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9 612

Cited 0 times in

폐경기 여성에서 호르몬대체요법이 경동맥 내중막 두께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on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n postmenopausal women 
Authors
 신장렬 
Issue Date
2005
Description
의과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관상동맥질환은 폐경기 여성에서 주된 사망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폐경 이후 죽상경화증의 위험은 급격히 증가되며, 폐경기 여성에서 호르몬대체요법이 유의하게 죽상경화증의 진행을 감소시킨다는 여러 연구들이 있었다. 죽상경화증의 진행을 억제하는 호르몬대체요법의 보호기전으로 이상지혈증을 개선시키고 혈액응고인자 및 혈전형성인자들을 감소시키는 항혈전작용 등의 간접적인 효과와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통해 혈관과 심장에 직접 작용하여 혈관 내벽의 기능을 향상시켜 동맥벽의 이완을 유도하는 직접적인 효과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1998년 발표된 연구인 Heart and Estrogen/progestin Replacement Study (HERS) 연구에 따르면 호르몬대체요법이 심혈관질환의 2차 예방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오히려 초기 치료 후 1년간 관상동맥질환의 재발 위험이 증가 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저자 등은 폐경기여성에서 고해상도 B-mode 초음파를 이용하여 경동맥 내중막 두께를 측정함으로써 호르몬대체요법이 죽상경화증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여 폐경기 여성에서 호르몬대체요법의 유용성 및 위험성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돕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심혈관질환의 과거력이 없는 50세에서 60세까지의 폐경기 여성 120 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호르몬대체요법 기간에 따라 투여 받지 않은 대조군(52명), 3년 미만 투여군(40명), 및 3년 이상 투여군(28명)으로 분류하였다. 죽상경화증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적 특징과 위험인자로 알려진 생화학적 특성인 지질 성분, PAI-1 및 fibrinogen 등의 수치를 측정하였으며, 죽상경화증의 진행 정도를 알기 위해 경동맥 초음파를 이용하여 경동맥 내중막 두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폐경에 노출된 기간은 3년 이상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았다(1.8±2.3년 vs 4.3±3.3년, p<0.001).

2. 죽상경화증의 임상적 위험 요소인 고혈압, 당뇨, 흡연 및 심혈관 질환의 가족력 등은 각 대상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지질 성분, PAI-1 및 fibrinogen 등 생화학적 위험인자도 세군 간에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3.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평균값은 대조군에서 0.71±0.14mm, 3년 미만 투여군에서 0.66±0.12mm 및 3년 이상 투여군에서 0.62±0.11mm로 나타났는데, 대조군에 비해 3년 이상 투여군에서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4.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최대값은 대조군에서 0.82±0.22mm, 3년 미만 투여군에서 0.73±0.15mm 그리고 3년 이상 투여군에서 0.69±0.13mm 이었다. 최대값은 대조군에 비해 3년 미만 투여군, 3년 이상 투여군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P<0.01).

5. 호르몬대체요법 기간에 따른 대상군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평균값 및 최대값이 상위 1/3에 속할 상대적 위험도를 대조군에서 1이라 할 때 3년 이상 투여군의 상대적 위험도는 각각 0.27, 0.2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6.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평균값 및 최대값은 프로게스테론 병용 투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낮게 나타났다(0.63±0.12mm vs 0.71±0.14mm, 0.70±0.14mm vs 0.82±0.22mm, p<0.05). 그러나 에스트로겐 단독 투여군과 프로게스테론 병용 투여군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호르몬대체요법 기간에 따른 각 대상군 사이에서 임상적인 위험요소와 생화학적 위험인자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대조군에 비해 3년 이상 투여군에서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평균값 및 최대값이 유의하게 더 작았다. 또한 프로게스테론 병용 유무와 관계없이 호르몬대체요법을 받은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평균값 및 최대값이 낮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호르몬대체요법이 심혈관질환의 1차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후향적 단면 연구였기 때문에 향후 전향적 추적 관찰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Atherosclerosis and its complications are the major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postmenopausal women. There has been numerous studies that the risk of atherosclerosis was increased in postmenopausal women, an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 has been shown to reduce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postmenopausal women. The causal role played by estrogen in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has been discussed with regard to both its indirect effect on circulating lipid level, inflammatory markers, coagulation and fibrinolytic factors, and insulin sensitivity as well as its direct effect on endothelium-dependent vasodilation.

In 1998, the Heart and Estrogen/progestin Replacement Study (HERS) showed no effect on the secondary preven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after 4 years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However, an increase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events was found in the HRT group in the first year of the trial, and the risk decreased in subsequent years.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HRT on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MT) by using high resolution B-mode ultrasonography in postmenopausal women.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HRT, patients were divided into never users(N=52), short-term users(N=40, over 1 year and less than 3 years), and long-term users(N=28, over three years). In 120 postmenopausal patients, the IMT of carotid artery as the index of atherosclerosis was measured by a ultrasound and the clin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s a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ere examined.

1. Between never users and long-term us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osed menopausal period (1.8±2.3years vs 4.3±3.3years, p<0.001).

2.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cli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onset age, hypertension, diabetes, family history of coronary artery disease and smoking history. Also no difference was seen between groups in biochemical parameters, such as lipid profile, Lp(a), fibrinogen, PAI-1, and fasting blood sugar.

3. Between never users and short-term user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IMT (0.71±0.14mm vs 0.66±0.12mm, p=0.072). But, between never users and long-term us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IMT(0.71±0.14mm vs 0.62 ±0.11mm, p<0.01).

4. Between never users and short-term user, a significant difference were seen in the maximal IMT (0.82±0.22mm vs 0.73±0.15mm, p<0.05). Long-term users was associated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of maximal IMT (0.69±0.13mm vs 0.82±0.22mm, p<0.01).

5. Compared to never users, long-term users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ive risk for classified within upper tertiles of mean and maximal IMT(RR=0.27, 0.25, p<0.05).

6.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and maximal IMT in CEE + MPA treated group(0.71±0.14mm vs 0.63±0.12mm, p<0.05 0.82±0.22mm vs 0.70±0.14mm, p<0.05).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EE treated group and CEE + MPA treated group.

There was no statistic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clin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The mean and maximal IMT in long-term users were significantly thinner than that of never users. Also, women receiving progestins combined with estrogen had a similar thinner IMT than that of control.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we may probably suggest that HRT may have a beneficial effect on the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Because our study was a cross-sectional study, further prospective studies are requir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RT on reduction of IMT.
Files in This Item:
T00864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45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