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35 475

Cited 0 times in

환경문제에 대한 초등학생의 의사소통 전후의 인식비교

Other Titles
 Risk communication and risk percep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ed on separate garbage collection : 쓰레기 
Authors
 문원숙 
Issue Date
2006
Description
환경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쓰레기 문제로 인한 환경오염 물질의 위해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확립을 조사하고 지식정도와 실천행위의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효과적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알아보기 위해 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무교육, 전단지, 시청각을 이용한 세 집단으로 나누어 교육한 후, 의사소통 프로그램 전후의 집단 간의 지식정도, 실천행위의 차이를 알아보고, 의사소통 프로그램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2005년 10월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총 227명을 대상으로 2회에 걸쳐 조사하였으며, 그 사이에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1회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대상자들은 학교교육을 통해 가장 많이 쓰레기 문제를 접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등의 매스컴이 그 다음 순이었으며, 매스컴을 통한 방법이 정보를 얻는데 가장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평소 관심도는 세 집단 모두 ‘보통이다’에 가장 높은 응답을 하였으며 무교육 집단에서 약49%, 전단지 집단에서 약54%, 시청각 집단에서 약38%가 ‘보통이다’로 응답했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 환경상태에 대해서는 모든 집단 대부분이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우리나라의 환경이 오염되어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쓰레기 분리수거에 대해서는 약95%가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대상자들의 쓰레기 분리수거에 대한 지식정도는 다소 낮은 경향을 나타내어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의사소통 프로그램 실시 후 쓰레기 분리수거에 대한 지식정도가 가장 큰 변화를 나타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고 대상자들의 쓰레기 문제로 인한, 유해 영향을 줄이기 위한 실천 의지력도 의사소통 프로그램 이후 강해진 것을 볼 수 있었다. 쓰레기 분리수거의 참여도 변화는 의사소통 프로그램 전후에 나타나지 않았으며, 실천행위는 모든 항목에 대해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전단지와 시청각자료의 서로 다른 수단을 이용해 동일한 내용의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환경문제의 관심도와 실천의지의 변화는 시청각 집단에서, 지식정도와 실천행위의 변화는 전단지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환경에 관심이 많을수록, 학교보다 가정에서 쓰레기 분리수거에 참여할수록 지식정도와 실천행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쓰레기 분리수거 참여도가 높고, 가정에서 바르게 분리수거를 할 경우 지식정도와 실천행위가 높게 나타났으며, 환경학습견학 및 환경수업 경험은 지식정도와 실천행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쓰레기분리수거의 지식정도와 실천행위에 대한 의사소통 전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양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시청각을 통한 정보 제공 보다는 전단지를 통한 정보제공이 더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다.이 연구는 위해 의사소통을 초등학생들에게 실제 적용하기에 앞선 기초자료로써, 대상자들의 인식과 행동의지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여, 위해 의사소통을 개발함에 있어 기본 자료로 활용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communication programs to publicize separate garbage collection for materials with the risk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o enhance the practice of conduct to reduce such environmental pollution.The study subjects were sixth-graders in elementary school who were divided,into 3 groups 1) no-education group, 2) leaflets education group, 3) audio-visual education group. Each group underwent a progressive communication program. First, the degree of realization about the danger of injury caused by garbage material was measured, and then differences of practice action among the groups were investigated. Second a communication program that recognizes the effectiveness of separate garbage collection was introduced to the 3 groups, and the effectiveness of each program in raising the practice conduct investigated.This study examined 227 students during October, 2005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unication program was investigated with comparative analysis.The subjects stated the garbage material with the greatest risk of injury through school education before entering the communication program which consisted of mass communication such as television or radio That is, appeared recognize that it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hing through mass communications gets a line All three groups gave the highest response as ''common'' to express their degree of interest in environmental problem 49% for no-education,54% for leaflets education, and 38% for audio-visual education. A 3 groups recognized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recognized the general level of environmental pollution.About 95% examined by thing which know for trash separate collection However, the awareness and knowledge level of the subjects about separate garbage collection was low. Awareness about separate garbage collection showed the largest gain after the risk communication program and this was shown difference that keep in mind statistically.Also, the subjects practice will power that decrease negative impact by garbage problem since communication program by rising thing appear. Changes did not appear after communication program ago participation of separate garbage collection, and there is practice action on all items and I appeared increase a little. Executed communication program of equal contents using different means of handbill earth and visual and auditory. The result Interest about environmental problem and will change about practice audio-visual group high appear. The awareness of the need to change the practice action was high in the leaflets group.When interest in the environment was high, awareness and practice action were consequently high. A awareness and practice action were high when separate garbage collection was undertaken at home rather than at school. This was difference that keep in mind statistically. A awareness and practice action were high when separate garbage collection was undertaken at home and the mother practiced well separate garbage collection. Study tour and class focus on did not affect the awareness and practice action.There was a quantitative interrelation before and after the communication in terms of the awareness and practice action of separate garbage collection, Leaflet communic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audio-visual communication.This study risk communication program as to apply actuality grate basic data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 is sense of study to utilize to basic data being to develop danger and injury communication program drawing mutual agreement about realization and action will of subjects.
Files in This Item:
T00904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84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