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5 880

Cited 0 times in

주5일 근무제로 인한 여가생활의 변화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fluences upon job performance by the changes of leisure activities resulted from 5-day workweek : based upon the cases 
Authors
 심기섭 
Issue Date
2005
Description
병원행정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이 연구는 2004년 10월 현재 약 4개월간 대학병원에서 시행된 주5일 근무제로 인한 여가생활의 변화가 병원 사무직의 업무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서울 5개, 경기도 2개의 대학병원 남여 사무직을 모집단으로 설정 후 임의표본추출법을 사용 하였으며, 조사도구인 설문지는 여가생활 관련문항은 이만형(2001), 양성인(2002) 등의 연구와 Beard & Ragheb(1980)의 여가만족 척도에서 본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총42개 항목으로 작성하였다. 각 조사 항목은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분석방법으로 수집된 설문지는 부호화하여 입력하였으며,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를 이용하여 카이제곱분석과 t검정 및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5일 근무제 실시에 따른 각 부문별 여가활동 참여정도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모든 부문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관광·행락 부문의 여가활동에서 실시 전 참여정도 평균이 2.90이었는데 실시 후 3.55로 평균차이가 0.65의 가장 많은 증가를 보였다.

둘째, 주5일 근무제 실시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 장애 요인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 전과 실시 후에 전반적인 순위 변동은 거의 없었으나, 실시 전에는 일이 바쁘거나 시간이 없어서가 38.46%(220명)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요인이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가 20.80%(119명)로 나타났고, 실시 후에는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가 26.75%(153명)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일이 바쁘거나 시간이 없어서가 20.98%(120명)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활동 동반자 및 여가참여 부문에 따른 실시 전과 실시 후의 결과로 혼자, 가족, 동료(친구)인 경우 모두 관광·행락 부문에서 각각 7.69%, 10.14%, 9.11%의 증가를 보였다.

넷째, 인구사회학적 및 근무특성에 따른 주5일 근무제 실시에 따른 여가활동 참여정도 결과로는 성별, 연령, 학력 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종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다섯째, 여가활동 참여정도 변화에 관련된 요인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성별에서는 남성에 비하여 여성의 여가활동 참여정도 변화가 0.18점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다. 최종 학력이 대졸인 사람에 비해 고졸이하인 사람의 경우 참여정도 변화가 0.24점 낮았으며,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다. 여가활동 참여의 장애요인중 시간적 요인을 살펴보면 주5일 근무제 실시 전·후 에 모두 장애요인으로 시간적 요인을 응답한 사람들에 비하여 주5일 근무제 실시를 하면서 여가활동 장애요인이 시간적 요인에서 다른 요인으로 바뀌었다고 응답한 사람이 여가활동 참여정도 변화가 0.31점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p<0.001)를 보였다.

여섯째, 주5일 근무제 실시에 따른 여가활동의 만족도 변화를 살펴본 결과, 여가활동에 대한 만족도와 관련된 모든 항목에서 실시 후에 만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일곱째, 인구사회학적 및 근무특성에 따른 업무성과 분석에서는 월 가계총소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특히 총소득이 200만원에서 300만원 이하인 사람보다 200만원 미만의 사람이 업무성과 점수가 3.26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직위, 근무 기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직위에서는 계장급의 업무성과 점수가 2.96으로 일반직원(3.13), 과장급 이상(3.35)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 또한 근무기관별로 살펴본 결과 D병원의 업무성과(3.28)가 가장 높았고, F병원의 업무성과(2.97)가 가장 낮았다.

여덟째, 여가활동에 따른 업무성과를 항목별로 분석한 결과 업무에 대한 집중도 증가, 전반적인 업무효율성 향상, 업무의 생산성 향상의 순으로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업무량의 증가와 업무강도 증가의 평균은 낮게 나타났다.

아홉째, 업무성과에 관련된 요인 분석을 다중회귀분석으로 하였다. 학력에서는 대졸에 비해 대학원이상인 사람의 업무성과가 0.21점 낮았으며,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다. 직위에서는 계장(대리)급을 기준으로 과장급의 업무성과가 0.27점 높았으며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다. 참여정도의 변화에서는 스포츠 부문이 회귀계수가 0.11로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으며, 자기계발 부문에서도 회귀계수가 0.13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다. 즉 다양한 여가활동 중 스포츠나 자기계발의 여가참여가 증가하면 업무성과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분석 결과의 결론으로 주5일 근무제에 따른 다양한 패턴의 여가활동이 증가하면 이에 따른 여가활동의 만족도도 증가하며, 대학병원 사무직종의 업무성과도 전반적으로 증가한다는 관련성을 볼 수 있었으며, 이는 여가생활 참여가 증가할수록 업무성과는 매우 긍정적인 효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evaluate how the changes of leisure activities influence upon the job performance of administrative staffs in college hospital resulted from 5-day workweek, which has been enforced for past 4 month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s of extent to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were meaningful shown in statistics all over the categories(p<0.001). The rate of average of participation in fun and tour was 2.90 before 5-day workweek but it increased up to 3.55 afterward by the gap of 0.65.



Second, obstacle factors in leisure activities seldom change in ranks before and after. Before enforcement, the first answer was that they were busy in work or had no time, which marked 38.46%(220 persons) and following answer that they was not enough in financial abilities, which marked 20.80%(119 persons). But After enforcement, the first one was that they were not enough in financial abilities, which marked 26.75%(153 persons) and the second was that they were busy in work or had no time, which marked 20.98%(120 persons).



Third, there have shown increasement in partnership of participation; family, company, alone. It increased 10.14%, 9.11% and 7.69% in each group.



Fourth, there were seldom changes in gender, ages and educational background based on characteristics of work pattern. But Meaningful differences were shown in religion(p<0.05).



Fifth, the changes in women''s participation was more than men''s by 0.18 point. I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p<0.05). Those on high school level or under was lower than those college level by 0.24 point. It also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p<0.05). The changes of those who answered that obstacle factor changed from time limit to others were more higher than those who answered that obstacle factor was still time limit. It also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p<0.001).



Sixth, There were meaningful increasement in all of the categories related to satisfaction index after enforcement.



Seventh, the meaningful differences were shown in monthly family gross income(p<0.05). Those who earned below two million won were 3.26 point in job performance index, which was more than those who earned two million to three million won. In status in organization, the job performance index of assistant manager was 2.96, which was remarkably lower than clerk(3.13) or manager or above(3.35).



Eighth, By the items of job performance index, rising of concentration on work, improvement of work efficiency and productivities were highly marked in ranks. And the amount of work and job intensity marked low.



Ninth, reviewing the results of job performance index, those on graduate school level was lower than those on college level by 0.21. I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p<0.05). In status, those on manager level were higher than those on assistant manager level by 0.27. It showed also meaningful differences(p<0.05). On extent to participation, the index marked 0.11 in sports field showing meaningful differences(p<0.01). In self-development, the index marked 0.13, which also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p<0.05). Conclusively, job performance increase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ment of such leisure activities as sports or self-development.



In conclusion, the index of satisfaction increased as diverse patterns of leisure activities increasingly vitalized which resulted from 5-day workweek. Accordingly, job performance index generally increased in college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s. This showed the more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diverse and increase, the more job performance positively fulfilled.
Files in This Item:
T00838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19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