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1 1285

Cited 0 times in

중환자실 간호사가 인지하는 임상수행능력

Other Titles
 Perceive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RNs in the ICU 
Authors
 김영옥 
Issue Date
2006
Description
중환자간호 전공/석사
Abstract
[한글]환자 치료자로서의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는 중환자실의 특수한 의료 상황 속에서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임상수행능력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아울러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표준을 선정하여 실무기준을 작성하고, 실행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만들어 간호업무를 평가해 주기적으로 수정, 보완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따라서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 수행능력을 자가 평가함으로써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임상수행능력을 파악하고 업무수행에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에 대한 동기부여를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임상 실무능력 향상과 중환자 간호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기위함이다.연구방법은 서울 소재 5개 종합병원과 경기 소재 1개의 종합병원의 중환자실 간호사 153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은 2006년 5월 15일부터 6월 15일까지 31일간이었으며 설문지 회수율은 85% 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와 ANOVA 로 분석하였다.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은 4개의 영역과 23개의 업무수행능력, 169개의 문항으로 평가되었는데, 각 영역을 통합한 대상자 전체의 임상수행능력은 4점 만점에 3.35(±.40)점으로 보통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 수행능력을 살펴보면, 환자사정 영역 임상수행능력은 평균 3.38(±.40)점, 임상/전문기술 영역은 평균 3.52(±.39)점, 의사소통 영역 평균 3.39(±.47)점, 문서화 영역 평균 3.11(±.65)점으로 수행정도는 전반적으로 보통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 각 하부 영역별 임상수행능력 정도를 살펴보면, 환자 사정영역에서 근골격계 평가 3.50(±.50)점, 신장/신진대사 시스템 평가 3.50(±.50)점으로 수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위장관계 평가는 3.10(±.59)점으로 가장 낮은 수행능력을 보였다. 임상/전문기술 영역에서는 수액요법이 3.77(±.38)점, 인공호흡기장치 시스템이 3.71(±.40)점으로 가장 높은 수행능력을 나타내었고, 말초 IV/동맥혈관 드레싱 3.51(±.52)점, 혈역학적 모니터링은 3.10(±.64)점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행능력을 보였다. 의사소통 영역에서는 ‘병동활동과 동료와의 의사소통’이 3.50(±.46)점으로 수행능력이 높게 나타났고, 문서화 영역은 간호중재 기록이 3.34(±.52)점으로 수행능력은 보통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3)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수행 영역별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면 환자 사정 영역에서는 수행능력 점수가 낮은 폐질환계와 위장관계 평가부분이 134명(87.6%)으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해 가장 높은 교육 요구도를 보여주고 있었으며 임상/전문 기술 영역에서도 수행능력정도가 가장 낮은 혈역학적 모니터링이 128명(83.7%)으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해 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대상자의 50%이상이 모든 영역에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해 전반적으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4) 중환자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수행능력은 연령, 결혼상태, 총 임상경력, 중환자 간호과정 교육 경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 연령에 따른 임상수행능력 평균 점수는 36세 이상인 군이 3.72(±.24)점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7.629, p=.000), 결혼 상태에 따른 임상수행능력 평균점수도 기혼이 3.53(±.34)점으로 미혼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069, p=.003).총 임상경력에 따른 임상수행능력 평균 점수는 7년 이상 군이 3.64(±.26)점 으로 가장 높고, 3년 이하인 군이 3.24(±.40)점으로 낮은 점수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12.218, p=.000). 중환자실 경력에 따른 임상수행능력도 평균 점수 7년 이상 군이 3.62(±.26)점, 3년 이하 군이 3.26(±.42)점 순으로 총 임상경력과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9.197, p=.000). 직위에 따른 임상수행능력 평균점수는 책임간호사 군이 3.67(±.26)점, 일반 간호사 군이 3.38(±.37)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F=-3.844, p=.000), 중환자 간호과정 교육수료 여부에 따른 임상수행능력 평균 점수도 교육 수료 경험이 있는 군이 3.44(±.35)점, 교육 수료 경험이 없 는 군은 3.26(±.43)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F=-3.085, p=.002).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은 보통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수행업무에 대한 교육의 필요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은 연령과 학력, 경력, 결혼 유무, 중환자 간호과정 교육 유, 무였다. 따라서 임상수행능력이 낮은 영역 대한 교육 프로그램마련과 교육기회 제공을 증대해 전문적 지식과 숙련된 기술을 가진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통한 중환자 간호의 질 향상을 도모하여야 한다.

[영문]RNs play an important clinical role in the medical service of the critical care unit and this role carries a great deal of weight in planning medical treatment for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To improve the quality of critical care nursing, nursing standards should be identified and guidelines established to measure performance and evaluate nursing in order to make necessary corrections.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perceived clinical ability of RNs in the ICU, to motivate development of basic resources and education programs that can be used to improve their clinical ability as well as critical care nursing as a whole.The participants were 153 ICU RNswho worked incritical care units at 5 general hospitals at Seoul as well as 1 general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y 15 to June 15, 2006.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there was an 85% return rat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s, t-test and ANOVA were done using SPSS for Windows for the analysis of the data.The findings are as follows:1) The ICU RN's clinical ability was evaluated in 4 areas which included 23 performance tasks and 169 items: The mean scores for total clinical ability by the ICU RNs was higher than average at 3.35 (±.40) of a possible 4. The clinical ability for all areas was above average, for patient assessment, 3.38 (±.40), for clinical and expert skill, 3.52 (±.39), for communication, 3.39(±.47), and for documentation, 3.11 (±.65).2) Sub-scale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In the area of patient assessment, 3.50 (±.50)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3.50 (±.50) for kidney and metabolism system were highest and 3.10 (±.59) for stomach disorders was the lowest. For clinical and expert skill, the highests were 3.77 (±.38) for rehydration solution and 3.71 (±.40) for respirator system and the lowest, 3.51 (±.52) for peripheral nerves IV and artery dressings and 3.10 (±.64) for hemodynamic monitoring. ‘Hospital ward activity and communication with fellow workers' a part of communication was highest at 3.50 (±.46) and in documentation, nursing intervention record was higher than average at 3.34 (±.52).3) The ICU RNs' needs for education related to clinical abilitywere found to be as follows: 134 ICU RNs (87.6%) said that they had a low level of clinical ability in lung diseases and stomach disorders and they reported a high need for education, 128 ICU RN (83.7%) reported low clinical ability in hemodynamic monitoring in the area of clinical and expert skills and also a high need for education. More than 50% of the ICU RN said that all of the areas required more education to better recognize patient needs.4) The ICU RNs' clinical ability differe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CU RNs who were 36 years or older had the highest mean score for clinical ability at 3.72 (±.24) and this was significant (F=7.629, p=.000).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ability scores according tomarital status: For married ICU RN, the score at 3.53(±.34) was higher than for unmarried ICU RN (F=-3.069, p=.003).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otal clinical experience with those with more than 7 years experience having the highest mean score at 3.64 (±.26), while those with less than 3 years of the experience had 3.24 (±.40) (F=12.218, p=.000).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critical care unit experience, those with more than 7 years had a mean score of 3.62 (±.26), while those with less than 3 years had 3.26 (±.42) (F=9.197, p=.000).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ability depending upon position, with those who were managers having 3.67 (±.26), while staff nurses had 3.38 (±.37) (F=-3.844, p=.000). The scores according to whether the ICU RN had received education in a critical care nursing cours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ose having had the education, having a mean score of 3.44(±.35), while those who did not, had 3.26 (±.43) (F=-3.085, p=.002).The ICU RN reported higher than average perceived clinical ability but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further education in critical care nursing. Age, educational background, marital status and education in a critical care nursing courses were variables influencing clinical ability. Therefore, education programs and opportunities for education in areas where there is low clinical ability are required to improve the clinical ability of the ICU RN and thus elevate the quality of critical care nursing.
Files in This Item:
T00930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10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