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1 689

Cited 0 times in

중국 연변지역 중년 여성의 건강증진행위 영향 요인

Other Titles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among Chinese middle-aged women in Yanbian, China 
Authors
 최인선 
Issue Date
2005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중국 중년 여성의 폐경상태에 따른 건강 증진 행위 수행정도와 관련요인을 규명하려는 탐색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중국 연변지역에 거주하는 40~60세 중년여성으로 총 406명이었고 자료수집기간은 2004년 10월 1일부터 11월 20일까지였고 질문지를 통한 자가 보고식으로 자료수집 하였다.

본 연구의 건강증진행위 도구는 Walker, Sechrist & Pender(1995)의 HPLP-Ⅱ를 김수(2001)가 번안한 도구 52문항으로 건강책임, 운동, 영양, 자아실현, 대인관계, 스트레스 조절 등 6개 하부영역으로 구성 되였다. 갱년기 증상은 지성애(1983)의 폐경 증상 도구 19문항, 폐경에 대한 태도는 지성애(1983)의 발달현상에 대한 태도 측정 도구 중 폐경에 대한 태도 9문항, 폐경지식은 Polit & Larrocco(1980)의 폐경지식 및 태도를 기초로 한 송인숙(1984)의 폐경지식 척도를 송애리(1997)가 수정 보완한 도구로 총 14문항, 성 정체감은 Bem(1974)의 단축형 BSRI를 정옥분(1986)이 번안하고 김현화(1992)가 수정 보완한 척도를 수정보완한 도구로 남성성 10문항, 여성성 10문항이었고, 건강지각은 Speake 등(1989)이 사용한 도구를 박명희(1997)가 수정 보완한 2문항, 사회적지지는 Abbey, Abramis 와 Caplan(1985)의 도구를 전지아(1990)가 번안하고 유성은(1997)이 수정 보완한 도구 11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 t-검정, 분산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연구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는 5점 척도에서 평균평점 2.34점이었고 폐경전기군은 2.36점, 폐경기군은 2.35점, 폐경후기군은 2.31점이었고 세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위영역별로는 전체대상자에서 대인관계, 자아실현영역이 각각 2.68점, 2.53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영양과 스트레스조절이 2.40점, 2.39점으로 중간 점수를 나타냈으며 건강책임과 운동이 2.12점, 1.88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건강증진행위와 6개 하위영역은 폐경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전체 대상자의 갱년기 증상은 평균 평점 2.24점이었고 폐경후기군이 폐경전기군보다 갱년기 증상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2). 폐경지식은 6.94점이었고 폐경후기군이 폐경전기군보다 폐경지식점수가 높았으며(p=.011) 폐경에 대한 태도는 평균 평전 3.01점이었고 폐경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상자의 성 정체감 유형은 폐경전기군에서 양성성이, 폐경기와 폐경후기군에서는 남성성이 가장 많았으며 세군에서 모두 미분화성이 가장 적었고 폐경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건강지각은 평균 평점 2.23점이었고 폐경전기군이 폐경후기군보다 자신의 건강상태를 양호하게 지각하였다(p=.000). 사회적 지지 점수는 41.05점이었고 폐경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전체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는 직업유무(p=0.000), 교육정도(p=0.000), 경제상태(p=0.000), 결혼만족도(p=0.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폐경전기군은 직업유무(p=0.07), 교육정도(p=0.000), 경제상태 (p=0.000), 결혼만족도(p=0.000), 호르몬 치료 유무(p=.013)에 따라 건강증진행위 수행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폐경기군은 일반적 특성에 따라 건강증진행위 수행정도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폐경후기군은 직업이 있는 경우가 건강증진행위를 더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37).



4. 전체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수행점수는 양성성(126.60점), 남성성(124.61점), 여성성(121.27점)인 경우가 미분화성(112.52점)인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p=.000). 폐경전기군에서는 양성성(127.13점), 남성성(127.02점)인 경우가 미분화성(113.89점)인 경우보다 건강증진행위 수행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p=0.000). 폐경기군은 성 정체감 유형에 따라 건강증진행위 수행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폐경후기군은 양성성(126.62점)인 경우가 미분화성(110.72점)인 경우보다 건강증진행위 수행점수가 높게 나타났다(p=0.004).



5. 전체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는 폐경지식(r=.13, p=.007), 건강지각(r=.25, p=.000), 사회적 지지(r=.17, p=.000)와 순 상관관계를 보였고 갱년기 증상과(r=-.19, p=.000)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폐경전기군의 건강증진행위는 폐경지식(r=.20, p=.005), 건강지각(r=.34, p=.000), 사회적 지지(r=.14, p=.040)와 순 상관관계를 보였고, 갱년기증상(r=-.16, p=.017), BMI (r=-.16, p=.017)은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폐경기군의 건강증진행위와 폐경지식(r=.32, p=.022)은 순 상관관계를 보였고 폐경후기군의 건강증진행위는 건강지각(r=.24, p=.006), 사회적 지지(r=.25, p=.004)와 순 상관관계를 보였고 갱년기 증상(r=-.28, p=.001)과는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6. 건강증진행위 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건강증진행위 수행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던 변수를 포함시켜 단계적 다중회귀 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한 결과 전체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는 성 정체감, 건강지각, 교육정도, 경제상태, 사회적지지에 의해 16.7% 설명되었고 양성 성 정체감 (β=.26) 이 가장 영향력이 큰 변수였다. 폐경전기군의 건강증진행위는 성 정체감, 경제상태, 건강지각에 의해 23.3% 설명되었고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양성 성 정체감(β=.32) 이었다. 폐경기군의 건강증진행위는 폐경지식에 의해 9.0 % 설명되었다. 폐경후기군의 건강증진행위는 갱년기 증상과 양성성 정체감에 의해 9.4% 설명되었고 갱년기 증상( β=.26)의 영향력이 가장 컸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by menopausal status in Chinese middle-aged women living in Yanbian, China. Data on 406 women between the ages of 40 and 60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st, 2004 to November 20th, 2004.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ed data and consisted of 52 items on HPLP-Ⅱ(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19 items on climacteric symptoms, 14 items on knowledge of menopause, 9 items on attitudes toward menopause, 20 items on gender identity, 2 items on health perception, and 11 items on social support.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hi-square,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was 2.34 in all subjects and 2.36 in premenopausal, 2.35 in perimenopausal, and 2.31 in postmenopausal women . Among health promotion behavior subdomains, scores were highest for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piritual growth. The scores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responsibility among health promotion behaviors subdomains were lower than those of other domains.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its subdomain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across the three groups.



2. Among all subj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occupation(p=.000), economic status (p=.000), marital satisfaction (p=.000), and education(p=.000). In premenopausal wom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occupation(p=.07), economic status (p=.000), marital satisfaction (p=.000), education(p=.000), and hormone use (p=.013). In postmenopausal women, health promotion behaviors were significant different by occupation( p=.037)



3. Among all subjects, health promotion behaviors scores were higher for of androgynous , masculine , and feminine gender identity types than scores of undifferentiated type women(p=.000). In the premenopausal group, health promotion behaviors scores of androgynous and masculine types were higher than scores of undifferentiated type(p=.000). In the perimenopausal group,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y gender identity type in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the postmenopausal group, health promotion behaviors scores were higher in androgynous type than the undifferentiated type(p=.004).



4. Among all subjects, health promotion behavi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knowledge of menopause (r=.13, p=.007), health perception (r=.25, p=.000), and social support (r=.17, p=.000),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limacteric symptoms (r=-.19, p=.000). In the premenopausal group, health promoting behavior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knowledge of menopause (r=.20, p=.005), health perception (r=.34, p=.000), and social support(r=.14, p=.040),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limacteric symptoms (r=-.16, p=.017) as well as BMI(r=-.16, p=.017). Health promotion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knowledge of menopause in the perimenopausal group(r=.32, p=.022) and with health perception(r=.24, p=.006) and social support(r=.25, p=.004) in the postmenopausal group. Health promotion behavior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limacteric symptoms (r=-.28, p=.001) among postmenopausal women as well.



5. In all subjects, gender identity, health perception, education, economic status, and social support explained 16.7% of the varianc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rogynous gender identity(β=.26) was the most influential predictor. In the premenopausal group, the combination of gender identity, economic status, and health perception explained 23.3% of the varianc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androgynous gender identity(β=.32) was the most influential highest factor. In the perimenopausal group, knowledge of menopause explained 9.0%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the postmenopausal group, climacteric symptoms and androgynous gender identity explained 9.4%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Climacteric symptoms(β=.26) was highest factor.
Files in This Item:
T00860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40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