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6 763

Cited 0 times in

관상동맥질환의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Related factors of coronary artery disease 
Authors
 문숙자 
Issue Date
2005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관상동맥질환의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Cross-Sectional study)이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의 S병원에 내원해서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 받은 대상자로, 한 개 이상의 관상동맥에서 50%이상의 협착병변이 있는 경우를 관상동맥질환군, 그렇지 않은 군을 정상군으로 분류해서 차이를 비교했다. 자료 수집기간은 2004년 10월 3일부터 2004년 11월 3일까지로 1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관상동맥질환 관련요인을 연령, 성별, 복부비만, 당뇨병, 지질이상, 고혈압, 흡연, 음주, 가족력으로 정의했으며, 이들 개별요인과 관상동맥 질환간의 관계를 단변량 분석 및 다변량 분석을 통해 독립적인 관련요인을 알아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SAS Ver 8.1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다.

단변량 분석 결과 고연령(t=2.00, p=.04), 남성(χ2=11.91, p=.00), 당뇨병유병(χ2=12.61, p=.00), 6개월 이상의 당뇨병 유병기간(χ2=8.20, p=.00), 흡연(χ2=5.65, p=.02), 공복시 고혈당(t=4.18, p=.00), 낮은 HDL-콜레스테롤 (t=-2.12, p=.04), 총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의 비가 높은 경우(t=2.10, p=.04), LDL-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의 비가 높은 경우(t=2.22, p=.03)에 유의하게 관상동맥질환과 관련이 있었고, 복부비만의 경우는 정상인에서 유의하게 많게 나타났다(χ2=-6.87, p=.01).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남성(OR 0.22, p=.00), 연령증가(OR 1.06, p=.01), 공복시혈당 증가(OR 1.03, p=.00), 증가된 LDL-콜레스테롤과 HDL-콜레스테롤의 비(OR 1.61, p=.04)가 독립적인 관련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관상동맥질환의 조기발견 및 관리를 위해서는 연령 및 성별에 따른 다른 기준치가 필요하며, 혈당 및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의 엄격한 조절이 절실하며, 복부비만 기준선정의 제고와 추후 타당성 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했다. 이에 일차적으로 지역사회에서의 예방간호와 임상에서의 철저한 합병증 예방 및 추후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지만, 이들 관련요인의 영향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서 장기적이고도 포괄적인 코호트 연구 및 질환 발생뿐 만 아니라, 재발 및 사망률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영문]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analysis to evaluate related factors of coronary artery disease(CAD) according to individual epidemiologic and clinical features.

The present study finally enrolled one hundred thirty six patients who were carried out coronary angiography in the S Medical Center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3 to November 3, 2004. Patients have been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a CAD group who has more than fifty percent stenosis of one or more coronary arteries, and the other is a non-disease group.

This study defined related factors of CAD as age, sex, abdominal obesity, diabetes mellitus, dyslipidemia, hypertension, smoking, alcohol consumption and family history. Uni-variated and multi-variated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each factor and CAD are performed to establish independent related factor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AS version 8.1.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 uni-variated analysis are old age(t=2.00, p=.04), male(χ2=11.91, p=.00), cigarette smoking(χ2=5.65, p=.02), diabetes mellitus(χ2=12.61, p=.00), high fasting blood sugar(FBS) level(t=4.18, p=.00), low HDL-cholesterol(t=-2.12, p=.04), high ratio of total cholesterol to HDL-cholesterol level(t=2.10, p=.04), and high ratio of LDL-cholesterol to HDL-cholesterol level(t=2.22, p=.03). but, abdominal obesity was shown negative relationship on CAD in this study(χ2=-6.87, p=.01).

And, those factors in multi-variat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re just male(OR 0.22, p=.00), old age(OR 1.06, p=.01), high FBS(OR 1.03, p=.00), and high ratio of LDL-cholesterol to HDL-cholesterol level (OR 1.61, p=.04).

According to this study, a different diagnostic criteria on CAD in each age & sex is necessary for early detection and management. And, this study may provide a basis for strict control of FBS, LDL- and HDL- cholesterol level, and suggest the significance of community-based protective nursing, strict prevention of complications, and follow-up. However, further studies such as long-term comprehensive cohort study are definitely necessary to define clearly the effect of related factors to CAD.
Files in This Item:
T00844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25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