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11 902

Cited 0 times in

삽입형 심실제세동기(ICD) 이식 후 환자의 불안, 우울 수준

Other Titles
 Anxiety and depression levels in ICD patients after implantation 
Authors
 정가진 
Issue Date
2006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ICD를 이식한 환자의 이식 후 일반적인 불안, 우울 수준 및 ICD 관련 불안ㆍ우울 수준과 ICD 관련 불안ㆍ우울 수준에 영향을 주는 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간호 중재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05년 10월1일부터 12월5일까지 서울 소재 3차 의료기관인 A병원 심장내과에서 시행하였으며, ICD 이식 시술 후 정기적으로 외래에서 추후관리를 받고 있는 대상자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ICD 이식 환자 총 82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질문지법을 통해 이루어져다.연구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인 불안, 우울 수준은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Zigmond & Snaith, 1983), ICD 관련 불안ㆍ우울 수준은 본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ICD 관련 불안ㆍ우울 수준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하고 SPSS 12.0 for Win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ICD 이식 환자의 일반적인 불안, 우울의 평균 수준은 정상 범주로 나타났으나 (불안 6.96점, 우울 7.04점) 11점 이상의 높은 불안 점수를 얻은 대상자는 14.6%, 11점 이상의 높은 우울 점수를 보인 대상자는 19.5%인 것으로 나타났다.2. ICD 관련 불안ㆍ우울 수준은 평균 24.1점(±13.58)으로서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 중 불안, 우울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항목으로는 ICD의 제 기능 유지(1.41점), ICD 전지 수명(1.22점), 전기충격으로 인한 당황함(1.20점), 혼자 있을 때 전기충격 발생에 대한 걱정(1.16점), ICD로 인한 신체상 변화와 불편감(1.16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3. 대상자의 일반적 불안 수준과 ICD 관련 불안ㆍ우울 수준(r=.588)과 일반적 우울 수준과 ICD 관련 불안ㆍ우울 수준(r=.480) 간에는 p<.01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반적 불안, 우울 수준이 높을수록 ICD 관련 불안ㆍ우울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ICD 관련 불안ㆍ우울 수준은 교육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F=5.06, p=.009) 학력이 낮을수록 ICD 관련 불안 ㆍ우울 수준이 높았다.5. 대상자의 질병/ICD 관련 특성 중에서 ICD 관련 불안ㆍ우울 수준은 진단명(F=2.25, p=.047), 타질환 유무(t=2.54, p=.013)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진 단명에서 부정맥야기성 우심실 이형증, 심근증, 특발성 심실세동, Brugada 증후군, 심근경색 후 심실 빈맥, QT 연장 증후군 순으로 ICD 관련 불안ㆍ우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타질환이 있는 대상자에서 ICD 관련 불안ㆍ우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ICD 환자들은 ICD 이식을 통해 전반적으로는 정상 범위의 불안, 우울 수준을 보여주고 있으나 일부 대상자에서는 정서 장애의 가능성이 있는 의미 있는 불안, 우울 수준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ICD에 관한 관심 또한 다양하게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ICD 이식으로 대상자들이 새롭게 경험하게 되는 불안, 우울 등의 사회심리학적 측면의 이해를 높이고, 불안 및 우울 수준과 관련 있는 일반적 특성, 질병/ICD 관련 특성에 따른 자료를 기초로 임상 실무에서 대상자의 각 수준을 평가하여 각 대상자의 수준에 맞는 개별화되고 총체적인 간호 중재 적용의 필요성을 시사한다.본 연구가 ICD 환자의 최적의 안녕 상태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환자 관리의 중재 전략 개발의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영문]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s of general anxiety, depression and ICD related anxietyㆍdepression and characters which is affected to them and to provide a baseline for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The participates in this study were 82 ICD patients who were followed up in outpatient department, hospital located in Seoul,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 2005 to December, 5, 2005. The instruments used in study were a questionnaire on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nd ICD related anxietyㆍdepression developed by researcher. Statistical methods were processed using SPSS 12.0 for Win program and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1. The mean scores of general anxiety and depression levels were in normal range(anxiety: 6.96, depression: 7.04), but probable anxiety disorder(anxiety score>11) was observed in 14.6% and probable depression disorder(depression score>11) in 19.5% of ICD patients.2. The mean score of ICD related anxietyㆍdepression level was comparatively low as 24.1(±13.58). The greater anxiety and depression level items(mean score) were ICD function(1.41), ICD battery depletion(1.22), embarrassment related ICD shock(1.20), ICD shock alone(1.16), and body image change and discomfort related ICD(1.16).3. There was significantly relationship between ICD related anxietyㆍdepression level and general anxiety level(r=.588, p<.01) and depression level(r=.480, p<.01).4. ICD related anxietyㆍdepression level by demographic variabl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education level(F=5.06, p=0.009), that is, patient who has less education level is more anxious and depressive.5. ICD related anxietyㆍdepression level by disease and ICD related variabl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diagnosis(F=2.54, p=0.047) and other disease existence(t=2.54, p=.013). ICD related anxietyㆍdepression level is higher ordering to ARVD, CMP, Idiopathic VF, Burugada syndrome, Post MI VT, and long QT syndrome and other disease existence was more anxious and depressive.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CD patients have anxiety and depression level in normal range post implantation. But some patient has anxiety and depression levels of probable mood disorder and ICD related concerns in various aspects. This study enhances psychosocial understanding in ICD patients and brings out needs of individual and whole nursing intervention application based on their anxiety and depression level. Furthermore it will be resource of interventional strategy development for continuous patient management.
Files in This Item:
T00918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99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