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4 501

Cited 0 times in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인공임신중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eterminants of induced abortion among married women in the republic of Korea : focus on contraception failure pregnancy and contrac 
Authors
 곽동선 
Issue Date
2006
Description
국제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이 연구는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인공임신중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의 인공임신중절 결정요인을 임신·출산관련 요인을 통하여 임신 당시 피임여부와 사용한 피임유형을 중심으로 임신 당시 피임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피임실패로 인한 임신(피임실패임신)으로 이어진 경우, 임신 당시 사용한 피임방법(실패한 피임방법)별 인공임신중절에 미치는 영향, 임신 당시 사용된 피임방법 중 실패율이 가장 높은 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그 외에 인공임신중절에 미치는 다양한 관계를 인구·사회적 요인과 가치관 요인을 통하여 인공임신중절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이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2003년 전국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를 이용하여 임신·출산력부분의 2001년부터 조사종결시점까지의 총 임신횟수 1,653회에서 임신상태인 경우 238회를 제외한 1,415회를 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기술적 통계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각 요인별 임신·출산행태를 파악하였으며, 카이스퀘어 검정을 통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최종분석으로 로짓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로짓 분석을 통하여 각 결정요인의 유의성을 통한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분석결과,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인공임신중절 결정요인으로 인구·사회적 요인 중에서는 거주지역이 중·소도시인 경우, 인공임신중절 확률이 높다는 것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임신·출산관련 요인의 경우, 2001년에서 2003년까지의 임신년도가 인공임신중절 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2002년도의 인공임신중절 확률이 다른 연도에 비해 높았던 것을 확인하였다. 임신 당시 자녀수가 2명 이상인 경우 인공임신중절 확률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임신 당시 아들 수 역시 1명 이상부터인 경우 인공임신중절로 이어질 비율로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 임신 당시 피임여부는 이 연구의 핵심변수로써 임신 당시 피임을 실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피임실패로 인한 임신(피임실패임신)으로 이어진 경우, 임신 당시 피임을 실천하지 않음으로써 희망한 임신으로 이어진 경우보다 인공임신중절 확률이 높았으며, 인공임신중절 결정에 매우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피임실패임신으로 이어진 경우의 임신 당시 사용한 피임방법 특성별로는 영구적/반영구적 피임방법, 콘돔, 일시적/기타 피임방법 등의 순으로 인공임신중절 확률이 높았고, 성별에 따른 피임방법별로는 여성피임방법, 남성피임방법 순으로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하였다. 가치관 요인의 경우, 아들의 필요성에 대해 꼭 있어야 한다고 응답한 경우 인공임신중절 확률이 낮아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남아출산노력여부에 따라서 남아출산노력경험이 있는 경우 인공임신중절 확률이 낮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피임실패임신과 그로 인한 인공임신중절을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기존연구들은 임신·출산관련 요인과 가치관 요인만을 인공임신중절 결정요인으로 분석한 반면, 이 연구는 피임실패임신인 경우가 인공임신중절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임신 당시 사용한 피임방법별과 인공임신중절의 관계를 세부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인공임신중절 결정요인 중 임신 당시 피임여부와 사용한 피임유형 중심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bability of induced abortions due pregnancies due to contraception failure among married women and how it affects their status in society, their fertility, and their family values.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Fertility Survey done in 2003 by Korean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was used for the research. Specially, female fertility history from 2001 to 2003 served as the primary source of data for this study. During this period there were 1,653 pregnancies in all, from this 1,415 pregnancie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238(14.4%) of the total pregnancies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Descriptive analysis showed the results of pregnancies related to characteristics, and the significant factors in determining induced abortion were found by chi-square analysis. Finall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factors and induced abortion.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female education of at least a middle school level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reducing the probability of induced abortion.Second, women living in urban areas had a significantly reduced probability of having induced abortions.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induced abortions for pregnancies in families with two or more children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se abortions if there was at least one son.Fourth, in pregnancies due to contraception failure there was a much lower likelihood of an induced abortion.Fifth, the type of contraceptive failure that led to the pregnanc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reducing the probability that the pregnancy ended in an induced abortion.Sixth, In contraception failure pregnancies due to the use of permanents contraceptive methods, there was higher likelihood of an induced abortion than wanted pregnancies due to non-use of contraceptive methods.Seventh, when contraception failure pregnancies occurred by using female contraceptive methods, this was stronger indicator for induced abortions than in wanted pregnancies due to non-use of contraceptive methods.
Files in This Item:
T00925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06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