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개별화된 운동 프로그램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위암환자의 피로와 신체·인지 기능 및 정서상태에 미치는 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선희-
dc.date.accessioned2015-11-21T06:44:09Z-
dc.date.available2015-11-21T06:44:09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798-
dc.description간호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는 위절제술 후 외래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개별화된 운동 프로그램이 피로와 신체·인지기능 및 정서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무작위 대조군 반복 실험설계연구이다.개별화된 운동 프로그램은 개개인의 평상시 운동 습관과 운동 능력에 따른 처방과 운동 지침서를 통한 교육, 대상자가 가정에서 운동 강도를 파악하고 운동 양상을 파악하도록 도와주는 자가 모니터링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2005년 5월 4일부터 12월 14일까지 부분 혹은 전체 위절제술을 실시한 후 서울 소재 Y 대학병원 암센터 외래에서 FA(5-FU, Adriamycin) regimen으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위암 환자 중 대상자 선정 기준에 부합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30명(실험군은 16명, 대조군은 14명)을 연구 대상에 포함시켰다.연구 절차는 사전 조사 후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에 할당하고 실험군에게는 개별화된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대조군에게는 위암 환자를 위한 건강 관리지침서 만을 제공하였다. 운동 처방은 평상시 운동을 하고 있던 대상자에게는 걷기를 기본으로 하는 유산소 운동을 주 3-4회 이상(Adriamycin 투여 주에는 주 2회 이상) 주관적인 자각도 13~15, 심박동수 HRR 55~70%의 강도로 30~60분 시행하도록 하며 운동 경험이 없거나 체력이 저하된 자는 주관적인 자각도 11~13, 심박동수 HRR 40~55%의 강도로 30분 정도 시행하고 점차적으로 강도와 시간을 증가하도록 하였다.본 연구에서 프로그램의 효과로 본 것은 피로와 신체·인지기능 및 정서상태였는데 주관적인 신체기능으로 일상생활수행능력, 객관적인 신체기능으로 심폐기능, 골수억압 정도, 영양상태를 측정하였고 인지기능으로는 주위집중기능과 투병의지를 측정하였다.자료 분석은 SPSS 12.0 Windo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했으며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질병/치료 특성 및 운동 습관은 기술적 통계, X2 test와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로 사전 동질성을 분석하였다. 개별화된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는 paired t-test와 independent t-test, repeated measure ANOVA로, 사후 검정은 Bonferroni로 분석하였다.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제 1가설 : ‘항암화학요법 치료 경과에 따라 개별화된 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한 군은 시행하지 않은 군보다 피로 정도가 낮을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하여 피로를 사전, 4주후, 8주후 측정한 결과 실험군은 8주후 피로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고(p=.036), 대조군은 8주후 피로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p=.049) 두 그룹 간 피로 차이는 4주후(t=-2.48, p=.020), 8주후(t=-4.12, p=.000)에 유의하여 제 1가설은 지지되었다.2. 제 2가설 : ‘항암화학요법 치료 경과에 따라 개별화된 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한 군은 시행하지 않은 군보다 주관적인 신체기능이 좋을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해 주관적인 신체기능 점수를 사전, 4주후, 8주후 측정한 결과 실험군은 8주후 주관적인 신체기능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p=.007), 대조군은 8주 후에 유의하게 낮았으며(p=.030) 두 그룹간 주관적인 신체기능의 차이는 4주후(t=2.98, p=.006), 8주후(t=5.04, p=.000)에 유의하여 제 2가설은 지지되었다.3. 제 3가설 : ‘항암화학요법 치료 경과에 따라 개별화된 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한 군은 시행하지 않은 군보다 객관적인 신체기능이 좋을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하여 심폐기능, 골수 억압(Hemoglobin, hematocrit, Platelet, WBC), 영양상태(Total protein, Albumin)를 사전, 8주후에 비교하였는데 심폐기능은 실험군이 8주후 유의한 향상을 나타냈고(t=-5.28, p=.000) 그룹 간 심폐기능의 변화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4.31, 0=.000). 골수 억압은 WBC의 변화만이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t=-2.98, p=.006) 영양상태에서는 Total protein과 Albumin이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t=-.1.71, p=.098; t=-1.78, p=.085) 제 3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4. 제 4가설 : ‘항암화학요법 치료 경과에 따라 개별화된 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한 군은 시행하지 않은 군보다 인지기능이 좋을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해 주의집중기능과 투병의지를 사전, 4주후, 8주후 측정한 결과 실험군은 사전과 4주후, 8주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F=3.08, p=.061) 대조군은 8주 후의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고(p=.030), 두 그룹간의 주의집중기능 점수 차이는 8주후(t=3.34, p=.002)에 유의하였다. 또한 투병의지는 두 그룹 모두 측정 시기별 점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다만 두 그룹 간 투병의지 점수의 차이는 8주후(t=2.74, p=.011)에 유의하여 제 4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제 5가설 : ‘항암화학요법 치료 경과에 따라 개별화된 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한 군은 시행하지 않은 군보다 정서상태가 좋을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하여 정서상태를 사전, 4주후, 8주후 측정한 결과 실험군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대조군은 사전에 비해 4주후, 8주후 정서상태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p=.034, p=.021) 두 그룹간의 정서상태의 차이는 8주후(t=-4.50, p=.000)에 유의하여 제 5가설은 지지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는 운동처방과 교육, 자가 모니터링으로 구성된 개별화된 운동 프로그램이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위암환자의 피로감을 감소시키고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신체기능과 심폐기능 및 주위집중기능을 강화시키며 정서상태를 호전시킴을 입증함으로서 적극적인 항암치료를 받고 있는 암환자들이 운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속적으로 운동을 실천하도록 하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또한 간호실무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운동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그 실용성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Many studies show that exercise is helpful to cancer patients. However, those studies often deal with a certain group of cancer patients, e.g. early stage Breast Cancer and Hematological Malignancies. It is thus needed to evaluate the accessibility of an exercise program on patients with advanced stage gastric cancer, the most common cancer in South Korea, as well as to consider multidimensional outcome variables representing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This study was intend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n individualized exercise program on cancer-related fatigue, physical function, cognitive function and emotional status in gastric cancer patients during chemotherapy.Thirty patients were recruited through a randomized control clinical trial design.The exercise group of sixteen patients performed aerobic exercise, designed to reflect each patient''s exercise ability and preference, three or four times a week (two times in the week injected Adriamycin). They were directed based on an exercise education protocol.Members of the exercise group had monitored the intensity of exercise using Polar watch and submitted exercise log once a week for eight weeks.The primary outcome is cancer-related fatigue (revised Piper fatigue scale). Physical function (blood test, 12 minute walk test, MOS SF-36), cognitive function (Attention function test, MAC scale) and emotional status (LASA scale) are secondary outcomes.Data were collected at baseline, the fourth week, and finally the eighth week.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Descriptive statistics, X2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와 repeated measure ANOVA, Bonferroni. Upon completion of the program in the exercise group, a significant improvement was found in cancer-related fatigue (p=.009) and physical function (MOS SF-36; p=.001, 12 minute walk test; p=.000). To the contrary, the control group produced a significant negative change.Patients in the exercise group reported no change in attention function (p=.061) and emotional status (p=.687), but the control group''s patients marked a significant negative change.From those result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confirmed with regard to cancer-related fatigue, physical function, attention function and emotional status.Despite a short period of intervention and small-sized sample, the homogeneity of each group and well-designed program make the effect of the program very significant.-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prohibi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개별화된 운동 프로그램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위암환자의 피로와 신체·인지 기능 및 정서상태에 미치는 효과-
dc.title.alternativeEffects of an individualized exercise program on cancer-related fatigue,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 and emo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ga-
dc.typeThesis-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