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6 609

Cited 0 times in

북한 주민의 의료이용 만족도 연구

Other Titles
 Satisfaction with health care among North Korean refugees in China : 중국 내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Authors
 김개영 
Issue Date
2006
Description
국제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이행기의 사회주의 의료체제 하에서 북한주민의 의료이용 만족도 수준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북한주민의 의료 이용에 있어서의 장애요인을 파악하여 북한의 의료체계와 그 기능 상태를 점검하고자 하였다.연구 대상은 존스홉킨스 보건대학원의 난민과 재난대응센터(Center for Refugee and Disaster Response)가 중국 연변으로 넘어 온지 90일 미만의 북한이탈주민 273명을 대상으로 2004년 수행한 ‘북한에서 경험한 의료이용과 만족도’에 관한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총 응답자 273명중 12개 항목의 만족도에 대한 모두 응답을 한 228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요인분석을 통해 3개 항목의 만족도와 3개 항목의 만족도의 평균인 전체만족도를 추출하여 만족도 항목들 간의 평균차이를 분석하였고, t-test와 ANOVA를 통하여 각각의 만족도와 인구학적 변수, 사회·경제적 변수, 의료이용경험 변수와의 연관성을 파악하였으며, 요인 간 영향력을 배제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북한 주민의 의료이용만족도 수준은 5점 만점에 모두 평균이하로 낮았으며, 요인분석을 통해 대표 변수로 추출된 3가지 항목의 평균인 전체 만족도는 2.36이었다. 순서는 의사의 기술(2.93), 약품 공급(2.51), 일반적 청결(1.66) 순으로, 치료 환경·위생 상태로 표현되는 구조적 측면의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약품 공급에 대한 불만도 43.9%로 높게 나타나, 북한 주민들은 여전히 의약품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둘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만족도 항목별로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평소의료의 종류가 4가지 항목 모두에서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2차 의료기관에 비해 1차 의료가 치료환경·위생수준, 자원, 기술적 측면 모두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 1차 보건의료의 기능과 상태가 전반적으로 열악한 상태임을 알 수 있었다.셋째, 군 거주자에 비해 시 거주자의 일반적 청결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는데, 이는 동일 1차, 2차 의료기관이라 할지라도 거주지에 따라 치료환경·위생수준의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넷째, 사회·경제적 특성 중 소유재산개수만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는데, 특히 약품공급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경제적 수준에 따른 약품공급의 만족도 차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북한보건의료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전반적 무상치료제가 유명무실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나아가 경제수준이 낮은 계층일수록 약품공급에 있어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이러한 무상의료의 유명무실화와 보건의료체계의 기능 약화는 당연히 북한 주민들의 보건의료에 대한 접근성과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특히 경제수준이 낮은 북한 주민들은 더욱 의약품을 공급받기조차 어려운 상황에 처할 것으로 예상되어지므로, 향후 대북 지원에서 보건의료분야의 지원방식은 무엇보다도 이들 취약계층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 나가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of obstacle to use the health care and to assess the function of North Korea''s health care system by measuring North Korean''s satisfaction of health care, investigating what factors affected their satisfaction under transition states of North Korea.Data from the 2004 Health Care Experience of North Korean Households Survey by Center for Refugee and Disaster Response in the School of Hygiene and Public Health of the Johns Hopkins Univ. were used for the research.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73 North Korean refugees whose length of stay in China was under 3 months. Finally, a total of 228 among those people were analyzed in this study.Factor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extract representative variables from 12 satisfaction items and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carried out for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care utilization satisfaction in North Korea.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low(mean = 2.36 out of 5). Of the means for the satisfaction with 3 items, representative-valuables, doctor''s skill scored highest, 2.93, drug availability scored 2.51, general cleanliness scored lowest, 1.66.Secon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 influencing strongly on all items of satisfaction was a kind usual source of care. That is to say, respondents who used primary health care as a usual source of care were lower satisfied than used secondary health care(city and county hospital).Thir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general cleanliness according to residence, namely, respondents who lived in county were lower satisfied than in city.Fourth, among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nly the number of household asse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especially on satisfaction with drug availability. This may mean that peoples in low economic status among North Korean have much more difficulty in getting drugs.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a nominal universal free health care system of North Korea and weakened health care system may influence negatively on accessibility and satisfaction with health care among the North Korean.It is needed to consider a class weakened economically and regionally for effective aids to North Korea.
Files in This Item:
T00896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77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