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4 714

Cited 0 times in

전화방문이 재가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주가족간호자의 가족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iveness of telephone coaching for the family burden of caregiver of the schizophrenia in home 
Authors
 곽윤경 
Issue Date
2005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주가족간호자들은 일차적 보호제공자로서 환자의 질환 및 행동과 관련하여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경제적 부담감을 경험하게 되며, 이러한 가족 부담감이 적절히 해결되지 않으면 가족원 각각의 생활 효율성이 저하되고 가족 전체 생활의 균형이 위협 당하게 되어 정신분열병 재발 뿐 아니라 가족 전체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재가 정신분열병환자를 돌보는 주가족간호자의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간호중재로 전화방문의 효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 연구설계는 무작위 할당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의 순수실험연구이다. / 연구대상은 정신분열병 진단 하에 서울 소재 국립S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은 후 집으로 퇴원하는 환자 가족 중 환자의 실질적 보호자로서 책임을 느끼는 주가족간호자 51명으로 실험군 25명과 대조군 26명 이었다. / 전화방문은 먼저 정신질환자 가족의 요구도를 조사한 선행연구와 예비조사를 통해 전화방문 기록지와 자료집으로 프로토콜을 마련한 후, 마련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실험군에게 퇴원 후 4주 동안 본 연구자가 전화방문을 시행하였다. / 자료수집은 2004년 7월 29일부터 10월 30일까지 하였다. 사전 조사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환자 퇴원 후 1주 이내, 사후조사를 위해서는 실험군은 연구자의 전화방문 종료 후 1주 내에, 대조군은 사전조사 4주가 경과한 시점에서 1주 내에 훈련된 연구조사자 1인이 전화를 통해 시행하였다. / 연구도구는 송현주(1995)가 정신분열병환자 부모를 대상으로한 그의 연구에서 Zarit(1985)의 Burden Interview(BI)를 토대로 가족의 부담감을 스트레스, 좌절, 분노의 감정으로 측정한 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 동질성은 X²-test와 Indepen-/dent t-test로 검증하였고, 가설검증은 ANCOVA 검증으로 분석하였으며 이 외에 전화방문 내용을 추가분석하였다./ /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실험군과 대조군의 두 그룹간 가족부담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F=6.63, p=0.01) “전화방문을 받은 재가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주가족간호자의 가족부담감은 전화방문을 받지 않은 가족부담감 정도와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본 연구의 가설은 지지되었다./2)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가족 간호자의 부담감 평균점수는 2.63 ±.30 이었고, 부담 수준이 가장 높은 문항은 “환자는 나에게 의존한다(3.49)“, 가장 낮은 문항은 ”환자가 필요이상의 요구를 한다(2.12)“로 나타났다./3) 실험군 25명의 대상자에게 4회씩 전화방문을 한 결과 가장 많이 문의되었던 내용은 “환자의 양성 및 음성 증상과 관련된 가족의 대처”였고, 그 다음으로는 “환자의 재활관련”, “환자의 문제행동관련”, “환자의 치료약물 관련”, “환자의 치료경과 및 예후 관련”, “환자의 발병원인관련”, “환자의 사회복지관련” 문의 내용들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재가 정신분열병 환자를 돌보는 주가족간호자에 대한 전화방문이 주가족간호자의 부담감 감소에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 그러므로 정신보건의료 환경의 변화로 재원기간이 짧아진 정신분열병 환자들을 돌봄에 있어 큰 책임을 가지는 주가족간호자의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효율적인 대처를 돕는데 구조적인 전화방문의 활용을 제안한다





[영문]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iveness of a Telephone Coaching for the family burden of the caregiver of schizophrenia in home./ The research design of this study was set up by the randomized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Fifty-one caregivers careing for the schizophrenia in home. Twenty-five of them belongs to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Twenty-six belongs to for control group, ./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9. 2004 to October 30. 2004 from a national mental hospital. /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the family burden scale revised by Song hyun-ju(1995)./ Only subjects was assigned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elephone Coaching for 4 times per a week according to the protocol, developed for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ies, percentages, chi-sqaure test, Independent t-test and ANCOVA, which were done with SPSS WIN 12.0 program. And content analysis of Telephone Coaching was d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1. Hypothesis : The hypothesis that "there will be a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in the level of family burden after Telephone Coaching" were supported(F=6.63, p=0.01).//2. The mean of family burden in this study was 2.63±.30. The highest item was "Patient depends on me(3.49)" and the lowest item was "Patient ask me over the odds(2.12)"//3. The most frequently question in this Telephone Coaching was "The family copying with schizophrenia patient'' sympt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elephone Coaching was effective on the decrease of the family burden of the caregiver of schizophrenia in home./ Therefore, Telephone Coaching would be recommend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relieving family burden in caregivers under caring schiophrenia in home./ And the following study using the protocol in this study would be recommended.
Files in This Item:
T00866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47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