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3 525

Cited 0 times in

자극성 섬유종에서 PCNA, TGF-β1, EGFR, MMP-1, TIMP-1의 발현

Other Titles
 Expression of PCNA, TGF-β1, EGFR, MMP-1, TIMP-1 in irritation fibroma 
Authors
 유미현 
Issue Date
2005
Description
치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상처 치유 기전에 작용하는 인자들의 발현과 증식능을 통하여 자극성 섬유종의 발생 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2001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병리학 교실에서 진단된 자극성 섬유종 88예와 정상 구강 점막 9예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결과를 비교하였다. 세포의 증식능(PCNA)과 TGF-β1, EGFR, MMP-1, TIMP-1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1. PCNA의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 정상 구강 점막과 자극성 섬유종의 상피 PCNA 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합 조직의 경우 정상 구강 점막의 PCNA 지수(3.94)에 비해 자극성 섬유종 종괴내 섬유아세포의 PCNA 지수(13.09)가 높게 나타나 자극성 섬유종 종괴내 섬유아세포의 증식 능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p<0.05).2. TGF-β1의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 정상 조직의 경우 TGF-β1이 각화층을 제외한 전층에 발현되었고(77.8%), 자극성 섬유종의 경우 발현이 안되거나, 부분적인 발현이 나타났으나(58.4%)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반면 결합 조직에서는 정상 구강 점막은 70% 이상 발현되는 경우가 11.1%였으나 자극성 섬유종 경우는 58.4%로서 자극성 섬유종 종괴내 섬유아세포의 TGF-β1 발현이 증가하였다(p<0.05).3. EGFR의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 정상 구강 점막 상피에서는 88.9%에서 기저층에 한정되어 EGFR의 발현을 보였으나 자극성 섬유종의 경우는 각화층을 제외한 전층에 EGFR 발현을 보인 경우가 52.5%로서, 정상 구강 점막에 비교하여 자극성 섬유종 군의 상피에서 EGFR의 발현이 증가하였다(p<0.05).4. MMP-1의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 정상 구강 점막과 비교하여 자극성 섬유종 군의 상피, 결합 조직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성 반응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5. TIMP-1의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 정상 구강 점막의 결합 조직은 30% 이하에서 양성 발현을 보인 경우가 55.6%였으나 자극성 섬유종 종괴내 섬유아세포는 73.5%에서 70% 이상의 양성 발현율을 보여 자극성 섬유종 종괴내 섬유아세포의 양성 발현의 증가를 보였다(p<0.05).이상의 연구 결과 자극성 섬유종의 발생 과정은 상처 치유 기전에서 작용하는 인자 중 TGF-β1, EGFR과 TIMP-1의 발현 증가와 섬유아세포의 증식능 증가가 자극성 섬유종 형성 과정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영문]Irritation fibroma is the most common tumor-like lesion in oral mucosa that is evolved in response to chronic irritation. Irritation fibroma is characterized by extensive elaboration of collagen resembling scar tissue. TGF-β1, EGFR, MMP-1 and TIMP-1 are important factors that play an essential role in extracellular matrix remodeling during scar formation. The pathogenesis of irritation fibroma may be connected with disturbance of wound healing.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proliferative activity(PCNA) and expression of TGF-β1, EGFR, MMP-1 and TIMP-1 in the fibroblasts of irritation fibroma using immunohistochemistry. We used 88 cases of IF and 9 cases of normal oral mucosa as normal control.The results are as follows:1. PCNA expression was found in the basal and parabasal cell layers of both normal oral mucosa and irritation fibroma. and PCNA index of the epithelium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However, PCNA index of fibrous portion of irritation fibroma was three fold higher(13%) than that of normal oral mucosa(4%),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2. TGF-β1 expression was distributed in the entire layer except keratinized layer in 77% among 9 cases of normal oral mucosa, while no or patch expression was found in 58% of mucosal epithelium of irritation fibroma. On the other hand, the fibrotic portion of irritation fibroma showed higher TGF-β1 expression compared to submucosal portion of the normal oral mucosa, evidenced by the results that 58% of irritation fibroma showed diffuse expression(more than 70%) compared to 11% in normal oral mucosa.3. EGFR expression was confined to the basal and parabasal cell layer in 88% of normal oral mucosa, while 52.5% of irritation fibroma showed EGFR expression in the entire layer except keratinized layer. This result showing high EGFR expression of irritation fibrom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EGFR expression of normal oral mucosa(p<0.05).4. MMP-1 expression of the overlying mucosa of irritation fibroma revealed positive reaction in the basal cell layer and 1/2 of prickle cell layer. In the fibroma, nearly 100% of fibroblasts showed positive expression. MMP-1 expression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normal mucosa and irritation fibroma groups.5. TIMP-1 expression of fibrotic tissue demonstrated that 73.5% of irritation fibroma showed more than 70% of positive reaction, compared to such lower expression of normal oral mucosa that 55.6% of 9 cases showed less than 30% of positive reaction.Taken these results, it is thought that the increased expression of TGF-β1, EGFR and TIMP-1 and increased proliferative activity could be connected to pathogenic mechanism of irritation fibroma. But other causing factors involved in the wound healing should be further searched.
Files in This Item:
T00882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63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