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2 1030

Cited 0 times in

복합부분발작에 대한 간질환자의 자각

Other Titles
 Patient awareness of complex partial seizures 
Authors
 한상돈 
Issue Date
2006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복합부분발작 환자들 중 일부는 자신의 발작을 기억하지 못하는 일이 종종 있으며 이는 발작 시 이와 관련된 일시적 인지장애가 동반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환자 자신이 인식하는 발작의 횟수가 얼마나 부정확한지는 이미 여러 문헌을 통해 보고 된 바 있으나 외래에서의 간질환자 치료는 환자가 말해주는 발작의 횟수 이외에는 근거로 삼을만한 다른 자료가 없기 때문에 그 부정확성의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근거로 치료에 임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외래에서 보게 되는 복합부분발작 환자들 중 얼마나 많은 환자들이 자신이 인식하지 못하는 발작을 경험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으며, 그러한 경험이 있는 환자들과 그렇지 않은 환자들을 따로 분류하여 특성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000년 4월부터 2004년 10월 사이에 연세의료원 간질 클리닉에 처음 방문한 166명의 복합부분발작 환자들 중 신뢰할 만한 정보를 제공하기 어렵다고 생각되는 32명 (발작이 수면 중에만 발생했거나 지능저하가 현저한 경우 또는 의사소통에 장애가 있거나 깨어있는 동안 총 발작횟수가 3회 이하인 경우)을 제외한 134명에 대해 부모를 포함한 가족 및 주변 사람들과의 충분한 면담을 실시하여 자신의 발작에 대해 인지하지 못한 경험이 있는 unawareness(U) 군과 그렇지 않은 awareness(A)군으로 구분한 뒤 U군은 다시 자신의 발작에 대해 단 한번도 인지하지 못하는 complete unawareness (CU)군과 부분적으로 인지하는 incomplete unawareness(IU)군으로 분류하여 각 군의 구성 비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1. U군은 31명(23%)이었고 그 중 CU군은 23명, IU군은 8명이었으며 A군은 103명(67%) 이었다.2. U 군의 발병연령이 더 높았으며, 내원시 치료받고 있지 않은 환자의 비율이 더 높았다.3. 발작간 간질양파(Interictal epileptiform discharges; IEDs)가 A군에서는 55%에서 관찰된 반면 U군에서는 94% (CU군에서는 96%)로 더 빈번하게 관찰되었으며 이는 주로 측두엽에서 나타났다. (p < 0.001)4. 양측성 비동기성 발작간 간질양파(bilateral independent IEDs)는 U군의 경우 48%(CU군 52%)에서 관찰되어 A군 13%보다 유의하게 많았다.(P < 0.001)5. MRI 상 양측성 병변은 U군의 16.1%에서 관찰되어 A 군의 4.9% 보다 많이 관찰되었다.6. 발작 양상 및 발작간 간질양파 그리고 MRI 상 병변의 위치에 따른 편측화에서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7. 측두엽간질환자에서는 U 군이 내측두엽을 포함하는 병변을 가진 환자가 다소 적었으며 MRI 상 정상소견을 보이는 환자가 더 많았다.8. 추적관찰 중 CU군에 속한 23명 중 6명이 불완전하긴 하지만 자신의 발작에 대해 인지하게 되었으며 두 명의 환자에서는 이전에 없던 전조를 경험하기도 하였다.위의 결과로부터 복합부분발작 환자의 상당수가 자신의 발작에 대해 인지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양측성 비동기성 발작간 간질양파와 MRI의 양측성 병변 그리고 비내측두엽간질이 U군과 더 많이 연관되어 있어, 발작파가 반대측 대뇌반구로 급속히 퍼질 수 있는 조건과도 일치하는 소견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복합부분발작 환자들이 자신의 발작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는 현상은 양측 측두엽 기능장애와 빠르고 완전한 의식소실이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Purpose: To assess self-perception of awareness of complex partial seizures (CPSs) in unselected epilepsy patients through a thorough interview.Methods: We included consecutive 134 patients at our epilepsy clinic, whose CPSs had been observed and given sufficient information for awareness of CPSs by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and investigated the proportion and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unawareness of CPSs compared with those of awareness of CPSs, and the evolution of unawareness of CPSs during the follow-up.Results: Thirty-one (23%) patients were classified to the unawareness group (complete, 23; incomplete, 8) and 103 (67%) patients to the awareness group. Age at onset and age at the initial visit were older in the unawareness group than in the awareness group. Interictal epileptiform discharges (IEDs) were more frequently detected in the unawareness group (94%) than the awareness group (55%), mainly in the temporal region. Bilateral independent IEDs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the unawareness group than in the awareness group (48% vs. 13%). The bilateral presence of lesions was more frequent in the unawareness group than the awareness group (16.1% vs. 4.9%). The unawareness group with TLE were less likely to have structural lesions involving mesial temporal region and more likely to have normal finding on MRI compared with the awareness group. Six (26%) of 23 patients with complete unawareness of their seizures had experienced awareness of CPSs even with the emergence of de novo aura in two patients during the follow-up.Conclusions: Our results indicate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epilepsy patients are not aware of their CPSs. Unawareness of CPSs may be related to bitemporal dysfunction and a rapid and complete loss of consciousness due to rapid spread to the contralateral hemisphere in association with bilateral independent IEDs, bilateral presence of lesions, and extramesial temporal lobe seizures.
Files in This Item:
T00924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Neurology (신경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Han, Sang Don(한상돈)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05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