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1 641

Cited 0 times in

cDNA microarray를 이용한 대장암에서의 간 전이와 연관된 유전자군 탐색

Other Titles
 Genome-wide screening of genes associated with liver metastasis of colorectal cancer using a cDNA microarray 
Authors
 기동혁 
Issue Date
2006
Description
의과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대장암의 주된 사인은 간 전이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간 전이 기전을 이해하기 위하여 cDNA microarray를 이용한 gene expression profiling 기법을 사용하여 대장암에서의 간 전이에 관련되어 있는 유전자를 선별하였다.대장암 환자 중 진단 당시 수술적 절제가 가능한 간 전이를 동반한 22명의 환자들로부터 수술 당시 정상 대장 조직, 원발성 대장 종양 조직, 간 전이 종양 조직을 각각 쌍으로 얻고, 가능한 경우 추가적으로 정상 간 조직과 대장 용종을 채취하였다. Total RNA를 추출하여 mRNA T7 linear amplification 방법을 이용해 mRNA만을 선택적으로 증폭한 후, 17K cDNA microarray에 reference RNA를 이용한 indirect 방법으로 microarray 실험을 수행하였다. 결과들을 평준화와 전처리 하고 unsupervised hierarchical clustering을 통하여 전체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살핀 후에, 14개의 학습군과 8개의 검증군으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학습군에서 Significant Analysis of Microarrays (SAM) 을 이용하여 정상 대장 조직과 간 조직에서 유의하게 발현이 차이가 나는 장기 특이 유전자를 선별하고 추후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장기 특이 유전자군이 제거된 유전자를 이용하여 학습군에서 원발성 대장 종양과 간 전이 종양에서의 특이 유전자를 Prediction Analysis of Microarrays (PAM)을 이용하여 선별 및 검정한 후, NIH-DAVID database (http://apps1.niaid.nih.gov/david/)를 이용하여 유전자의 기능을 살펴보았다.모든 실험 결과를 100 % non-missing proportion에서 선별된 12,823 개의 유전자를 이용하여 unsupervised hierarchical clustering 을 수행하였을 때, unsupervised clustering 임에도 불구하고 크게는 정상 대장, 정상 간, 원발성 대장 종양, 간 전이 종양 조직으로 구분되는 경향을 보였다. 정상 대장과 간 조직으로 SAM 을 이용하여 false discovery rate 0.062 % 에서 4,616 개의 장기 특이 유전자를 선별하고 이 유전자 군을 제거한 8,207 개 유전자를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14 쌍의 원발성 대장 종양과 간 전이 종양 조직 학습군을 PAM을 이용하여 학습하고 training error와 교차 검정의 misclassification error가 공통으로 0인 구간에서 81개, 126개, 252개의 유의 유전자군을 먼저 선별했다. 이 세 개의 유전자군을 각각 8 개의 독립된 검증군을 이용한 검정과 supervised hierarchical clustering을 통하여 원발성 대장 종양과 간 전이 종양을 적절히 구분할 수 있는 126 개의 최적 유전자군을 선별하였다.이렇게 선별된 126 개의 유전자 중 간 전이 종양에서 38 개는 up regulation 되었고 88 개는 down regulation 되었다. 선별된 유전자에는 중에는 WNT5A, lipocalin 2, E-cadherin, deiodinase 등 기존에 알려진 oncogene 이나 cell adhesion 관련 유전자들과 16 개의 EST 가 포함되어 있었다. 특히 MMP-1, MMP-2, WNT5A 는 원발성 대장 종양에 비해 간 전이 종양에서 발현 양이 감소하였고, 이들은 간으로의 전이하는 초기단계에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반대로 TIMP-1은 발현 양이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p < 0.01). 결론적으로, 대장암에서 whole genome의 유전 발현 양상을 살펴보았고, 간 전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사료되는 126개의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영문]Liver metastasis is the major cause of death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By using cDNA microarray gene expression profiling, we selected genes of metastatic potential from colorectal cancer patients with liver metastasis. We performed cDNA microarray in an indirect design based on the T7 linear mRNA amplification method with paired 22 colorectal normal mucosa, primary tumor, normal liver and metastasis liver tumor tissue RNAs using 17K human cDNA microarray. After the normalization, we evaluated the gene expression profilings of all samples with unsupervised clustering. Next, we selected organ specific genes with normal colon mucosa and liver tissue using Significant Analysis of Microarrays (SAM). After that, we selected and validated liver metastasis related genes from colorectal primary tumor and liver metastasis tumor within genes which subtracted organ specific genes using Prediction Analysis of Microarrays (PAM). The selected genes were functionally annotated using NIH-DAVID database (http://apps1.niaid.nih.gov/david/).Unsupervised hierarchical clustering with 12,823 genes with 100% non-missing proportion of the 22 paired samples showed different expression profiling between primary tumor and liver metastasis. Next, we selected 4,616 organ specific genes with normal colon mucosa and liver tissue at the false discovery rate of 0.062% using SAM, which were subtracted for not using further analysis. After that, we identified 38 and 88 genes of up and down regulated in metastatic lesions, respectively, with selected 8,207 genes of 14 train set using PAM, and validated the selected genes in 8 independent test set. 126 selected genes contained many known oncogenes and cell adhesion molecules such as wingless-type MMTV integration site family member 5A, lipocalin 2, E-cadherin, deiodinase as well as 16 ESTs. We especially observed that MMP-1, MMP-2 and WNT5A expression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liver metastatic tumors (p<0.001), suggesting their roles in early stage colorectal cancer rather than systemic metastasis. However, TIMP-1 express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liver metastatic tumors (p<0.001). In conclusion, we scanned whole genome using a cDNA microarray and identified 126 genes which might play a significant role in liver metastasis in colorectal cancer.
Files in This Item:
T00896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77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