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7 712

Cited 0 times in

병동 간호사의 건강 행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Factors related to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single hospital nurses 
Authors
 박정희 
Issue Date
2006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미혼 간호사의 건강행위 실천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규명하며, 간호사들이 바람직한 건강행위 실천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자료수집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500병상이상의 2개 종합병원에서 삼교대 근무하는 미혼 간호사 2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총 200부를 최종 분석하였다.연구도구는 건강행위 실천정도는 Walker. Schrist. & Pender(1987)가 개발한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HPLP)과 2001년 보건복지부에서 시행한 국민건강. 영양조사 설문지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질문지로 측정하고 자기효능감은 Sherer, Maddux. & Mercandante(1982)가 개발하고 김종임(1994)이 수정 보완한 일반적 자기 효능감 측정도구, 사회적 지지는 Cohen & Hoberman(1983)이 개발하고 서문자(1995)가 수정 보완한 대인관계 지지척도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수집된 자료는 SPSS PC +12를 이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및 주요 변수의 분포는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별 건강 행위 실천의 차이는 χ2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각 건강 행위 실천 정도별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차이, 건강행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관련 요인은 t-test 또는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연령은 만 21세 - 만 25세 미만이 54%로 가장 많았고 평균 연령은 25.3세이었다. 근무경력은 1 년 이상 - 5 년 미만이 49.0%로 가장 많았다. 근무주기는 60.6%가 불규칙한 형태로 가장 많았다.2.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경우가 75.4%였으며 식습관은 불규칙적인 경우가 90.5%로 나타났다. 근무 중 독감 예방접종을 받은 경우는 72.0%이었다. 병원 근무중 안전사고 발생시 대처방안에 대해서는 88.9%가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대상자의 66.5%가 앞좌석 착석시 안전벨트를 항상 착용한다고 하였다. 스트레스 해소법으로는 수면 54.0%, 수다 53.5%, 음악감상 45.0%의 순으로 사용하고 있었다.3.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종류별 필요정도에서는 운동(88.5%), 스트레스관리(85.0%), 체중조절(67.5%), 요통관리(52.5)의 순의로 높았으며 프로그램을 운영할 경우 참여할 의사 또한 운동(73.0%), 스트레스관리(65.0%), 체중조절(58.5%), 영양관리(52.5%), 요통관리(41.5%)의 순으로 필요정도와 유사하게 나타났다.4. 각 건강행위의 실천정도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에서는 스트레스를 느끼지 않는 그룹에서의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를 대단히 많이 느끼는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F=3.710, p=0.013) 다른 건강행위별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없었다.5. 건강행위 실천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차이에서는 운동을 하는 그룹에서 인지하는 사회적 지지의 정도가 운동을 하지 않는 그룹에서의 사회적 지지보다 유의하게 높았다(F=3.163, p=0.044).6. 본 연구 대상자에서는 연령(F = -4.394, p = 0.000), 동거형태(F = 2.570, p = 0.020), 근무경력(F = 12.166, p = 0.000)에 따라 건강행위 실천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7. 주요 건강행위 실천의 합은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 = 0.440).결론적으로 삼교대근무를 하는 미혼 병동간호사를 대상으로 건강행위 실천정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및 근무주기의 규칙적인 변화를 위한 병원 행정적인 측면에서의 도움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This research was done to identify health practices of single nurses and factors which have an effect on these practices. It was don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 to promote health in this population.Data were collection from 250 nurses working three shift rotations in 2 general hospitals with 500 or more beds. The hospitals were located in Seoul or Kyonggi Province. Data from 200 nurs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ed by Walker et al.(1987), the Self-efficacy Scale developed by Sherer et al.(1982), and a Social Support Scale developed by Cohen et al.(1983).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used to analyze the data and SPSS / win 12.0 was used.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1. Nurses between the ages of 21and 25 years made up over half of the sample (54%) and the mean age was 25.3 years. Most of the nurses had worked between 1 and 5 years (49.0%), and 60.6% had worked irregularl.2. A high percentage (75.4%) did not do regular exercise and 90.5% reported irregular meals, but 72.0% had been inoculated for influenza. While working in hospital most of the nurses (88.9%) knew how to protect against the occurrence of accidents. Many also observed the precautions of using a safety belt in the front seat of a car (66.5%). Solutions to stress included sleep, 54.0%, talking, 53.5%, and, listening to music (45.0%).3. The reported need for health promotion programs was for exercise (88.5%), stress management (85.0%), weight control (67.5%), and management of back pain (52.5) and the need for a doctor to participate was for exercise, 73.0%, stress management, 65.0%, weight control 58.5%, nutrition management, 52.5%, and management of back pain, 41.5%.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efficacy for health practices between the group which reported less stress and the group which reported high stress (F=3.710, p=0.013).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social support between the group which exercises and the group which does not exercise (F=3.163, p=0.044).6. Factors found to be related to health practices included age(F = -4.394, p = 0.000), type of living together(F = 2.570, p = 0.020), service career(F = 12.166, p = 0.000).7. The total of important health practices and self-efficacy, social support were positively correlated but the correlation was not significant. (r=0.440).In conclusion, single nursesrotating through three shifts need help from policy that allowsfor more regularity in their life style and promotes health practices. This is important in order to prevent burnout and decrease nurse turnover.
Files in This Item:
T00936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17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