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15 1365

Cited 0 times in

협심증 환자의 증상경험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ymptom experience and related factors in angina patients 
Authors
 우수희 
Issue Date
2005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협심증 환자의 증상경험과 관련요인(관상동맥병변의 중증도, 스트레스 및 건강행위 이행)을 다차원적 측면에서 파악하고, 각 변수들 간의 관계를 이해함으로써 협심증 환자의 증상경험에 대한 체계적인 사정도구 개발과 효율적 증상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04년 10월 15일부터 12월 30일까지 서울 소재 3차 의료 기관인 C대학 부속병원 심장센터에서 외래진료를 받은 환자나 심혈관촬영을 위해 입원한 환자 92명을 대상으로 직접 면담을 통한 질문지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본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협심증 증상경험 측정도구, Gensini Score(Gensini, 1983),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Linn, 1985), 건강행위 이행도구(정혜선, 2001)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기술통계,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협심증 환자의 총 증상경험 평균점수는 27.65점(점수범위 0-108)으로 경미하게 나타났으며, 증상의 빈도, 강도, 고통감 중에서 증상의 빈도 차원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평균점수는 10.72점(점수범위 0-36)으로 12가지 증상에 대해 일주에 일회 정도로 경험하고 있었고, 증상의 강도 평균점수는 9.01점(점수범위 0-36)으로 12가지 증상에 대해 심하게 경험하고 있지 않으며, 증상의 고통감 평균점수는 7.92점(점수범위0-36점)으로 고통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빈도, 강도, 고통감 측면에서의 증상경험에 대한 각각의 결과는 증상경험의 빈도 측면에서 거의 매일 발생하는 증상 우선순위로는 피로(44.6%)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흉통(42.4%), 호흡곤란(32.6%) 등으로 나타났다. 증상경험의 강도 측면에서는 매우 심하게 경험하는 증상은 흉통(22.8%), 피로(17.4%), 식은땀, 발한(12.0%) 순으로 나타났다. 증상경험의 고통감 측면에서 고통감이 일상생활 전반에 매우 지장을 줄 정도의 증상은 흉통(26.1%), 피로(10.9%), 수면장애(9.8%) 순으로 나타났다.



2. 본 연구의 대상자인 협심증 환자의 관상동맥병변 중증도 점수인 Gensini Score 평균은 16.30점(점수범위 0-672)으로 나타났다. 질환별 평균 Gensini Score는 각각 안정형 협심증이 15.12점, 불안정형 협심증이 32.08점, 이형협심증이 .00점으로 불안정형 협심증이 안정형 협심증이나 이형협심증에 비해 관상동맥 중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들의 스트레스 지각 총 평균 점수는 30.16점(점수범위 0-72)으로 중 정도의 수준을 보여주었으나, 지난 일주일간 전반적으로 느끼는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 5.70점(각 0-9점 범위)으로 스트레스 지각이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건강행위 이행에 대한 평균점수는 61.55점(점수범위18-90)으로 높았으며, 건강행위 이행의 하부항목 중에서는"섬유소 함유식품 섭취관련"이 가장 잘 수행하는 항목(4.65점)으로 나타난 반면, "정기적 맥박 측정"과 "신체적 과로 주의"는 각각 2.45점, 2.53점으로 낮은 이행항목으로 나타났다.



3. 본 연구의 주요 변수인 증상경험과 스트레스 지각(r=.410, p=.000)간에는 통계

적으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보여 스트레스 지각이 높을수록 증상경험 정도가 높게 제시되었고, 증상경험과 건강행위 이행(r=.-251, p=.016)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역 상관관계를 보여 건강행위 이행이 높을수록 증상경험 정도가 낮게 제시되었다.



4. 협심증환자의 증상경험의 영향 요인으로는 스트레스 지각( =.384, p=.000), 나이( =-.298, p=.002), 경제수준( =.256, p=.007)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증상경험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스트레스로 증상경험을 16.8% 설명하였고, 나이는 5.7%, 경제수준은 6.1%로 낮은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협심증 환자들이 경험하는 증상은 주 증상인 흉통뿐만 아니라 피로, 호흡곤란, 수면장애 등의 다양한 증상들이 있으며, 이러한 증상경험은 빈도, 강도, 고통감 측면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연구의 결과는 협심증 환자에서의 증상경험이 다차원적으로 평가되고 관리되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협심증 환자의 증상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진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중재가 협심증 환자의 증상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임을 인식하고 이와 관련된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흉통과 더불어 주요한 증상으로 나타난 협심증 환자의 피로에 관련된 추후 연구를 통하여, 협심증 환자의 피로 증상과 관리에 좀 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근거가 마련되기를 바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임상에서 간과하기 쉬운 협심증 환자의 증상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증상 관리를 위한 기초적 자료로서 본 연구가 활용되기를 바란다.





[영문]This study is to examine symptom experiences and related factors which include severity of coronary artery, stress and compliance with action to promote health in angina patient. By understa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build a foundation for development systemic tools to measure symptom experiences and effective symptom management program in angina pati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92 patients from out-patient unit and in-patient for cardiac catheterization at cardiac department of C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between October 15, 2004 and December 30, 2004.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through patient interviews.

The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a questionnaire on symptom experience in angina developed by the researcher, Gensini Score (Gensini, 1983),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GARS) Scale (Linn, 1985), performance tool health act (Haesun Chung, 2001).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Win 10.0 program, and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method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s.

1. The mean scores for symptom experience were relatively low (M=27.65, SD=18.44). Of the domains of symptom experience, the mean score for frequency was 10.72, for intensity, 9.01, and for distress, 7.92. The dimension frequency had the highest score. Although fatigue and chest pain had the high score for symptoms in all dimensions, other symptoms, shortness of breath, sleep disturbance, cold sweat were explored as symptoms needing management.

2. The mean score for coronary severity(Gensini score) was 16.30 point ( SD=18.04). According to type of angina, the mean score for unstable angina was higher (M=32.08, SD=20.59) than stable(M=15.12, SD=15.48) and variant(M=.00). The mean score for perceived stress was relatively moderate (M=30.16, SD=12.26). Of the eight domains of stress, the mean score for overall recent stress was relatively high(M=5.70, SD=2.03, Range 0-9). Compliance was relatively good in patients with angina(M=61.55, SD=7.60).

3. Analysis of the correlation of symptom experience, gensini score, perceived stress and compliance in patients with angina, showed that symptom experi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perceived stress (r=.410, p=.000).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r=-.251, p=.016) between symptom experience and compliance.

4. In the regression analysis, symptom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found to be influenced by stress(R2=.168, p=.000), age(R2=.057, p=.002), and economic level (R2=.061, p=.007). These variables explained 26.2% of the variance in symptom experienc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vidences that symptom of angina can be presented as not only chest pain itself but also fatigue , shortness of breath, sleep disturbance and etc. In addition, it implies that symptom experiences of angina patients have to be evaluated and managed in broad perspectives because these symptom experiences vary in intensity, frequency and presentation in each patient.

This study shows that patient''s tolerance for stress is the most vital risk factor of angina symptom experience. Therefore, the stress management should be considered as essential issue to intervene symptoms of angina patients in the future studies.

This study demands more researches in regard of fatigue management in angina patients scientifically and systemically in the future.

This study will be fundamental resources to understand symptom experiences in angina patients and a corner stone for developing scientific system in angina symptom management.
Files in This Item:
T00844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25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