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584

Cited 0 times in

만성폐질환 환자의 호흡곤란 설명모형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방소연-
dc.date.accessioned2015-11-21T06:46:08Z-
dc.date.available2015-11-21T06:46:08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873-
dc.description간호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폐질환 환자의 호흡곤란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호흡곤란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만성폐질환 환자의 호흡곤란에 대한 설명모형을 개발하고 검증하는 것이다.만성폐질환 환자의 호흡곤란에 관한 선행연구, 문헌과 호흡곤란 모델들을 바탕으로, 체질량지수와 사회적 지지는 외생변수로, 호흡곤란, 우울, 운동지구력, 불안, 흡연력, 산소포화도, 폐기능 상태, 자기효능감은 내생변수로 구성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였다.자료수집은 2005년 6월 21일부터 10월 25일까지 일 대학병원 호흡기내과 외래에서 통원치료를 받고 있는 만성폐질환 환자 1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산소포화도, 체중과 신장을 측정하며 폐기능과 6분보행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와 상관관계 분석을, Amos 4.0 Win program을 이용하여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1. 가설적 모형의 전반적인 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적합지수가 일부 부적절하여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X2=110.43, p=0.01, X2/df=1.45, GFI=0.919, AGFI= 0.887, NFI=0.892, NNFI=0.924, PNFI=0.629, RMR=0.046, RMSEA=0.038).2. 모형의 적합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과 논리적 타당성을 고려하며 2개의 경로를 삭제하고 1개의 경로를 추가하여 수정모형을 확정하였다. 모형수정 후 전반적인 적합지수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X2=91.27, p=0.13, X2/df=1.17, GFI=0.942, AGFI=0.911, NFI=0.934, NNFI=0.956, PNFI=0.641, RMR=0.031, RMSEA=0.019).3. 수정모형에서 22개의 가설적 경로 중 20개의 경로가 지지되었으며,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1) 호흡곤란은 산소포화도, 자기효능감, 불안, 우울, 운동지구력, 폐기능 상태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이 변수들에 의한 설명력은 74%로 나타났다.2) 우울은 불안,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이 변수들에 의한 설명력은 46%로 나타났다.3) 운동지구력은 폐기능 상태, 자기효능감, 흡연력, 산소포화도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이 변수들에 의한 설명력은 23%로 나타났다.4) 불안은 자기효능감, 산소포화도, 사회적 지지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이 변수들에 의한 설명력은 18%로 나타났다.5) 흡연력은 자기효능감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이 변수에 의한 설명력은 15%로 나타났다.6) 산소포화도는 폐기능 상태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이 변수에 의한 설명력은 13%로 나타났다.7) 폐기능 상태는 체질량지수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이 변수에 의한 설명력은 7%로 나타났다.8)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지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이 변수에 의한 설명력은 5%로 나타났다.본 연구를 통하여 만성폐질환 환자의 호흡곤란은 산소포화도, 자기효능감, 불안, 우울, 운동지구력, 폐기능 상태 등 다양한 요인들의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영향요인들이 직, 간접적으로 상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성폐질환 환자의 호흡곤란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키고 운동지구력을 높이며 금연을 유도하기 위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증진,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명상이나 이완요법의 적용, 산소포화도를 높이고 폐기능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한 흡기근 훈련과 영양상태 지지 등으로 구성된 호흡재활과 같은 포괄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est an explanatory model for dyspnea in patients with chronic respiratory disease.A hypothetical model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a review of the studies, literature, and models related to dyspnea. The exogenous variables of hypothetical model were body mass index, and social support. The endogenous variables were dyspnea, depression, exercise endurance, anxiety, smoking history, oxygen saturation, pulmonary function, and self-efficacy.Data were collected between June, 21 and October, 25, 2005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measurement of oxygen saturation, weight, & height, and pulmonary function test, & 6-minute walk test. The sample was 181 patients with chronic respiratory disease who visited the pulmonary outpatient department at a university hospital for dyspn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Win program for descriptive data analysis and Amos 4.0 Win program for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The results are as follows:1. The overall fitness indices of the hypothetical model were found to be inadequate at X2=110.43, p=0.01, AGFI=0.887, NFI=0.892.2. The initial model was modified by considering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of parameter estimates. The overall fitness indices of modified model were improved at X2=91.27, p=0.13, AGFI=0.911, NFI=0.934.3. Of the 22 hypothesized paths, 20 paths were supported in the modified model. The hypotheses supported by the final model were as follows:1) Dyspnea was influenced directly by oxygen saturation, self-efficacy, anxiety, depression, exercise endurance, and pulmonary function. These variables predicted 74% in dyspnea.2) Depression was influenced directly by anxiety,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These variables predicted 46% in dyspnea.3) Exercise endurance was influenced directly by pulmonary function, self-efficacy, smoking history, and oxygen saturation. These variables predicted 23% in dyspnea.4) Anxiety was influenced directly by self-efficacy, oxygen saturation, and social support. These variables predicted 18% in dyspnea.5) Smoking history was influenced directly by self-efficacy and this variable predicted 15% in dyspnea.6) Oxygen saturation was influenced directly by pulmonary function and this variable predicted 15% in dyspnea7) Pulmonary function was influenced directly by body mass index and this variable predicted 7% in dyspnea.8) Self-efficacy was influenced directly by social support and this variable predicted 5% in dyspnea.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mprehensive nursing interventions should focus on returning respiratory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emotion, exercise ability, & nutritional status. In this perspective, pulmonary rehabilitation would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managing dyspnea in patients with chronic respiratory disease.-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prohibi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만성폐질환 환자의 호흡곤란 설명모형-
dc.title.alternative(An) explanatory model for dyspnea in patients with chronic respiratory disease-
dc.typeThesis-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