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618

Cited 0 times in

Photo plethysmography를 이용한 정상과 재접합수지 혈류량의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normal and replantation digital blood flow using photo plethysmography 
Authors
 이병렬 
Issue Date
2004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임상적으로 수지 및 족지의 혈액 순환의 장애를 나타내는 Raynaud''s phenomenon나 Buerger''s disease 또는 수지접합(replantation) 이후의 환자들은 수지의 혈액순환 장애에 대한 다양한 증상 및 증세를 호소하나 현재까지는 혈관조영술(angiogram)이나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에만 의존하여 환자의 혈액순환 장애 정도를 추측하고 치료하였고 또한 치료 효과를 판정하여 왔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선진국에 비교하여 산업작업장의 환경이 취약하여 산업재해에 의한 수지 절단이 많아 수지 재접합 수술이 많다. 수지 재접합 후에 환자는 기능이나 혈류 장해에 의한 많은 증상을 호소하는 예가 많으나 주로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 호소에 의존한 장해 등급의 결정은 객관성이 결여되므로 좀 더 객관적인 평가 방법이 요구된다.

임상적으로 수지 및 족지의 혈류 장애에 대한 측정에는 초음파 도플러(ultrasound Doppler), 혈관조형술(angiogram), 전자기혈류계(electromagnetic flowmeter), 레이저 혈류측정기, 기계적 혈류측정기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시간, 장소, 주위 온도, 환자의 체온, 환자의 감정 및 신체상태 등 많은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므로 유용성, 적정성 및 반복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본교 의학공학과에서 개발한 광혈류 측정기(photo plethysmography: PPG)란 장비를 이용하여 재접합에 성공한 수지 및 반대측의 정상 수지의 혈류량을 비교 관찰하였다. 양측 다 정상 수지인 경우 두 수지간의 혈류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재접합 수지의 혈류량은 반대측 정상 수지에 비하여 평균 53%의 혈류가 측정되었다. 개인에서 수지의 종류별 혈류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광혈류 측정기는 혈류장애가 있는 조직이나 장기의 상대적인 혈류를 측정하여 혈류장애의 진단, 치료효과 및 예후를 예측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며 재접합 환자의 장해등급 결정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The degree of circulatory insufficiency in Raynaud's phenomenon, Buerger's disease or digital replantation has been evaluated only by clinical symptoms and signs or angiograms. With the progress if the microsurgical technology, the number of digit replantation is increasing. And so more objective evaluation methods of the disability of digit in needed other than patient's subjective symptoms and complaints. Angiogram, Doppler, electromagnetic flowmeter, laser blood flowmetry, mechanical blood flowmetry has been used for the evaluation of the circulatory insufficiency, however, the data was affected by time, place, temperature, patient's body temperature, emotion and lack of availability, feasibility and reproducibility.

So we compared digital blood flow between dominant hand to non dominant and replanted fingers to opposite normal fingers. The average digital blood flow in both hands showed no difference but replanted digits showed 53% compare to opposite normal digits. In each patient, the blood flow of each dig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photo phlethysmography is sensitive, reliable, and useful method for the comparing blood flow for circulatory insufficiency of tissue such as fingers and toe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09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