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8 725

Cited 0 times in

여대생의 성적 자기주장 관련 요인

Other Titles
 Factors influencing sexual assertiveness among women college students 
Authors
 최명현 
Issue Date
2005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여대생의 성적자기주장 정도와 인구사회학적 특성, 성관련 경험 특성, 자아존중감, 정신건강 (우울, 불안, 적대감), 의사소통 유형 (회유형, 비난형, 초이성형, 산만형, 일치형)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된 횡단적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04년 10월 25일부터 2004년 12월 14일까지 수도권에 위치한 4년제와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을 525명을 편의 추출하여, 강의시간 전이나 후에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되었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과 이성교제 경험 특성, 성관련 경험 특성에 대한 질문과 Patricia 등 (1997)이 개발한 성적자기주장측정 도구 (SAS)를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것과,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자아존중감(Rosenberg, 1965), 정신건강도구 SCL-90-R (Derogatis. 등, 1974)의 문항 중 우울, 불안, 적대감 문항, 의사소통 유형(이상순, 1998)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ANOVA, Spearmann correlation coefficient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28.1%가 성교경험이 있었으며 첫 성교 평균 나이는 20.39세였다. 첫 성교 대상자는 이성친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성교 시 피임을 항상하는 경우는 47.9%이고, 피임방법으로는 콘돔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2. 여대생의 성적자기주장 정도는 최초 이성교제 시 성적자기주장의 평균은 49.36±8.18점으로 세부요인인 거절요인의 평균은 24.61±4.30점, 예방요인의 평균은 24.81±5.07점 이었다. 최근 이성교제 시 성적자기주장의 평균은 49.51±7.88점이고 거절요인의 평균은 24.40±4.34점, 예방요인의 평균은 25.10±4.80점 이었다.



3. 성적자기주장의 관련요인 인 자아존중감의 평균은 29.67±3.90점, 정신건강의 평균은 58.70±17.89점으로 적대감, 우울, 불안 순이었으며, 일치 의사소통을 역기능 의사소통에 비해 더 많이 사용하였다.



4. 최근 성적자기주장 정도는 이성교제 대상자 수 (p=.003), 자위경험 (p=.014), 성교 시 피임 사용 정도 (p=.000), 피임방법 (p=.018), 성병 예방을 위한 콘돔 사용 정도 (p=.000), 성교경험 (p=.000)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성교 경험이 있는 경우 최초와 최근의 이성교제 시 성적자기주장의 거절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17).



5. 성교 경험이 없는 여대생의 경우는 최초 이성교제 시 성적자기주장의 거절요인에서 산만형 (r=-.186), 비난형 (r=-.105), 최근 이성교제 시 성적자기주장에서도 산만형 (r=-.132), 거절 요인은 역기능 의사소통 (r=-.157), 산만형 (r=-.237)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05).



6. 성교 경험이 있는 여대생의 경우 최초 이성교제 시 성적자기주장은 불안 (r=-.227), 회유형 (r=-.240), 거절요인은 불안 (r=-.271), 회유형 (r=-.230), 최근 이성교제 시 성적자기주장은 일치 의사소통 (r=.172), 거절요인은 회유형 (r=-.181), 일치 의사소통 (r=.199)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p<.05).



이상의 연구를 종합하여 볼 때, 성적자기주장은 성교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성교 경험이 있는 경우 최초에 비해 최근의 이성교세 시 거절하는 능력이 떨어졌으며, 의사소통 유형이 중요한 변수였다. 그러므로 여대생을 위한 성교육에는 의사소통에 대한 내용이 포함된 성적자기주장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특히, 성교 경험을 고려하여 원치 않는 성접촉에 거절하는 법과 성병과 임신예방을 위한 콘돔 사용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내용이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general characteristics, sexual experience, self-esteem, mental health (depression, anxiety, hostility), and communication patterns (placating, blaming, super-reasonable, irrelevant, congruent stance) on sexual assertiveness(SA) among women college students.

523 women college students in a metropolitan area in Korea participated in this cross-sectional survey. A Convenience sampling technique was used and data were collected by self report questionnaires from October 25th to December 14th, 2004.

The tools used in the study were a questionnaire on SA (Patricia, et al., 1997), self-esteem (Rosenberg, 1965), Symptom check list (SCL90-R) (Derogatis, et al, 1974) and Communication patterns (Lee, 1998).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test, ANOVA, with Scheffe method and Spearman correlations stat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Of the 28.1% of women who had experienced sexual intercourse, only 47.9% were using contraception methods consistently, with condoms used most often (63.7%).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 was found according to number of boyfriends (F=4.72, p=.00), masturbation (t=2.47, p=.14), experience of sexual intercourse (t=7.96, p=.00), contraception method (t=2.41, p=.02), and frequency of condom use (F=20.64, p=.00). Among women who experienced sexual intercourse there wa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fusal factor of SA in the first dating relationship & the most recent dating relationship (t=.04. p=.02).

Among women who experienced sexual intercourse SA in the first dating relationship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nxiety (r=-.23, p<.05), and placating communication patterns (r=-.24, p<.05). The SA refusal factor in participants first dating relationship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nxiety (r=-.27, p<.05), and placating communication patterns (r=.23, p<.05). SA in the most recent dating relationshi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ngruent communication pattern (r=.17, p<.05). The SA refusal factor in participants the most recent dating relationship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lacating communication patterns (r=-.18, p<.05)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ngruent communication patterns (r=.20, p<.05).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for sex education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to be relevant and effective, identifying and improving communication patterns in relation to sexual assertiveness is important. A sexual assertiveness program is the one of the best ways to prevent unwanted sexual contacts, pregnancy, and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in college students.
Files in This Item:
T00854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35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