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4 424

Cited 0 times in

신문사의 업무특성이 사진기자의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health-related behaviors in photo pressmen : 취재기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Authors
 박명근 
Issue Date
2006
Description
병원행정학과/석사
Abstract
[한글]이 연구는 신문사의 업무특성이 사진기자의 건강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지난 2006년 4월 10일부터 5월 2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서울시내 주요 일간지에 근무하는 사진기자 총 304명(사진기자 152명, 취재기자 15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직업 특성에 따른 취재갈등 및 사회심리적 건강수준(PWI-SF)의 비교 분석한 결과, 여자보다는 남자들에서 그리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미혼자 집단보다는 기혼자 집단에서 그리고 근무기간이 증가할수록 취재갈등의 수준이 높았고, 직종별로는 사진기자들이 취재기자들에 비해 취재갈등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일반적인 건강 수준을 반영하는 사회심리적 건강수준과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근무기간 간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취재기자가 사진기자보다 약간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사회인구학적 특성과 8개의 하부 직무 스트레스 요인과의 관련성을 보면, 8개의 하부 직무 스트레스 요인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인 주요 변수로는 연령과 근무기간으로서, 연령은 30-40대인 경우, 근무기간은 5-10년 미만의 기자들 사이에서 높은 직무 스트레스 수준을 보였는데, 이러한 점은 30-40대 및 5-10년 근무기간의 기자들이 가장 많은 취재에 대한 부담과 그에 따른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는 고위험 집단임을 알 수 있다.취재기자와 사진기자들 간의 영역별 직무 스트레스 수준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인 영역으로는 ‘물리환경’,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등의 4가지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관계갈등’,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등의 4가지 영역에서는 취재기자들이 사진기자 보다 높았으나, ‘물리환경’의 경우는 사진기자들이 취재기자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아 기자들 직종 간에도 직무 스트레스 수준의 차이를 나타내었다.흡연, 음주, 운동, 정기검진, 건강식품복용, 규칙적 수면, 그리고 하루 세끼의 규칙적 식사 등의 7개의 건강행위에 대하여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직업특성에 따른 실천정도를 비교한 결과, 성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인 건강행위로는 흡연, 음주, 운동 등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30-40대 연령층에서 운동 실천율이 높았고, 정기검진과 규칙적 식사에서는 50대 연령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실천율을 보였다. 교육수준의 경우는 학력수준이 대학원졸 이상인 집단의 정기검진 실천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근무기간별로는 근무기간이 5년 미만인 집단에 비해 5-10년 미만 및 10년 이상 이상인 집단에서 규칙적 운동 실천율과 정기검진 수검율, 그리고 규칙적 식사의 실천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양상을 보였다. 취재기자와 사진기자 간의 건강행위 실천정도를 비교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사진 기자들만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건강행위 실천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성과 결혼상태를 통제한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흡연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인 변수로는 직무 요구로서 취재에 대한 압박감, 책임 등과 같은 직무에 대한 요구도가 높을수록 흡연의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고, 건강식품의 경우 물리환경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복용하지 않았다. 직무 스트레스 하부 요인과 가장 높은 관련성을 보인 건강행위는 규칙적 수면으로서 물리환경, 직무요구, 조직체계에 대한 스트레스의 인지 수준이 높을수록 규칙적 수면을 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음주(주 1회 이하 vs 주 2회 이상), 운동, 정기검진의 경우 8개의 하부 직무 스트레스와 유의한 관련성이 발견되지 않았다.이 연구에서는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행위 간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관련성이 발견되지는 못하였지만, 직장 내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직무 스트레스가 건강행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뇌심혈관계질환이나 근골격계질환과 같은 부정적인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보다 심층적인 전향적 연구가 요청된다.

[영문]Numer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that some kinds of job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 adverse health outcomes.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at health-related behaviors such as cigarette smoking, alcohol consumption, regular exercise and sleep disorder influence the process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health.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behaviors in photo pressmen.A total of 304 pressmen (152 photo pressmen, 152 report pressmen)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asked socio-demographics, 7 health-related behaviors (cigarette smoking, alcohol consumption, regular exercise, regular check-up, health foods, regular meal, and sleep disorder), and 27 items of occupational stress which involves 8 sub-scales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12.0 for Windows.Logistic regression analyses after controlling for gender and marital statu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8 sub-scales of occupational stress to health-related behaviors in photo pressmen were performed. Cigarette smoking was associated with high job demand, and consumption of health foods was more in people who felt low physical environment. Respondents who reported high physical environment, high job demand, and high occupational system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sleep problems. No significant relation of alcohol consumption, regular exercise, and regular check-up to 8 sub-scales of occupational stress were found.These results suggest that occupational stress ma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actice of health-related behaviors, although positive findings between 8 sub-scales of occupational stress and all health-related behaviors were not found, and plays a pivotal role in the process of stress-illness relationship. It is strongly required that stress management program which was concerned with health-related behaviors in both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s should be performed.
Files in This Item:
T00934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15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