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2 512

Cited 0 times in

Displacements of implant components from impressions to definitive casts : a three dimensional analysis

Authors
 김선재 
Issue Date
2005
Description
Dept. of Dental Science/박사
Abstract
[한글]

임프란트 인상채득 과정에서는 모두 4번의 부속품의 변위가 발생 가능하다. 첫째, 지대주에 인상 코핑 연결 시 두 부속품 간 공차에 의한 인상 코핑의 위치변화. 둘째, 인상재나 인상방법 자체에서 발생하는 인상 코핑의 위치변화. 셋째, 인상 트레이 내 인상 코핑에 아나로그를 연결할 때 이 두 부속품간의 공차에 의해 발생하는 아나로그의 위치변화. 마지막으로 석고모형 제작 시 석고의 경화팽창에 의한 아나로그의 위치변화이다. 이 중 둘째와 넷째 변위가 실제로 인상법에 의한 변위며 첫 번째와 세 번째 변위는 임상가로서는 조절이 불가능하다. 현재까지 발표된 임프란트 인상에 관한 거의 모든 연구들은 환자모형과 인상 채득 후 제작된 작업모형을 단순히 비교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인상의 어떤 단계에서 얼마만큼의 변위가 일어나는지에 대한 고찰은 전혀 이뤄지지 않았으며 무엇보다 임프란트 부속품간의 공차에 의한 변위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인상법 자체의 정확도를 평가할 수 없었다. 이에 저자는 임상에서 흔하게 이용되는 2가지 임프란트 인상 채득법, 즉 비 연결 고정법과 광중합형 레진을 이용한 연결 고정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인상채득 단계에서 발생하는 부속품의 위치변화를 전산화 3차원 측정기로 측정함으로써 인상채득 과정에서 발생 할 수 있는 4가지 변위량을 비교하였다. 첫 번째와 세 번째 변위인 연결과정에서 발생하는 변위량의 비교에선 인상 코핑 연결 시 와 아나로그 연결 시 각각 31.3±15.5, 30.4 ±15.6㎛의 변위를 초래하였다. 3차원적 선형 변위량 총계의 비교에선 두 번째 변위인 인상 채득 과정동안의 변위량은 비 연결 고정법 (23.6±14.2㎛) 이 광중합 레진 연결 고정법 (43.7±20.3㎛)에 비해 유의성 있게 작았다. 그러나 네 번째 변위인 석고모형을 제작하는 과정에서는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36.4±19.2 대 20.7±8.3㎛). 인상채득과 석고모형 제작과정 동안에 발생한 총 변위량은 두 가지 인상법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6.8±18.5 대 37.6±16.5㎛). 현재까지 발표된 논문들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인상과정에서 부속품을 연결하는 동안 부속품 간 공차에 의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변위량을 배제한 채 실제로 인상채득 방법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변위량을 비교하였다. 단순히 인상 코핑이나 아나로그를 연결하는 과정동안에 작업모형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의 변위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지금까지 공차에 의한 변위량을 배제하지 않은 채 인상법의 정확도를 평가한 과거 연구들의 결과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영문]Purpos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amount of four possible displacements of implant components from making an impression to fabricate a definitive cast.Materials and Methods: A mandibular master model with 5 parallel implants was fabricated. Performing each of non-splinted and light curing resin splinted open tray impression technique, 5 definitive casts were fabricated per each technique. Using a computerized coordinate measuring machine, 5 part coordinate systems were established and 7 sets of data were obtained for each sample. From the data, the amount of displacement while connecting components, the linear and angular displacement of component during impressions and cast fabrications were calculated.Results: The average displacements while connecting impression copings and abutment replicas were 31.3 and 30.4㎛ each. Non-splinted group resulted smaller displacement compared to splinted group during impressions (23.6 versus 43.7㎛) but greater displacement during cast fabrications (36.4 versus 20.7㎛).Discussion: In contrast to previous studies, current study excluded the displacement resulted from connecting an impression coping or an abutment replica and measured the displacement solely resulted from the impression and the cast fabrication to compare the accuracy of impression techniques because the displacement from connecting components had no relation to the impression technique used and could not be controlled.Conclusions: Connecting a component produced as great as the displacement solely resulted from an impression or a cast fabrication. Non-splinted group was more accurate during impressions but less accurate during cast fabrications.
Files in This Item:
T00870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51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