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8 604

Cited 0 times in

교정용 임플란트의 식립을 위한 치근간 거리의 방사선학적 평가

Other Titles
 Radiologic evaluation of interdental distance for orthodontic miniscrew implant application 
Authors
 주억 
Issue Date
2005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치근사이에 교정용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경우 인접치근에 대한 외상을 최소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임상적으로는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 나타난 치근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있지만, 상의 왜곡과 확대가 일어난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산화 단층촬영 사진에서 치근사이 거리에 대한 부위별 평균값을 제시하고,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의 치근사이 거리가 전산화 단층촬영 사진에서의 거리를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가를 비교하고 분석하여 교정용 임플란트의 안전한 식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상하악 각 30쪽씩 전산화 단층촬영 및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촬영하였다. 인접면 백악법랑경계에서부터 치근단 방향 4 mm, 8 mm 지점에서 계측을 시행하였다. 전산화 단층촬영 사진에서는 가장 가까운 치근사이 거리와 협측 및 구개측 치조골 표면으로부터 5 mm 범위 내에서 가장 가까운 치근사이의 거리를 계측하였고,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는 가장 가까운 치근사이 거리만 계측하였다. 치관 폭경을 계측하여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의 치관 확대율을 구하였다. 이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산화 단층촬영 사진에서 계측한 치근사이 거리는 치근단 방향 8 mm 지점이 4 mm 지점 보다 넓게 나타났고, 상악 구치부에서는 구개측 치근사이 거리가 협측보다 넓었다.

상악 협측 치근사이 거리는 제1대구치와 제2소구치 사이, 중절치 사이, 소구치 사이, 대구치 사이의 순으로 넓었고, 대구치와 견치사이에서는 최소 치근사이 거리보다 유효 협측 치근간 거리가 더 넓었다.

하악은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치근사이가 가장 넓었으며 다음이 대구치 사이였고, 전치부로 갈수록 좁아졌다.

2.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의 확대율을 구해본 결과 치관 폭경의 확대율은 상악이나 하악 모두 전치부에서 1.1 구치부에서는 1.3 정도로 비교적 일정했다.

상악 치근사이 거리의 확대율은 대구치 및 전치부에서는 치관 폭경 확대율 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제2소구치와 견치 사이에서는 축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하악 치근사이 거리의 확대율은 치근단 방향 4 mm보다 8 mm 지점에서 더 크게 나타났고, 대구치에서 견치까지는 1.35 - 1.55 정도의 확대율을 보였으나, 견치사이에서는 2배 이상의 확대율을 나타냈다.



3. 치관 확대율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의 치근사이 거리를 보정한 결과 상하악 대구치 부위와 치근단 방향 8 mm 지점의 상악 중절치 사이 거리는 전산화 단층촬영 사진에서의 값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4.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계측한 치근사이의 거리와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계측한 치근사이의 거리에 대해 단순선형 회귀방정식과 계수를 구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0.05). 회귀식의 설명력은 치관확대율에 의한 보정전후의 값이 큰 차이가 없었으며, 회귀식은 상악 전치부, 하악 구치부에서 설명력이 높고 상악 소구치부와 하악 견치간 부위에서는 설명력이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치근사이에 교정용 임플란트를 식립할 때 백악법랑경계에서 치근단 방향으로 8 mm 지점이 4 mm 지점보다 상대적으로 안전하며, 상악 구치부에서는 협측보다 구개측이, 상악 협측에서는 제1대구치와 제2소구치 사이가, 하악 협측에서는 소구치 사이가 상대적으로 안전한 부위라는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 나타난 치근사이의 거리는 상악에서는 전치부와 구치부는 확대되고 소구치부는 축소되며, 하악 전치부에서 2배 이상 확대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영문]In the orthodontic implant application to the interdental space, it is important to minimize surgical trauma to the adjacent root. Clinically implant is applied by evaluating interdental distance in the panoramic radiography, however there is limitation such as distortion and magn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practical guide for the safe application of the interdental orthodontic miniscrew implant. Those were proceeded to find the regional interdental distance in the computed tomography and to measure and analyze how the interdental distance of the panoramic radiography and that of the computed tomography are related.

The subjects were each 30 maxillae and mandibule with little crowding and periodontal disease and without missing tooth and jaw disorder. They were taken of computed tomography and panoramic radiography.

The measurement were performed at the 4 mm and 8 mm apical point from interproximal cementoenamel junction.



In the computed tomography, the minimum distance and the shortest distance within 5 mm from the buccal and palatal alveolar bone surface were measured. In the panoramic radiography, the minimum distance was measured. The crown magnification ratio of the panoramic radiography was obtained by measuring and calculating the crown wid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the computed tomography,



The interdental distance at the apically 8 mm point was longer than at the 4 mm point. The distance at palatal side was longer than at buccal side in maxillary posterior segment..

The maxillary buccal interdental distance can be arranged in the order of length. ;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molar and the second premolar > between incisors > between premolars > between molars. The effective distance at buccal side was longer than the minimum distance from molar to canine.

In the mandibule, the distance between premolars was the longest and that between molars was following. The closer to incisors, the less distance was.



2. In the panoramic tomography, the magnification ratio was as follows.



The crown magnification ratio of both maxilla and mandibule anterior segment was 1.1 and that of posterior segment was 1.3 evenly.

The magnification ratio of interdental distance at the maxillay molar and anterior region was larger than the crown mganification ratio. However there was reduction tendency at the maxillary premolar region.

The magnification ratio of mandibular interdental distance at the apically 4 mm point was larger than 8 mm point. The magnification ratio from molar to canine was 1.35 - 1.55 but that between canines was more than 2 times.

3. After correction of interdental distance in the panoramic image by crown magnification ratio,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posterior region and at the maxillary inter incisal region at the apically 8 mm point (p>0.05).



4.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 and coefficient were obtained through measurements of the interdental distance which was taken from the panoramic radiography and the computed tomography. The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value of regression equation before and after correction by crown magnification ratio was not different. There was high explanatory power at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and the mandibular posterior region, in contrast there were lower power at the maxillary premolar region and the mandibular inter-canine region.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got the data that the apically 8 mm point was relatively safer than 4 mm, the palatal side was safer than buccal side in maxillary posterior seg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molar and the second premolar was the safest region in maxilla and the distance of inter-premolar was the safest region in mandible. It was found that the interdental distance in the panoramic radiography was magnified at the incisor and molar region but was reduced at the premolar region in maxilla. And the magnification ratio of mandibular incisor region was more than 2 times.
Files in This Item:
T00853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34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