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07 2221

Cited 0 times in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사의 전문심장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Effects of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simulation-based training on nurses' competence in critical care settings 
Authors
 백지윤 
Issue Date
2006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사의 전문심장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 설계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W시에 소재하고 있는 Y병원의 중환자실과 응급실에 근무하는 임상경력 1년 이상인 간호사를 대상자로 실험군 20명과 대조군 20명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6년 5월 1일부터 6월 1일 까지 이루어 졌다.본 연구에서 사용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은 이론 교육과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으로 구성되며, 대상자들에게 교육 전 전문심장소생술 수행능력에 대한 평가를 통해 실험군과 대조군을 짝짓기로 할당 한 후 실험군에게는 실습교육으로 시뮬레이션 교육을 제공하고 대조군에게는 기본소생술과 제세동 마네킹으로 실습교육을 제공하여 2주 후에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심장소생술 지식의 측정도구는 미국심장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5)와 메가코드(2005)에서 제시한 전문심장소생술에 관한 지식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행기술의 측정도구는 미국심장협회에서 제시한 '심폐소생술과 심전도 지침(200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을 근거로 연구자가 수행기술 측정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측정하였다.수집된 자료는 부호화하여 원도우 용 SPSS 12.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Χ2test, t-te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제 1가설:'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군은 전통적 교육을 받은 군 보다 전문심장소생술 지식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지식총점(t=12.04, p=.00)으로 가설1은 지지되었다. 하위항목으로 기본소생술 기도유지 지식(t=6.99, p=.00), 기본 소생술 순환지식(t=2.46, p=.01), 심전도 지식(t=6.24, p=.00), 제세동 지식 (t=3.41, p=.00), 통합력 지식(t=7.72, P=.00)에서는 실험군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 았으며, 기본소생술의 호흡지식과 응급약물 지식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2. 제 2가설:'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군은 전통적 교육을 받은 군 보다 전문심장소생술 수행기술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수행기술총점(t=2.49, p=.00)으 로 가설 2는 지지되었다. 하위항목으로 기본소생술 수행기술(t=5.41, p=.01), 무수축 수행기술(t=3.80 p=.00), 무맥성 심실빈맥 수행기술(t=4.23, p=.00), 심실 세동 수행기술(t=4.49, p=.00), 무맥성 전기활동 수행기술(t=4.88, p=.00), 통합력 수행기술(t=6.36, p=.00) 모두에서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군이 전통적인 교육을 받은 군 보다 전문심장소생술 지식과 수행기술 점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 시뮬레이션 교육이 효과적이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추후 일반병동 간호사에게도 본 연구의 프로그램을 활용할 것과 본 연구에서 사용된 수행기술 도구를 반복 사용함으로써 수행기술 능력 측정을 위한 표준화된 도구 마련을 위한 연구가 수행되기를 제언한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advanced cardic life support on the competence of nurses in critical care settings.In this study, a nonequivalent control pretest-posttest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Date were collected from May 1 to June 1, 2006 at one general hospital in W city. Of the 40 nurses in critical care settings, twenty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wenty to the control group. Nurse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version 12.0 for Window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Χ2test, t-test,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Cronbach'αwas used as a test for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1. Hypothesis 1: "Nurses who received simulation-based training would have more knowledge of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than nurses who received traditional training", was supported (t=11.51, p=.00).2. Hypothesis 2: "Nurses who received simulation-based training would have better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skills than nurses who received traditional training", was supported (t=2.38, p=.00).In conclusion,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is an effective strategy for increasing the competence of nurses in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in critical care settings.
Files in This Item:
T00937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18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