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98 489

Cited 0 times in

취업모 자녀의 사회 정서적 행동 반응 관련 요인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배성연-
dc.date.accessioned2015-11-21T06:29:20Z-
dc.date.available2015-11-21T06:29:20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248-
dc.description간호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는 Bronfenbrenner(1979, 1986)의 생태학적 관점에 근거하여 취업모의 역할긴장, 남편의 사회적 지지와 대리 양육자의 양육수준, 취업모의 양육행동이 취업모의 학령전기 자녀들의 사회∙정서적 행동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영향 요인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경로분석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취업모와 그들의 학령전 기자녀들로 자료수집기간은 2003년 11월 21일부터 2004년 1월 31일까지이었고 총556부(278쌍)의 자료를 분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결과 취업모의 합리적 지도 양육행동은 남편의 평가적 지지, 대리 양육자의 건강 측면의 양육, 직장 가정 갈등이 유의한 영향요인(R2: 24.7%)인 것으로 나타났고 온정 양육 행동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남편의 평가적 지지와 대리 양육자의 건강측면의 양육 수준(R2:14.9%)이었고 적극적 양육 행동의 유의한 영향요인은 남편의 평가적 지지, 직장 역할과부하, 정보적 지지 인 것으로 나타났고(R2:14.8%) 제한설정 양육 행동의 유의한 영향요인은 남편의 평가적 지지와 대리 양육자의 건강 측면의 양육 수준(R2:11.1%)이었다. 또한 반응적 양육 행동의 유의한 영향요인은 남편의 평가적 지지(R2:8.0%)로 나타났다. 부부간의 친밀성 표현 행동의 유의한 영향요인은 남편의 평가적 지지와 대리 양육자의 정서적 측면의 양육 수준이었다(R2:6.5%). 또한 아동의 사회∙정서적 행동요인인 반응성, 지도력, 불안정성 과민성 중에 아동의 반응성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취업모의 제한설정 양육행동과 가정 역할 과부하로 나타났고(R2:5.7%) 아동의 지도력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제한 설정 양육행동과 직장 가정 갈등인 것(R2:6.2%)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불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취업모의 제한설정 양육행동으로 나타났다(R2:2.3%). 그리고 아동의 과민성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직장 역할 과부하와 부부간의 친밀성 표현 양육 행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R2:3.6%). 본 연구의 결과 취업모의 역할 긴장이 가능점수 범위 32~128 중 76.07으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로분석결과 취업모의 역할긴장을 감소시키는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은 남편의 사회적 지지로 나타났다(β=-0.265, C.R.=-4.092). 또한 역할 긴장은 양육행동을 매개로 하여 아동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직접적으로 아동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체적으로는 아동의 반응능력(β=-0.038 ,C.R.=-0.600), 지도력(β=-0.048,C.R.=-0.763), 과민성(β=0.020)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취업모의 양육행동은 남편의 평가적 지지가 가장 큰 영향 요인이었고 구체적으로 합리적 지도(16.1%), 온정적 양육행동(13.7%), 적극적 참여 양육행동(10.5%), 반응적 양육행동(8.0%), 제한설정 양육행동(8.2%), 부부간의 친밀성 표현 양육행동(4.6%) 등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아동의 사회∙정서적 행동 반응에 주요 영향요인으로는 제한설정 양육행동이었고 반응성(3.4%), 지도력(3.8%), 불안정성(2.3%)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볼 때 결론적으로 학령전기 아동의 사회∙정서적 행동반응 능력 향상을 위하여 아동의 대리양육시설에 건강증진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취업모에 대한 남편의 사회적 지지 강화 프로그램과 취업모가 가족과 직장을 조화롭게 양립할 수 있도록 역할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는 직장에서의 지지 강화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sychosocial responses of the children of employed mothers focused on the ecological perspectives of Bronfenbrenner(1979).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6 years old the preschool age children and their employed mothers in Korea. The data from 278 pairs of mothers and children were collected Nov. 21, 2003 to Jan. 31 in 2004.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12.0.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Employed mothers reasoning guidance parenting behaviors was predicted by husband’s appraisal support, the quality of child-care, work/family conflict and total adjusted R2was 23.8%. Intimacy parenting behaviors were predicted by husband’s appraisal support, work overload, husband’s informational support and total adjusted R2 was 14.8%. Responsive parenting behaviors were predicted by husband’s appraisal support and adjusted R2 was 8%. Limit setting parenting behaviors were predicted by husband’s appraisal support, quality of child care for health and total adjusted R2 was 11.1%. Intimacy of the couple were predicted by husband’s appraisal support, the quality of child care for emotional stability and total adjusted R2 was 6.5%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on children’s psychosocial responses were as follows. Responsiveness of the children was predicted by limit setting parenting behaviors, family/work overload and total adjusted R2 was 5.7%. Leadership of the children was predicted by limit setting parenting behaviors and work/ family conflict and total adjusted R2 was 6.2%. Instability of the children was predicted by limit setting parenting behaviors and adjusted R2 was 2.3%. And hypersensitivity of the children was predicted by work overload and intimacy of the couple and adjusted R2 was 3.6%. Path analysis(AMOS) results on the children’s psychosocial responses were as follows; The employed mothers role strain had direct effect on the responsiveness(β=-0.038 ,C.R.=-0.600), leadership(β=-0.048,C.R.=-0.763), hypersensitivity(β=0.020) of the children. Based on the present research results we suggest support systems for the employed mother’s to balance the work and family and health care programs for the preschool- age children.-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취업모 자녀의 사회 정서적 행동 반응 관련 요인-
dc.title.alternative(The) factors associated with psychosocial responses of the children of employed mothers : 생태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Bae, Seong Yeon-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