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0 452

Cited 0 times in

일부병사들의 흡연행태와 스트레스의 관련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about association of smoking behavior and stress among Korean soldiers 
Authors
 김은주 
Issue Date
2005
Description
건강증진교육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이 연구는 일부병사들의 흡연행태,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흡연과 스트레스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효과적 스트레스관리 및 그에 따른 흡연감소, 나아가 금연을 유도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된 연구이다.연구자료는 경기 북부 2개 부대 병사들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05년 4월 11일~4월 15일까지 부대를 방문, 설문지 360부를 배부하여 이중 358부를 회수하여 분석에 이용하였고, 분석방법은 일반적 특성과 흡연행태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정도와 스트레스 수준은 t-test 검정과 ANOVA 검정을 하였고, 흡연과 스트레스의 관련성은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조사 대상 병사들의 흡연율은 61.5%이며, 계급이 높은 병사일수록, 전역잔여일수가 적게 남은 병사일수록 스트레스 대처정도가 높고 스트레스 수준이 낮았다.둘째, 다중회귀 분석, 모형 1에서는 스트레스 대처정도에 대하여 계급이 높을수록, 전역후 할일이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에 비하여 스트레스 대처정도가 높고, 반면에 흡연기간이 10년이상인 사람은 비흡연자에 비하여 스트레스 대처정도가 낮았다 (p<0.05).모형 2에서는 스트레스 수준에 대하여 연령, 흡연유무, 스트레스 대처정도가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다른 변수를 통제하였을때 연령이 증가할수록 스트레스 수준은 증가하고(p<0.05), 비흡연자에 비해 흡연자는 스트레스 수준이 낮으며(p<0.05), 스트레스 대처정도가 1 증가하면 스트레스 수준은 -0.056 감소한다(p<0.001).모형 3에서는 흡연기간이 1-3년, 7-9년인 사람이 비 흡연자에 비해 스트레스 수준이 낮았다(p<0.05).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때 비흡연자에 비해 흡연자가 스트레스 수준이 낮으나, 10년이상 흡연을 한 사람은 비흡연자에 비해 스트레스 대처정도가 낮은것에서 유추할수 있는 것은 흡연이 일시적인 스트레스 해소의 효과를 가져오나 장기간의 흡연은 오히려 스트레스 대처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스트레스 완화효과가 감소한다는 것을 생각할수 있다. 그러나 스트레스 대처정도가 낮아 흡연을 지속적으로 하게 되는지, 흡연을 오래해서 스트레스 대처정도가 낮아지게 되는지는 명확한 인과관계를 알수 없는 단면연구로서의 본 연구의 제한점이 있다.본 연구는 군관련 기존 연구들이 미흡했던 흡연과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둘수 있으며, 부대 지휘관 및 보건관련 근무자들은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계급 및 흡연기간을 고려한 스트레스 관리 접근법을 적용함으로써 좀더 효과적인 스트레스 중재효과를 가져와 스트레스에 기인한 흡연의 감소와 나아가 금연을 유도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ffective stress management, reduce smoking and induce smoking cessation through identifying smoking behavior, stress and analyzing the association of smoking behavior and stress among Korean soldiers.For the survey, 2 troops at Kyung-Ki province were selected and 358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ere completed from 11th to 15th April, 2005.T-test, ANOVA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ability to cope with stress in daily living, stress level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moking behavior. Pearson''s correlation, mu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valuat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stress.The results are as follows:1. Current prevalence of cigarette smoking was 61.5%. Among Korean soldiers, the higher rank, the shorter residuary date of retirement, they had high score of the ability to cope with stress in daily living.2.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Model 1(dependent variable is the ability to cope with stress in daily living) presented that the higher rank, people who had planning of working after retirement, they had high score of the ability to cope with stress in daily living. however, comparing to nonsmokers, people who were long term smokers( 〉10years) had low score of the ability to cope with stress in daily living.Model 2(dependent variable is level of stress) presented that comparing to non-smoking group, stress level of smoking group was lower 0.145 times and if age was increased, level of stress was also increased. Controlling other variables, if the ability to cope with stress in daily living was increased 1 point, stress level was decreased 0.056.Model 3(dependent variable is level of stress) presented that comparing to non-smoking group, people who had 1-3year, 7-9year smoking duration had low level of stress.In summary, smokers have lower stress level than that of non-smokers and long term smokers( 〉10years) have lower score of the ability to cope with stress in daily living than that of non-smokers. with the above statement, we can inferred that long term smoking affects the ability to cope with stress in daily living negatively and stress buffering effect by smoking is ineffective. but this study can''t be showen the causation of smoking and stress. (i.e., stress induces long term smoking or long term smoking induces the decrease of the ability to cope with stress in daily living, the increase of stress level)It can be recommended that commanders and health care givers use effective stress management considering rank and smoking duration. Thus it may contribute to reducing cigarette smoking by stress and inducing cigarette smoking cessation.
Files in This Item:
T00872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53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