 추적 관찰 때 측정한 NMP22 농도값 (last NMP22)간의 변화량의 경우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게 I 군 (재발한 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p<0.0001). 그리고 마지막 NMP22 농도값과 마지막 두 번째 측정한 농도값 (before last)간의 변화량에도 의의 있게 I 군에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p<0.0001).3. 마지막 추적 관찰 때 측정된 NMP22 농도값과 마지막 두 번째 측정된 농도값의 평균 변화 속도는 I 군과 II 군에서 각각 2.12 U/ml/개월, -0.32 U/ml/개월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0.001), ROC 곡선을 이용하여 변화속도의 절단치에 따른 민감도와 특이도를 알아보았을 때 절단치가 0.280 U/ml/개월로 정한 경우엔 각각 92.0% 와 82.6%였으며, 0.395 U/ml/개월로 한 경우엔 각각 88.0%, 87.0% 였다.이상의 결과로 NMP22 농도값의 변화속도를 이용하면 경요도적 방광종양 절제술을 시행 받고 추적관찰 중인 환자에서 요세포 검사와 더불어 재발 예측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Bladder cancer is one of the most common urinary cancers. The development of a convenient and effective screening test is important for both early diagnosis and follow-up care of bladder cancer. Nuclear matrix protein22 (NMP22) is thought to be an objective, noninvasive, quantitative test with good acuracy in bladder cancer, but NMP22 has not yet gained widespread use in routine urological practice. The optimal NMP22 cut off-point remains controversial. In addition, NMP22's role in supplementing urine cytology remains to be clearly defined.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clinical utility of NMP22 velocity in the follow-up treatment of bladder cancer.During follow-up treatment, single voided urine sample were obtained from 23 patient with bladder cancer recurrence (Group I), 25 patient with no evidence of bladder caner recurrence (Group II). The NMP22 levels in the urine samples were measur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methods. NMP22 differences (last NMP22-before last NMP22) between Group I and II were 14.03±37.95 U/ml, -1.21±2.95 U/ml, respecive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values (p<0.001). NMP22 velocity between Group I and II was 2.12 U/ml/month, -0.32 U/ml/month, respectively and NMP22 velocity in Group 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 II (p<0.001).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NMP velocity for 0.280 U/ml/month was 92.0%, 82.6% and for 0.395 U/ml/month, 88.0%, 87.0%, respectively.In conclusion, the NMP22 velocity could be useful in the prediction of recurrence of bladder cancer and then tailor the frequency of cystoscopic follow up treatment.
Files in This Item:
T00937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18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